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가로수 관리 품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s of Cost Estimation in Order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Street Tre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4, 2022년, pp.20 - 36  

도윤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로수 관리의 합리적인 표준품셈 항목 및 적정 단가 설정을 통한 고품질 가로수 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가로수 관리항목은 가로수 전정을 제외하고, 일반 조경수 품셈을 가로수 관리 품셈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전력공사에서는 표준전기품셈의 가지치기 항목을 적용하여 표준품셈 대비 강전정의 경우 평균 51%, 약전정의 경우 평균 39% 낮은 단가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가로수 관리 품질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없는 한계로 판단되었으며, 가로수 관리의 적정 단가 기준이 필요함을 뜻한다. 가로수 관리 품셈을 개선하기 위해 현업에서 투입되는 비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국내의 조경 분야 실적공사비에 대한 데이터의 부재로 미국 RSMeans Building Construction Cost Data(RSMeans)의 세부항목을 검토하였다. RSMeans란 1942년부터 누적된 미국의 실적기반 적산방식으로 주로 연방교통부와 각 주정부의 도로국을 중심으로 공사비를 산정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RSMeans는 지속적인 신기술 도입과 노동 및 재료비용의 계속된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매해 건설제품과 방법을 찾고 수량화하며, 생산성 비율을 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경 관리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RSMeans의 세부항목과 현행 인건비 등을 적용하여 실적공사비를 산출하였다. 적용 결과 표준품셈은 실적공사비와 비교하면 가로수 전지의 강전정의 경우 107%로의 양호한 비율이었지만, 약전정은 59%로 과소 설계가 되어 있었다. 또한, 관목 전정은 82%, 제초는 92%, 교목 시비는 87%, 방풍벽 설치는 91% 수준으로 과소 설계되어 있었다. 살수차 관수와 약제 살포는 각각 118%와 124%의 비율로 실적공사비와 비교하면 과대 설계된 부분도 확인하였다. 과소평가된 항목들은 가로수의 특수성으로 도로 안전통제 등으로 인건비 및 장비의 투입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표준품셈의 조경 유지 관리항목에 일반 조경수뿐만 아니라 가로수에 관한 항목 추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high-quality street tree management by setting reasonable management items and appropriate unit prices by reviewing the adequacy of current street tree management. Currently, street tree management items, except for street tree pruning, use general landscape...

주제어

참고문헌 (15)

  1. Kang, L. S., H. W. Jeong, J. H. Kwon and S. M. Youn(2006) Improvement method of cost estimating based on actual unit price for small size construction. Proceedings of 2006 Annual Conference, 1060-1063. 

  2. Han, B. H., K. J. Lee, J. W. Choi, J. I. Kwak, J. Y. Kim, I. T. Choi, H. K. Kang, S. W. Lee, S. J. Lee, K. S. Ki, J. H. Jang, T. H. Noh, J. H. Yeum, K. W. Kim, J. Y. Hur, S., C. Park, T. Y. Choi, H. S. Kim, M. Y. Lee, S. S. Im, J. H. Song, J. M. Jung, H. E. Jung, S. Y. Yoo, J. J. Kim and J. H. Kim(2014) Development of Composition and Management Model of Street Tree by Road and Environment Type.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 348. 

  3. Jeon, S. H. and K. J. Koo(2008) Comparison of Labor inputs from standard quantities per unit and actual quantities in apartment reinforced concrete work.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9(2): 182-189. 

  4. Jo, H. K. and T. W. Ahn(2001)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trees in urban ecosystem in the case of Yongi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3): 38-45. 

  5. Jung, U. S. and K. S. Choi(2012) Comparative study of cost estimate system in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comparison of unit price between actual construction cost and standard quantity per uni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97-111. 

  6. Kang, J. H.(2014) The Shading Effects of Double Row Street Trees on the Thermal Comfort Index.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 69. 

  7. Kim, K. H. and H. S. Baek(2015)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SMeans and standard estimating system for selective finish demolition in remodeling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1(3): 73-80. 

  8. Kim, H. S.(2012)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age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arge-Scale Green Area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p. 119. 

  9. Kim, S. B. and H. D. Kim(2002) Influences of urban trees on the control of the temp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3): 25-34. 

  1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2019) Construction Standard Estimating System. 

  11. Lee, K. H. and J. C. Yun(2009) Characteristics of periodical changes on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1): 131-138. 

  12. Park, Y. J. and T. K. Kim(2000) Establishment of roadside tree plant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 93-103. 

  13. Yun, J. C. and K. H. Lee(2011) A studies of amendment a standard of estimated unit manpower and material of landscape architectural construction work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19-126. 

  14. https://www.law.go.kr 

  15. https://www.fores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