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산생물병원체의 등급 마련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Classification of Pathogens in Aquatic Animal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4 no.5, 2021년, pp.585 - 595  

조미영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  민은영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협력과) ,  최혜승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정승희 (국립수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most of aquatic animal pathogens are considered opportunistic and many pose a low direct risk to personnel, all personnel working with aquatic pathogens and facilities using these organisms must comply with the regulation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pathogen into the environment and c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특히, 수산생물병원체 또는 수서 환경에서 유래된 미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은행은 국내에서 KoCAM이 유일하며, 국제적으로도 5개의 은행 밖에 없을 정도로 그 수가 적은 편이다. WDCM에 데이터가 등록된 시점이 모두 달라 각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수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수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중국과 우리나라가 가장 많은 수산 미생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이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KoCAM을 비롯해, 중국수산과학원 황해수산연구소(China Marine Microbe collection, CMMC), 호주 타즈매니아 주정부에서 운영하는 타즈매니아 어류세균은행 (Tasmanian collection of fish bacteria, TCFB)은 수산생물의 질병에 대한 연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병원체 자원의 수집·보관 등 전문은행의 운영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연구

  • 앞으로 무한한 가치가 기대되는 미생물자원을 산업적으로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미생물자원을 발굴하고, 동시에 수집된 미생물의 유용성을 구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미생물을 활용해, 생물공학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인위적인 변화를 가하거나, 잘못된 사용 및 의도적으로 악용할 경우, 관련 산업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피해 정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위해를 예방하고, 비정상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위해도에 따른 분류 및 그에 상응하는 관리 절차도 마련되어져야 한다.
  • 앞서 언급한 것처럼, 수산생물의 수출입 과정에서 매우 까다롭게 국가의 질병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EU (DIRECTIVE 2000/54/ Council DIRECTIVE 89/391/EEC)를 비롯해 캐나다, 호주 및 미국 등에서는 생물안전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면서, 수산생물병원체에 대해서도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해당 병원체를 취급, 운영하는데 필요한 표준 매뉴얼도 마련하고 있다. 현재까지 수산생물병원체 중에서 심각한 인수 공통감염병을 일으키는 것은 없지만, 취급을 소홀히 할 경우, 해수나 담수 생태계로 유입되어 새로운 질병의 원인체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취급에 필요한 밀폐시설 기준, 관리 요령 등의 제도가 마련되어져야 한다.
  • 따라서, 국내에서도 수산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에 대한 위험등급을 구분하고, 취급시설에 대한 운영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서는 병원체별로 감염 숙주에 대한 위험평가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 이미 국제적으로 수산생물병원체를 대상으로 한 위험평가에 필요한 절차와 매뉴얼이 마련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수산생물전염병에 제한적이지만 수입 시 필요한 위험분석 절차가 고시로 마련되어있다. 호주와 EU 국가들간에 수산생물병원체에 대한 위험등급에 차이가 있었던 것은 국가별로 감염숙주의 범위와 환경 내에서의 생존 잠재력, 병원체의 감염력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수서생태계와 서식하는 수산생물,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위험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산생물병원체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군 분류를 위해서는 인체에서 추진된 사례처럼, 수산생명의학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조사 대상 미생물을 선정하고 위험평가를 통해 위험군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 호주와 EU 국가들간에 수산생물병원체에 대한 위험등급에 차이가 있었던 것은 국가별로 감염숙주의 범위와 환경 내에서의 생존 잠재력, 병원체의 감염력 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수서생태계와 서식하는 수산생물,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위험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수산생물병원체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군 분류를 위해서는 인체에서 추진된 사례처럼, 수산생명의학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조사 대상 미생물을 선정하고 위험평가를 통해 위험군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에서 발생하거나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병원체에 대한 포괄적인 위험등급분류를 위해서는 먼저, 수산생물병원체의 종류를 리스트화하고, 감염 숙주의 범위, 병원성 정도, 환경에서의 생존과 확산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험평가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수산생물병원체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군 분류를 위해서는 인체에서 추진된 사례처럼, 수산생명의학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조사 대상 미생물을 선정하고 위험평가를 통해 위험군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즉, 국내에서 발생하거나 국내 유입이 우려되는 병원체에 대한 포괄적인 위험등급분류를 위해서는 먼저, 수산생물병원체의 종류를 리스트화하고, 감염 숙주의 범위, 병원성 정도, 환경에서의 생존과 확산 범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험평가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 현재 해양수산생명자원 목록집에 포함된 수산 미생물자원에 대한 등급 분류 기준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경제적, 생태적, 학술적 가치 등 생명자원이 가지는 효용성만 분류 기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에 대해서도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 현재 해양수산생명자원 목록집에 포함된 수산 미생물자원에 대한 등급 분류 기준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경제적, 생태적, 학술적 가치 등 생명자원이 가지는 효용성만 분류 기준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에 대해서도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인체나 가축병원체와 유사한 평가 기준을 적용한다면, 대분류 기준으로 병원체 위해도가 추가되고, 중분류 기준으로 수산생물 위해성, 환경생태 위해성, 인체 위해성 등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 병원체자원은 질병을 치료하고 제어하는 기술의 자체 개발에서 유익한 연구자원이며 필수 불가결한 원료이므로, 의약품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병원체를 탐색하고, 양식현장의 최신 병원체를 확보해서, 국가 자원화하는 것이 가장 우선되어져야 한다. 하루빨리 수산생물병원체를 포함해서 수산미생물자원을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위해 활용성과 위해도가 모두 고려된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BSA(American Biological Safety Association). 2021. Risk group classifications for infectious agents. Retrieved from https://ABSA.org on Jul 8, 2021. 

  2. Belgian Biosafety Server. 2021. Tool-Belgian classification for micro-organisms based on their biological risks. Revised lists of pathogens and their corresponding class of biological risk. Retrieved from https://www. Belgian Biosafety Server/biosafety on Jul 8, 2021. 

  3. Canadian Biosafety Guideline. 2018. Conducting a biosecurity risk assessment. Retrieved from https://www.canada.ca/en.public-health/services/canadian-biosafety-standardsguidelines/guidance.html on Jul 8, 2021. 

  4. ePATHogen. 2021. Risk group database. Retrieved from https://health.canada.ca/en/epathogen on Jul 14, 2021. 

  5. Heo MS, Kim CM, Hwang SY and Lee HJ. 2016.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es for microbial resources. Microorganism resources division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1-2. 

  6. KDCPA(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DCPA, Cheonju, Korea, 174-178. 

  7. KDCPA(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8. Korea biosafety standard and guideline. First edition. KDCPA, Cheonju, Korea, 484-534. 

  8. KDCPA(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Korea biosafety standard and guideline. Second edition. KDCPA, Cheonju, Korea, 596-659. 

  9. KIOST(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2017. Report of the marine microbial culture collection in South Korea. KIOST, Seoul, Korea, 13. 

  10. Lee JY, Eun SJ, Park KD, Kim JK, Im JS, Hwang YS and Kim YI. 2005. Biosafety of microbiological laboratories i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38, 449-456. 

  11. Makkonen J, Vesterbacka A, Martin F, Jussila J, DieguezUribeondo J, Kortet R and KoKKo H. 2016. Mitochodrial genomes and comparative genomics of Aphanomyces astasi and Aphanomyces invadans. Sci Rep 6, 36089. https://doi.org/10.1038/srep36089. 

  12. Marine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2021. Designated marine bio-resource. Retrieved from http://rank.mbris.kr/designation/main on Sep 19, 2021. 

  1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9. Survey on the status of domestic bio-industry in 201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Seoul, Korea, 35-43. 

  14. NBPRC (National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2020. Predictions for the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Retrieved from https://www.bioin.or.kr on Jul 8, 2021. 

  15. NI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17. Preservation, characterization, database and collective management for agricultural microbial resources. NIAS, Wanju, Korea, 7. 

  16. Song SJ, Lee KM and Hwang KJ. 2015. Essential to "Act on the promotion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pathogen resources". Public H, earth Weekly Report 8, 1068-1071. 

  17. University of Tasmania. 2021. Aquatic risk groups. Retrieved from https://www.utas.edu.au/research-admin/research-integrity-and-ethics-unit-rieu/biosafety/risk-groups/aquatic-riskgroups on Aug 7, 2021. 

  18. WDCM (World Data Centre for Microorganisms). 2021. Culture collections information worldwide. Retrieved from http://www.wfcc.info/ccinfo/ on Aug 7, 2021. 

  19. WFCC (World Federation for Culture Collections). 2021. WFCC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ollections of microorganisms. Retrieved from http://www.wfcc.info/guidelines/ on Aug 7, 2021. 

  20.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Laboratory biosafety manual. Third edition (revised). Retrieved from https://www.patho.org/en/documents/laboratory-biosafety-manual-3rd-edition-who-2005 on Aug 7, 2021. 

  21. Yoon Y. 2019. Risk group and biosafety level of biological agents. M.S. Thesis, Sun Moon University, Asan, Korea. 

  22. Yoon YS and Lee HC. 2019. Risk Groups of biological agents and biosafety level applications.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34, 352-358. https://doi.org/10.7841/ksbbj.2019.34.4.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