$\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2018년 골재의 수요-공급과 유통 해석
GIS-based Network Analysis for the Understanding of Aggregate Resources Supply-demand and Distribution in 2018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5, 2021년, pp.515 - 533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재의 생산과 공급에 대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골재 공급 운반거리분석, 골재 공급지역 분석, 골재 공급의 위치-할당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골재 수급 특성과 골재 유통현황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골재 공급 기업을 중심으로 골재의 평균 운반거리가 평균 6 km이며, 모래의 경우 평균 7 km 자갈의 경우 평균 10 km 범위에서 수요지에 도달하는것으로나타났다. 특히서비스지역분석결과수도권은약 92%, 부산과울산, 경남 85%, 대전, 세종과충남이 90% 이상으로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골재의 수요-공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골재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골재 공급지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입지-배분 시나리오에 의해 평가된 결과는 전국을 현재 골재를 소규모로 공급하는 700 여개의 기업들 보다 적은 200 개 미만의 대규모 채석량을 가진 기업을 통해 서비스 공급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골재의 유통 측면에서 골재 공급 서비스의 밀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은 적절한 시장형성을 위한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전국의 골재 수급 분석을 통해 지역적 배분 및 재평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골재 시장에 대한 수요-공급 네트워크 분석은 골재 산업뿐 아니라 관련 산업에 대한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supply location, demand location, and transportation network, aggregate supply-demand characteristics and aggregate distribution statu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closest distance, service areas, and location-allocation scenarios using GIS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n, Y.-U., Leem, Y. and Lee, S.H. (2020) Spatial Equality of Firefighting Servic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p.560-571, doi: 10.5392/JKCA.2020.20.03.560. 

  2. Hong, H. and Lah. T.J. (2020) A GIS Analysis on the Equity and Efficiency of the Disaster Evacuation Facilities Locations: The Case of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24, no.3, p.125-144. doi: http://dx.doi.org/10.20484/klog.24.3.6 

  3.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 (I).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p.253-272. doi: https://doi.org/10.7854/JPSK.2015.24.3.253. 

  4. Hong, S.S. and Lee, J.-Y. (2020) Analysis of 2019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in Korea (I).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p.755-769. doi: https://doi.org/10.9719/EEG.2020.53.6.755 

  5. Jaeger, W.K. (2006) The hidden costs of relocating sand and gravel mines. Resources Policy, v.31, p.146-164. doi: https://doi.org/10.1016/j.resourpol.2006.12.003. 

  6. Koo, S. and Yoo, H.H. (2012) An Analysis of Fire Area in Jinju City Based on Fire Mobilization Tim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20, p.127-134. doi: 10.7319/KOGSIS.2012.20.4.127.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3) The 5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2014~2018), 25p. https://www.agris.go.kr/.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8) The 6th Basic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2019~2023), 22p. https://www.agris.go.kr/.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2019) The annual plan for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39p. https://www.agris.go.kr/. 

  10. Pavesi, F.C., Richiedei, A. and Pezzagno, M. (2021) Advanced Modelling Tools to Support Planning for Sand/Gravel Quarries. Sustainability, v.13, p.6380. 

  11. Poulin, R., Pakalnis, R.C. and Sinding, K. (1994) Aggregate resources: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Environmental Geology, v.23, p.221-227. doi: 10.1007/BF00771792. 

  12. Prikryl, R., Torok, A., Theodoridou, M., Gomez-Heras, M. and Miskovsky, K. (2016) Geomaterials in construction and their sustainability: understanding their role in modern society.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v.416, p.1-22. doi: 10.1144/SP416.21. 

  13. Robinson, G.R. and Kapo, K.E. (2004) A GIS analysis of suitability for construction aggregate recycling sites using regional transportation network and population density feature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v.42, p.351-365. doi: https://doi.org/10.1016/j.resconrec.2004.04.009. 

  14. Sverdrup, H.U., Koca, D. and Schlyter, P. (2017) A Simple System Dynamics Model for the Global Production Rate of Sand, Gravel, Crushed Rock and Stone, Market Prices and Long-Term Supply Embedded into the WORLD6 Model. BioPhysical Economics and Resource Quality, v.2, p.8. doi: 10.1007/s41247-017-0023-2. 

  15. Torres, A., Simoni, M.U., Keiding, J.K., Muller, D.B., zu Ermgassen, S.O.S.E., Liu, J., Jaeger, J.A.G., Winter, M. and Lambin, E.F. (2021) Sustainability of the global sand system in the Anthropocene. One Earth, v.4, p.639-650. doi: https://doi.org/10.1016/j.oneear.2021.04.011. 

  16. Yeon, K. H., Hwang, H.-Y. and Hong, E.-D. (2014) An Analysis on 119 Safety Center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Fire Occurrence in Chungju-Cheongwo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4, no.6, p.289-296. doi: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