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y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Defense Style of Mother and Child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550 - 563  

이동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이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이의 체계적 인과구조와 다차원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외현화 행동의 감소를 통한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 가족의 순적한 정상화과정(normalization process)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동 및 어머니 1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간 관계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매개변인으로,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아동의 외현화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이에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전제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행동지원 등의 효과적 전략 기틀 위에 과보호 행동변화를 위한 직접적 전략, 아동의 의도적 통제성향과의 병행전략, 어머니의 대처전략 적용을 통한 차선적 전략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ies are the result of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empirically verifies its systematic causal structure and multidimensional influence relationship. It was attempted to derive practical imp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초점은 첫재, 그간 조사접근의 어려움으로 연구대상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장애아동을 주대상으로 하고, 장애특성의 부수적 특성으로 왜곡하여 치부해오던 외현화 행동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자 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등 외적 행동특성의 관계를 단순관계로 규병하지 않고, 아동의 심리내적 특성의 중개 효과를 설정함으로써 내외적 특성발현의 보다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같은 맥락에서 일련의 메커니즘 하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특성의 역동적 조절 효과를 설정함으로써 관계지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맥락의영향도 함게 고려하여 홤의도출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에게 외재적으로 발현되는 문제행동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제거 혹은 완화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체계적 실증분석을 통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및 어머니관련 주요 변인들의 인과구조와 관계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함으로써 아동-어머니 관계 하에서 실천 가능한 효과적 실천전략의 구체적 방향과 내용에 대해 탐색하여 근거기반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EBP)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이에 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및 어머니관련 주요 변인들의 인과구조와 관계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함으로써 아동-어머니 관계 하에서 실천 가능한 효과적 실천전략의 구체적 방향과 내용에 대해 탐색하여 근거기반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EBP)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초점은 첫재, 그간 조사접근의 어려움으로 연구대상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장애아동을 주대상으로 하고, 장애특성의 부수적 특성으로 왜곡하여 치부해오던 외현화 행동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자 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등 외적 행동특성의 관계를 단순관계로 규병하지 않고, 아동의 심리내적 특성의 중개 효과를 설정함으로써 내외적 특성발현의 보다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등 외적 행동특성의 관계를 단순관계로 규병하지 않고, 아동의 심리내적 특성의 중개 효과를 설정함으로써 내외적 특성발현의 보다 체계적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셋째, 같은 맥락에서 일련의 메커니즘 하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특성의 역동적 조절 효과를 설정함으로써 관계지향적이고 상호작용적인 맥락의영향도 함게 고려하여 홤의도출의 유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에게 외재적으로 발현되는 문제행동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제거 혹은 완화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체계적 실증분석을 통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 및 어머니관련 주요 변인들의 인과구조와 관계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함으로써 아동-어머니 관계 하에서 실천 가능한 효과적 실천전략의 구체적 방향과 내용에 대해 탐색하여 근거기반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EBP)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초점은 첫재, 그간 조사접근의 어려움으로 연구대상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장애아동을 주대상으로 하고, 장애특성의 부수적 특성으로 왜곡하여 치부해오던 외현화 행동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W. S. Grolnick and M. Farkas, "Parenting an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 regulation,"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2nd ed.), pp.89-11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2. 

  2. S. L. Lin, "Coping and adaptation in famil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xceptional Children, Vol.66, pp.201-218, 2000. 

  3. 정미경, 김영희,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제41권, 제8호, pp.123-137, 2003. 

  4.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and Company, 1967. 

  5. R. P. Brinker, R. Seifer, and A. J. Sameroff, "Relations among maternal stress, cognitive developmentand early Intervention in middle-and low SES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98, No.4, pp.463-480, 1994. 

  6. F. J. Elgar, P. J. McGrath, D. A. Waschbusch, S. H. Stewart, and L. J. Curtis, "Mutual influences o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adjustment proble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4, No.4, pp.441-459, 2004. 

  7. H. M. Yoen and E. J. Hyun,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guide of a mother on a young child's attitude towards reading,"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6, No.6, pp.497-523, 2016. 

  8. R. Twoy, P. M. Connolly, and J. M. Novak, "Coping strategies used by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Practitioners, Vol.19, No.5, pp.251-260, 2007. 

  9. R. Thomas, and M. J. Zimmer-Gembeck, "Accumulating evidence for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in the prevention of child maltreatment," Child development, Vol.82, No.1, pp.177-192, 2011. 

  10. N. Eisenberg, C. Valiente, T. L. Spinrad, J. Liew, Q. Zhou, and S. H. Losoya, et al., "Longitudinal relations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impulsivity, and negative emotionality to their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co-ocuuring behavior problem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5, No.4, pp.988-1008, 2009. 

  11. 신준옥,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제10권, 제3호, pp.176-184, 2020. 

  12. 박명화, "행동장애아동의 행동문제 특성에 기초한 사회.정서발달 중재프로그램모형," 특수아동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35-150, 2005. 

  13. P. C. Kendell and L. E. Wilcox,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impulsivity: Concret versus conceptual training in non-self-controled problem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8, pp. 81-90, 1980. 

  14. 이혜정, 유일영, 김소선, "선천성심장병 아동이 인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제17권, 제2호, pp.84-90, 2011. 

  15. 이상명, 박재국, 김혜리, 서보순,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 실태,"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제53권, 제4호, pp.407-428, 2010. 

  16. S. L. Olson, J. E. Bates, J. M. Sandy, and E. M. Schilling, "Early developmental precursors of impulsive and inattentive behavior: From infancy to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43, No.4, pp.435-447, 2002. 

  17. G. H. S. Singer, "Suggestions for a pragmatic program of research on families and disability,"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36, No.3, pp.148-154, 2002. 

  18. 이현아, "정서행동장애아동의 내면화, 외현화 문제의 완화 및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20권, 제4호, pp.763-789, 2013. 

  19. J. M. Berko, "Parent and professional evaluation of family stress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 Disorders, Vol.17, No.4, pp.568-577, 1987. 

  20. M. W. Krauss, "Child-related and parenting stress: Similarities and different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Vol.97, No.4, pp.393-404, 1993. 

  21. 김진경, 박소연, 최종덕,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감각처리 비교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5-84, 2008. 

  22. M. Middleton, S. L. Scott, and K. Renk,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behaviours, an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Vol.18, No.4, pp.323-336, 2009. 

  23. K. Deater-Deckard, "Parenting and child behavioral adjustment in early childhood: A quantitative genetic approach to studying family processes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71, No.1, pp.188-196, 2000. 

  24. 장현숙, 유애란, "장애아동의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귀인 성향과 양육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3-21, 2004. 

  25. G. Kochanska, K. T. Murray, and E. T. Harlan, "Effortful control in early childhood: Continuity and change,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6, No.2, pp.220-232, 2000. 

  26. 박주연, 최영희, 황리라, 박남심,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제22권, 제1호, pp.1-19, 2019. 

  27. 정미경, 김영희,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부적응," 대한가정학회, 제41권, 제8호, pp.123-137, 2003. 

  28. L. J. Lengua,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ity and self-regulation to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ponse to multiple risk," Child Development, Vol.73, No.1, pp.144-161, 2002. 

  29. M. I. Posner and M. K. Rothbart, "Influenting brain networks: Implications for educa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 Vol.9, No.3, pp.99-103, 2005. 

  30. 김효정, 이희선,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13-134, 2015. 

  31. K. Aunola and J. E. Nurmi,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76, No.6, pp.1144-1159, 2005. 

  32. C. M. Rinaldi and N. Howe,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an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daptive behavi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27, No.2, pp.266-273, 2012. 

  33. A. Karreman, C. van Tuijl, M. A. G. van Aken, and M. Dekovic, "Predicting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Interactions among effortful control, parenting, and child gender," Merrill-Palmer Quarterly, Vol.55, No.2, pp.111-134, 2009. 

  34. C. Valiente, N. Eisenberg, C. L. Smith, M. Reiser, R. A. Fabes, and S. Losoya, et al., "The relations of effortful control and reactive control to children's externalizing problems: A longitudinal assessment," Journal of Personality, Vol.71, No.6, pp.1171-1196, 2003. 

  35. Q. Zhou, C. Hofer, N. Eisenberg, M. Reiser, T. L. Spinrad, and R. A. Fabes,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ttention focusing attentional and behavioral persistence, and externalizing problems during school-aged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3, No.2, pp.369-385, 2007. 

  36. 김재희,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6권, 제3호, pp.99-117, 2020. 

  37. H. Chang, S. L. Olson, A. J. Sameroff, and H. R. Sexton, "Child effortful control as a mediator of parenting practices on externalizing behavior: Evidence for a sex-differentiated pathway across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9, No.1, pp.71-81, 2011. 

  38. M. A. Gartstein and B. I. Fagot,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and family adjustment, and child effortful control: Explaining externalizing behaviors for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4, No.2, pp.143-177, 2003. 

  39. C. L. Smith and K. L. Day, "Parenting, anger, and effortful control as predictors of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The role of child sex as a moder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42, No.2, pp.248-256, 2018. 

  40. D. Ihilevich and G. C. Gleser, Defence mechanism: Their classification correlateand measurement with the defence mechanism inventory, Owosso, MI:DMIAssoc, 1986. 

  41. G. E. Vaillant, Empirical Studies of ego mechanism of defense, A.P.A. Washington: Psychiatry Press. D. E, 1986. 

  42. 정재권, "지체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10권, 제4호, pp.245-265, 2009. 

  43. W. Mellick, C. Sharp, and A. Wilkinson, "The moderating role of maternal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maternal critical expressed emotion," Child Psychiatry & Human Development, Vol.48, No.4, pp.546-553, 2017. 

  44. 고재홍, 김미정,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방어기제들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제22권, 제4호, pp.161-183, 2009. 

  45. T. M. Achenbach, and Rescorla, Manual for the ASEABA perschool forms & profiles, L. A., 2000. 

  46.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K-CBCL아동.청소년 행동 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008. 

  47.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8. Putnam and Rothbart, "Development of Short and Very Short Forms of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87, No.1, pp.103-113, 2006. 

  49. 문영경, "어머니-유아의 정서적 가용성과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한국생활과학회회지, 제23권, 제1호, pp.15-29, 2014. 

  50. 조성호, "한국판 방어유형질문지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1권, 제2호, pp.115-137, 1999. 

  51. 변부경,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방어양식,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3. S. M. Eyberg, "A parent-child interaction model for the treatment of psychologicalthe meeting of the We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ril 1979, San Diego, CA, 1979. 

  54. S. M. Eyberg, "Tailoring and adapting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to new opulations,"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Vol.28, No.2, pp.197-20, 2005. 

  55. M. A. Ward, J. Theule, and K. Cheung,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 for child disruptive behaviour disorders: A meta-analysis," Child & Youth Care Forum, Vol.45, No.5, pp.675-690, 2016. 

  56. 최하영,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국내 실험 연구," 분석행동분석.지원연구, 제4권, 제2호, pp.23-43, 2017. 

  57. G. Sugai and R. Horner, "The evolution of discipline practices: School-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 Child & Family Therapy, Vol.24, No.1/2, pp.23-50, 2002. 

  58. A. Ghanizadeh, M. J. Alishahi, and H. Ashkani, "Helping families for caring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AIM), Vol.12, No.5, pp.478-482, 2009. 

  59. A. P. Williford, S. D. Calkins, and S. P. Keane, "Predicting change in parenting stress across early childhood: Child and matern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35, No.2, pp.251-26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