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특성이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차이
Effects of family characteristics on the work-life balance of youth in early adolescence: differences between fifth and eighth grader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5 no.1, 2021년, pp.91 - 112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족 특성이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일생활 균형에 가족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을 기초생활 균형, 방과후 학습시간 균형, 여가시간 균형으로 구분하였고, 상대적 시간부족 개념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일생활 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의 2차 조사(2019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위형제자매 유무, 부모의 건강상태, 가구소득,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 대화시간, 어머니의 직종 등 청소년의 가족특성은 청소년의 다양한 생활영역 균형에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가족특성은 중학교 2학년보다 초등학교 5학년의 일생활 균형에 유의미한 영향요인들로 더 많이 나타났다. 초기 청소년의 수면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특성은 부모의 건강상태와 가구소득이었고, 초등학교 5학년의 수면시간에는 어머니의 직종이, 중학교 2학년의 수면시간에는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아침식사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특성은 가구소득, 부모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직종이었다. 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부모의 거부적인 양육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학원과외시간이 3시간 이상인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어머니의 직종은 초등학교 5학년의 학원과외시간 과다와 관련이 있었다. 독서시간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지지 성향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경우와 비교하여 관리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 독서시간이 부족한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낮았다. 어머니의 직종은 휴대폰놀이시간과도 관련이 있었는데, 특히 초등학교 5학년은 전업주부인 어머니와 비교하여 사무직, 판매서비스직, 기계기능직에 종사하는 어머니의 자녀가 휴대폰놀이시간 과다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초기 청소년의 일생활 균형을 증진하기 위해서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이 확대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생활균형을 지지할 수 있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건강한 가정환경 조성을 위한 적극적인 가족정책 시행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family characteristics on the work-life balance of early adolescents. A series of data analyses was conducted on adolescents' use of time in daily life on the basis of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 found that the work-life b...

주제어

참고문헌 (46)

  1.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2. 강현구.정수지.이순형(2014).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청소년의 유형별 학업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4-146. 

  3. 계승희(2019).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1263-1281. 

  4. 고선강(2017).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41-159. 

  5. 고충숙(2012).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30, 8-36. 

  6. 기은광(2018). 전업주부의 일-생활 균형.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 

  7. 기은광(2019). 청소년의 일생활균형- 중고등학생 청소년의 평일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19 가정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8. 김경민.조은영.송지은(2018).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이 아동.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9(1), 7-32. 

  9. 김도연.양혜정(2014).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5(3), 169-197. 

  10. 김성은.김준엽(2019).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X: 데이터분석보고서-청소년 생활시간 유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1. 김외숙(2017). 청소년의 시간사용 및 시간부족감의 변화 : 2004년과 2014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4), 35-59. 

  12. 김외숙.박은정(2012).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4), 119-132. 

  13. 김정운.박정열.손영미.장훈(2005).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효과성. 여가학연구, 2(3), 29-48. 

  14. 김주희.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15. 김태명.이은주(2017).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24(3), 313-333. 

  16. 나영주.황진숙.이은희.고선주.박숙희(2005). 청소년 생활시간의 내용과 유형에 따른 인터넷 이용. 대한가정학회지, 43(12), 15-28. 

  17. 박재홍.유소이(2017). 가구 유형별 청소년의 아침식사 행태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2), 329-340. 

  18. 박정윤.전유진(2016).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35-47. 

  19. 배한진.진미정(2019). 학원 심야교습시간 제한 조례가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친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0(1), 219-250. 

  20. 백병부.황여정(2011).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60, 57-85. 

  21. 서종수.이미영(2016).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57-74. 

  22. 서지원(2015). 맞벌이 가정의 시간사용 실태와 시간빈곤.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23. 소수연.안지영.양대희.김경민(2014). 초기 청소년기의 변화에 대한 부모-자녀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청소년.부모 FGI를 중심으로 -. 청소년상담연구, 22(1), 247-279. 

  24. 손보영.김수정.박지아.김양희(2012). 바람직한 부모 양육태도가 초기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 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성차비교. 한국청소년연구, 23(1), 149-173. 

  25. 송유진(2013).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문화, 25(3), 31-53. 

  26.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27. 유철현.한성호.박영진.박주성.김종은(2006). 컴퓨터 이용시간과 청소년 비만관의 상관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6(4), 207-212. 

  28. 이향미.정혜원(2020).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중등교육연구, 68(2), 389-412. 

  29. 장석진.송소원.조민아(2012).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9(5), 161-187. 

  30. 정은주(2014).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조수경.이소연(2020).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연구, 31(1), 5-32. 

  32. 조영희(2010). 일-가정양립정책을 바라보는 생활과학적 관점에 대한 일고.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33. 조윤정.황준현(2017). 청소년의 규칙적 아침식사를 위한 수면 관련 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0(3), 317-324. 

  34.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8).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35. 조희금.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36. 진미정(2008).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3), 187-211. 

  37. 최정아(2014).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4(2), 294-305. 

  38. 최효임.김성일(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한국청소년연구, 40, 57-92. 

  39. 하문선(2017).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 종단적 변화와 가정환경,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 청소년학연구, 24(3), 25-59. 

  40. KBS뉴스(2020.8.3.). 한국 청소년 평균 수면 7시간 18분 OECD 평균보다 1시간 적어. https://world.kbs.co.kr/service/news_view.htm?langk&Seq_Code361273에서 2020.08 인출. 

  41. Chatzitheochari, S., & Arber, S.(2012). Class, gender and time poverty: a time-use analysis of British workers' free time resourc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63(3), 451-71. 

  42. Dockery, A., Li, J., & Kendall, G.(2016). Sole-parent work schedules and adolescent wellbeing: Evidence from Australia. Social Science & Medicine, 168, 167-174. 

  43. Kuhnle, C., Hofer, M., & Kilan, B.(2012). Self-control as predictor of school grades, life balance, and flow in adolesc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33-548. 

  44. Martin, M., Lippert, A., Chandler, K., & Lemmon. M. (2018). Does mothers' employment affect adolescents' weight and activity levels? Improving our empirical estimates. SSM - Population Health 4, 291-300. 

  45. Miller, A., & Han, W.,(2008). Maternal nonstandard work schedules and adolescent overweigh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95-1502. 

  46. Onwuegbuzie, A., Collins, K., & Frels, P.(2013). Foreword: Using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o frame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ple Research Approaches, 7(1), 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