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Family Policies, and Gender Equality on Fertility Rate : Focused on OECD Countrie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2, 2021년, pp.41 - 52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가족정책변수, 양성평등가치변수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9년까지 30년 간 OECD회원국의 출산율 자료와 UNDP 자료, World Value Survey 자료를 시계열로 결합한 패널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인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1단계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통제변수를 투입하였고, 가족정책변수, 양성 평등가치변수 순으로 변수를 추가하면서 각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첫째,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각 모형에서 출산율에 양의 영향을 보였다. 즉,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족정책변수인 부성 출산휴가기간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모성 출산휴가기간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양성평등가치변수인 성불평등지수가 높은 국가에서 출산율이 높았다. 또한 성평등 가치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낮았으며, 성평등 가치관을 3개 하위지표로 분리하여 분석했을 때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양성 평등한 가치를 보일수록 출산율이 낮았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는 경제활동이 저출산의 원인이 아니며, 경제활동참여와 출산율이 동시에 상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남녀의 출산휴가와 같은 정책적 지원, 그리고 남녀의 성평등 가치가 출산율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출산율은 가족의 시간, 소득 등 자원에 대한 배분과 관리, 자녀양육분담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이나 이를 지원하는 가족정책과 성평등 가치가 통용되는 사회적 기반 위에서 제고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family policies, and gender equality are related to fertility rate across countries. Multiple measures has been collected from various data sources(such as OECD, UNDP, and WVS) and the panel data set which includes (mostly...

주제어

참고문헌 (44)

  1. 고선강(2016).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3), 151-171. 

  2. 김사현.홍경준(2014). 출산율 및 여성노동참여율에 대한 가족정책의 영향: 정책균형관점에서 본 OECD 21개국 비교 연구. 사회복지정책, 41(2), 213-238. 

  3. 김인춘.최정원(2008). 한국의 저출산 현상과 성평등: 인구 정책과 여성정책의 연계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6(1), 312-343. 

  4. 남국현(2018). 출산율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불평등지수를 중심으로-. 여성경제연구, 15(2), 49-71. 

  5. 민연경.이명석(2013). 저출산 정책과 양성평등문화의 출산율 제고 효과: OECD 1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2), 103-132. 

  6. 송다영(2005).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4), 225-551. 

  7. 송유미.이제상(2011).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1), 27-61. 

  8. 신윤정(2014). 인구 대응을 위한 가족 정책의 전략. 보건복지 포럼, 213, 36-49. 

  9. 신윤정.김지연(2010). 자녀 양육비용 추계와 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윤승희(2013). 복지국가의 가족정책과 계층 간 출산수준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40(2), 1-34. 

  11. 은석(2015). 교육 및 사회정책의 출산율 고양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System-GMM을 활용한 26개국 18년간의 패널 자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2), 5-31. 

  12. 이소영.김은정.박종서.변수정.오미애.이상림.이지혜(2018).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 조사.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이제상.송유미(2016). 사회경제적 발전, 양성평등 그리고 출산율의 결정요인-가족 중심축의 수평화 2단계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1), 256-270. 

  14. 정진화.김현숙.임지은(2019). OECD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 Becker 및 Esterlin 가설 검증과 가족정책의 효과와 시사점. 재정학연구, 12(4), 1-47. 

  15. 조선일보(2021. 2. 25). 출산율 0.84명, 전세계 198國 중 꼴찌.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1/02/25/VUY4COP6MRCWFC3GARLOORUJIQ/에서 2020. 02 인출. 

  16. 최영.김슬기(2017). OECD 국가의 아동가족 현금지원정책과 출산율간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60, 59-86. 

  17. 한영선.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1), 49-66. 

  18. 홍성효(2016). 출산결정요인의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선호와 인적 구성의 변화. 아시아여성연구, 55(2), 7-28. 

  19. 홍성희(2020). 남녀의 출산의향, 출산 희망연령과 계획 자녀수의 영향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2), 69-87. DOI : 10.22626/jkfrma.2020.24.2.004. 

  20. 황진영(2013). 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출산의 시기 및 수준에 영향을 미쳤는가?: 국가 간 실증분석. 보건사회연구, 33(3), 361-384. 

  21. Ahn, N. & Mira, P.(2002).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5(4), 667-682. 2002. DOI : 10.1007/s001480100078. 

  22. Balbo, N., Billari, F. C. & Mills, M.(2013).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European Jornal of Population, 29(1), 1-38. 

  23. Becker, G. S. & Lewis, H.(1973). On the interaction between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 S279-S288. 

  24. Becker, G. S.(1993). A treatise on the family. Boston : University Press. 

  25. Becker, G. S., Murphy, K. M. & Tamura, R.(1990). Human capital, fertility,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5), S12-S37. 

  26. Billari, F. & Kohler, H.P.(2004). Patterns of low and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A Journal of Demography, 58(2), 161-176. DOI : 10.1080/0032472042000213695. 

  27. D'Addio, A.C. & M.M. d' Ercole(2005). Trends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27. DOI : 10.1787/1815199X. 

  28. Castles, F. G.(2003). The world turned upside down: below replacement fertility, changing preferences and family-friendly public policy.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13(3), 209-227. DOI : 10.1177/09589287030133001. 

  29. Chesnais, J. C.(1998). Below-Replacement Fertility in the European Union (EU-15): Facts and Policies, 1960-1997. view of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7, 83-101. 

  30. Easterlin, R. A.(1973). Relative economic status and the American fertility swings. In E. Sheldon (Ed) Family Economic Behavior: Problems and Prospects, Lippincott, Philadelphia. 

  31. Gauthier, A. H. & Hatzius, J.(1997).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An Economic Analysis. Population Studies, 51, 295-306. 

  32. Heckman, James, J. & J. R. Walker(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Wages and Income and the Timing and Spacing of Births: Evidence from Swedish Longitudinal Data. Econometrica, 58(6), 1990, 1411-1441. 

  33. Kim, Young-Il(2012). Impact of Direct Cash Transfer on Fertility by Income and Education Subgroup: Study of Allowance for Newborn Children from Quebec, Canada. 한국인구학, 35(3), 29-55. 

  34. Kogel, T.(2004). Did the association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within OECD Countries really change its sig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7, 45-65. 

  35. Luci-Greulich, A. & O. Thevenon(2013). The Impact of Family Policies on Fertility Trends in Developed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9(4), 287-416. 

  36. McDonald, P.(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3), 427-439. DOI : 10.1111/j.1728-4457.2000.00427.x. 

  37. McDonald, P.(2006). Low fertility and the state: The efficacy of polic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2(3), 485-510. 

  38. Morgan, P. S. & Rindfuss, R. R.(1999). Reexamining the link of early childbearing to marriage and subsequent fertility. Demography, 36, 59-75. 

  39. Oppenheimer, V. K., Kalmijn, M. & Lin, N.(1997). Men's Career Development and Marriage Timing During a Period of Rising Inequality. Demography. 34(3), 311-330. 

  40. Rindfuss, R. R., K. B. Guzzo & S. P. Morgan(2003). The Changing Institutional Context of Low Fertility.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2, 411-438. 

  41. Shim, J.(2014). Family Leave Policy and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including East Asia, In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Session 187: Family Policy and Fertility. Boston. 

  42. Sobotka, T.(2004). Is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explained by the postponement of childbearing?.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 195-220. 

  43. Torr, B. M. & Short, S. E.(2004). Second Birth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al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109-130. DOI : 10.1111/j.1728-4457.2004.00005.x. 

  44. Willis, R.(1973). A New Approach to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 S14-S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