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AI 교육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정의 및 구성 요소 연구
A Study of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Data Literacy for K-12 AI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5, 2021년, pp.691 - 704  

김슬기 (한국교원대학교) ,  김태영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 기술의 발달은 우리 삶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생활에서부터 사회, 경제에 이르기까지 AI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AI와 데이터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함께 커지고 있다. 이에 OECD 교육 연구 보고서 및 다양한 국내 정보과 교육과정 연구에서 데이터와 데이터 리터러시를 다루고 필수 역량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정의와 구성 요소의 내용과 범위가 연구자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주요 연구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활용된 단어 빈도 분석과 함께 Word2Vec 딥러닝 자연어 처리 방법을 통해 단어의 관계와 의미 유사도를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데이터 리터러시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및 활용하여 정보로 처리하는 지식 구성과 의사소통의 기초 능력'으로 정의하였으며,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로 각각의 구성 요소를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 리터러시의 정의와 구성 요소가 AI 교육 체계화와 학생들의 미래 역량 관련 교육 연구에 좋은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our lives. The importance of AI and data education is also growing as AI's influence from life to society to the economy grows. In response, the OECD Education Research Report and various domestic information and curriculum studies d...

주제어

참고문헌 (35)

  1. Lee, E. (2020).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K-12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1). 37-44. 

  2. Korean Government. (2020). A Plan to Spread AI SW Education for People Across the Country. https://www.4th-ir.go.kr/article/download/710 

  3.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e Direction of Education Policy and Key Tasks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4. Kim, K., Koo, D., Kim, S., Kim, S., Kim, Y., Kim, J., Kim, J., Kim, C., Kim, C., Kim, H., Kim, H., Park, N., Park, J., Park, P., Seo, I., Seo, J., Sung, Y., Song, T., Lee, Y., Lee, J., Lee, J., Lee, H., Lee, H., Jeon, S., Jeon, Y., Jung, Y., Jung, I., Choi, S., Choi, J., & Han, S.(2020). Development a Standard Curriculum Model of Next-generation Software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4), 337-367. 

  5. Kim, J., Woo, H., Yang, H., Kim, M., Kim, S., Lee, S., Kim, B., Kim, Y., Kwak, J., Choi, H., Jung, I., Lee, Y., & Lee, W.(2020). Information and standard curriculum proposals for the 2022 amendm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1), 1-28. 

  6. Kim, H., Kang, S., Heo, H., Choi, H., Jeon, Y., Song, T., Park, Y., Kim, S., Jeon, S., Nam, J., Jung, Y., Lim, J., Koo, J., In, J., Shin, S., & Ko, J. (2021). Big idea proposal for future information and curriculum. Seoul. Korea Science and Creativity Foundation Research Report. 

  7. Kim, S., Jeon, Y., Kim, T.,(2021). A Study on Data Preprocessing Content Knowledges According to School Leve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4(4), 1-7 

  8.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1).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rea and Content Elements Se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9.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10. NCIC. (2020). 2015 Revised Curriculum. 

  11. Han, J., Shin, Y. (2020).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AI research papers, 1(2), 20-33. 

  12. Han, S.(2020). Digital Content to Improv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bil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5(12), 93-100 

  13. Goo, D., Kim, D. (2020). Development of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mode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31, 203-215. 

  14. Lee, K., Lee, Y. (2021). Development of AI core concept-based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1(1), 68-88 

  15. Wikipedia (2021). DATA. https://en.wikipedia.org/wiki/Data 

  16. Bae, H. (2019).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51(1), 95-120. 

  17. Lee, S., Kim, T.(2019). Exploring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data literacy in computer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2), 33-36. 

  18. Song, Y.(2021). Developing a Data-Based Discussion Class Model for Improving Data Literacy. Master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Shields, M. (2005). Information literacy, statistical literacy, data literacy. IASSIST quarterly, 28(2-3), 6-6. 

  20. Qin, J., D'ignazio. J.(2010). The central role of metadata in a science data literacy course. Journal of Libratu Metadata. 10(2-3), 188-204 

  21. Carlson, J., Fosmire, M., Miller, C. C., & Nelson, M. S. (2011). Determining data information literacy needs: A study of students and research faculty.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11(2), 629-657. 

  22. Mandinach, E. B., Gummer, E. S. (2012). Navigating the Landscape of Data Literacy: It IS Complex. WestEd. 

  23. Prado, J. C., Marzal, M. A. (2013). Incorporating data literacy into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Core competencies and contents. Libri, 63(2), 123-134. 

  24. Deahl, E. (2014). Better the Data You Know: Developing Youth Data Literacy in Schools and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Master thesis. MIT University. 

  25. Bhargava, R., D'Ignazio, C. (2015, J). Designing tools and activities for data literacy learners. In Workshop on Data Literacy, Webscience. 

  26. D'Ignazio, C., Bhargava, R. (2015). Approaches to building big data literacy. In Proceedings of the Bloomberg data for good exchange conference. 

  27. Frank, M., Walker, J., Attard, J., & Tygel, A. (2016). Data Literacy-What is it and how can we make it happen?. The Journal of Community Informatics, 12(3). 

  28. Mandinach, E. B., Gummer, E. S. (2013). A systemic view of implementing data literacy in educator preparation. Educational Researcher. 42(1), 30-37. 

  29. Bhargava, R., Deahl, E., Letouze, E., Noonan, A., Sangokoya, D., & Shoup, N. (2015). Beyond data literacy: Reinventing community engagement and empowerment in the age of data. 

  30. Ridsdale, C., Rothwell, J., Smit, M., Ali-Hassan, H., Bliemel, M., Irvine, D., Kelly. D., Matwin. S. & Wuetherick, B. (2015). Strategies and best practice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Knowledge synthesis 

  31. Koltay, T. (2015). Data literacy: in search of a name and identity. Journal of Documentation. 

  32. Wolff, A., Gooch, D., Montaner, J. J. C., Rashid, U., & Kortuem, G. (2016). Creating an understanding of data literacy for a data-driven society. The Journal of Community Informatics, 12(3). 

  33. Matthews, P. (2016). Data literacy conceptions, community capabilities. The Journal of Community Informatics, 12(3). 

  34. Carrie S. Daniel. F., Cynthia. C., Kathy. B., Nicole. B., Pamela. P., Jennifer. L., (2020). Teaching and Assessing Data Literacy.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ch. Northern Arizona University 

  35. Ayre, C., Scally, A. J. (2014). Critical Values for La 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 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