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산 처리에 따른 활성탄 표면의 친수성 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ydrophilic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surface by nitric acid treat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8 no.5, 2021년, pp.1241 - 1248  

강혜주 (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  양소영 (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  김태민 (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  김용렬 (대진대학교 에너지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 4 차 산업혁명이 일어남에 따라 각국의 정부와 기업들은 보다 환경친화적인 정책과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다. 배기가스 배출과 소음이 거의 없는 전기차수소차의 개발, 그리고 이를 보편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등 기존의 경제, 산업 구조를 친환경적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여러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유해 가스 흡착 및 폐수 처리용으로 활성탄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흡착질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표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수요에 걸맞는 활성탄의 개발이 점차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수성 유기물 제거에 유리한 활성탄을 개발하고자 C-O, C-O-C, C=O 및 O=C-O 등과 같은 친수성 작용기를 질산처리 방법을 통해 활성탄 표면에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산을 활용하여 끓는점 및 다양한 농도 조건에서 활성탄을 환류, 개질하였고, 이를 세척 후 고온에서 탄화시켜 활성탄의 표면을 개질하였다. 제조된 개질활성탄은 활성탄의 비표면적, mesopore 및 micropore 의 함량을 알기 위하여 BET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4M 120 ℃에서 개질한 결과 가장 높은 792.22 m2g-1 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된 활성탄의 표면 및 기공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SEM, XPS, EDX, BET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산 처리 정도에 따른 특성 변화에 대해 비교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gure out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governments and companies are investigating more environmentally policies and technologies. In other words, activated carbon is widely used for the adsorption of different harmful gases and waste liquid treatment. However since the requi...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5)

  1. Y. Gokce, Z. Aakas. "Nitric acid modification of activated carbon produced from waste tea and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and phenol" Applied Surface Science, Vol.313, No.- pp.352-359, (2014) 

  2. D. H. Lee, S. K. KAM, S. W. Lee, M. G.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s According to Impregnation Concentrations and Inlet CO2 Gas Concentra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19, No.12, pp.1403-1407, (2010) 

  3. H. R. Kang, Y. H. Lee, H. K. Eom, S.S. Kim. "Trends and Prospects of Adsorption Technology for Indoor Carbon Dioxide Reduction".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Vol.23, No. 4, pp.1-12, (2020). 

  4. Y. H. Lim, Y. M. Jo, S. H. Kim.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using Pelletized AC with Amine impregnation," Korean journal of oil and fat chemistry, Vol.30, No. 1, pp. 88-95, (2013) 

  5. K. H. Kang, S. K. Kam, S. W. Lee, M. G.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s by NaOH Activ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11, No. 11, (2007) 

  6. J. Y. Lee, S. W. Kim, E. J. Sim, S. C. Lee, H. T. Jang.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or Carbon Dioxide Saparation."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pp. 316-318, (2008) 

  7. W. M. A Wan Daud, A. H. Houshamnd. "Textural characteristics, surface chemistry and oxidation of activated carbon", Journal of Natural Gas Chemistry, Vol.19, Issue 3, pp.267~279, (2010) 

  8. S. K. An, W. J. Song, Y. M. Park, H. A. Yang, J. H. Kweon. "Effects of chemical modification on surface characteristics and 2,4-dichlorophenol adsorption on activated carb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34, No.6, pp.425-435, (2020) 

  9. J. K. Kim. "Functions and Performance of Activated Carbon Filter." Air Cleaning Technology, Vol.21, Issue 4, pp.13-24, (2008) 

  10. T. Mi, L. Chen, S. Z. Xin, X. M. Yu. "Activated Carbon from the Chinese Herbal Medicine Waste by H3PO4 Activation", Journal of Nanomaterials, Vol.2015, pp.1-9, (2015) 

  11. S. K. Kim, M. J. Kim, E. J. Song, Y. S. Lee. " Effects of Oxygen Functional Groups introduced onto Activated Carbon Fibers on Gas Sensing Property of Chemical Warfare Agent " Appl. Chem. Eng, Vol.30, No.6, pp. 719-725, (2019) 

  12. S. W. Lee, S. K. Kam, M. K. Lee. "Comparison of Surface Characteristics and Adsorption Rate of Benzene Vapor According to Modifications of Activated Carb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17, Issue 8 pp.919-924, (2008) 

  13. S. C. Park. S. W. Choi. , "Manufacture of Iron, Copper and Silver Ions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28, No.4, pp.384-388, (2006) 

  14. D. I. Jang, K. S. Cho, S. J. Park. "Influence of Amine Surface Treatment on Carbon Dioxide Adsorption Behaviors of Activated Carbon Nanotubes", Appl. Chem. Eng, Vol.20, Issue 6, pp.658-662, (2009) 

  15. K. Y. Choi, K. S. Kim, T. W. Kim, M. K. Jun, H. K. Park. "Development of Metal Loaded Activated Carbon Fiber for Eliminating Targeted VOCs Originated from Solv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5, Issue 1, pp.31-3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