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질환 전문 교정시설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rectional Officer's Preference toward the 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10, 2021년, pp.21 - 28  

홍문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박종선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정시설 내 정신질환 수용자 수 급증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다양한 전문 수용시설의 확충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관계자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질환 전문 수용시설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다. 2019년 국내 교정기관 6곳에서 근무 중인 교도관들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 정신질환 전문 구치소, 정신질환 전문 수용동, 종합의료 교도소에 대한 교도관의 선호도와 다양한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도관들은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 확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도관 나이, 정신질환 수용자의 교정위반 행동, 치료 또는 약물 거부, 관련 법령 미비, 교도관의 정신질환센터 근무 경험이 정신질환 전문 교도소의 선호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교도관 직급은 이런 선호도를 낮추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이를 통한 정책대안으로는 정신질환 전문수용시설 확충 과정에서 교정현장의 목소리 반영과 치료를 거부하는 정신질환 수용자들에 대한 법령의 마련을 제안한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교도관들의 특성 및 의견이 반영된 자료를 수집하여 다양한 변수들이 활용된 좀 더 분석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correction officer's preference toward 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orrection officers who worked at the six correctional facilities in 2019.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nd the factors on the officer's prefer...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1)

  1. S. Y. Lee. (2011). A study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prison inmates and improvements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m. Correction Review, 51, 121-144. 

  2. K. M. Huh. (2016). Research on mental health strategy for mentally disordered offenders in Canada. Correction Review, 26(2), 27-50. 

  3. Y. D. Kim. (2021). A research on the correctional treatment of mental disease inmate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4. S. S. Choi. (2003). Management and treatment for the inmate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Correction Review, 18, 7-43. 

  5. E. S. Ryu. (2015). A study on the correctional treatment of mentally-disordered offenders - Focused on community treatment. Korean Journal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5, 99-128. 

  6. Institute of Justice. (2020). White paper on crime in 2020. Ministry of Justice. 

  7. Supreme Prosecutors' Office Republic of Korea . (2019). Analytical report on crime. Ministry of Justice. 

  8. Korea Correctional Service. (2020). Korea Correctional Service Statistics 2020. Gwacheon: Ministry of Justice. 

  9. S. J. Kwon, & K. C. Shin. (2015). A Study on Mental Health Court and Forensic Psychiatric Ward. Seoul: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0. J. I. Park, Y. J. Kim, S. J. Lee. (2013). Mental health status of prisoners in correctional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2, 454-462. 

  11. S. J. Lee, J. H. Suh, Y. H. Lee. (2000). Mental health status on the scores of MMPI among inmates of pris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9, 43-62. 

  12. K. M. Huh. (2017). A study on the problems and the amendment direction of related laws for the treatment of mentally disabled prisoners in correctional system. The Journal of Police Science, 12(2), 71-104. 

  13. S. H. An. (2011). Study on improvement of forensic psychiatry. Seoul: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4. O. K. Yoon. (2009). Types and prevalence of victimization among prison inmates. Correctional Research, 45, 223-251. 

  15. G. B., Palermo, M. B., Smith, F. J. Liska. (1991). Jails versus mental hospitals: A social dilemma.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35(2), 97-106. 

  16. M. C. Kim, S. W. Lee, & Y. H. Lee. (2015). Implementation and review of correctional mental health center programs for improving the social competence and reducing re-offending of mentally-ill offenders. Correction Review, 69, 183-216. 

  17. A. Serafini. (2018). Correctional offic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health within the prison. Master Thesi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t San Bernardino, CA USA. 

  18. L. Callahan. (2004). Correctional officer attitudes toward inmates with mental disor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nsic Mental Health, 3(1), 37-54. 

  19. J. S. Lee & S. Y. Lee. (2014).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recovery for mental disord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457-465. 

  20. B. H. Im & H. S. Choi. (2014). Determin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health screening center by health examination at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457-467. 

  21. H. O. Jung & S. W. Han. (2018). A concept analysis of prisoner corre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357-3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