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기수갈고둥의 분포 및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tribution and Ecology of Clithon retropictus (Martens, 1879)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4, 2021년, pp.317 - 326  

한승필 ((주)애일) ,  황인철 (한서대학교 생명공학과) ,  권순직 ((사)생태계조사평가협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기수갈고둥(Clihton retropictus (Martens, 1879))의 분포 및 생태를 파악하고, 종과 서식지에 대하여 효과적인 보전과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진행하였다. 먼저 기수갈고둥의 분포를 전국적으로 조사하였고, 본 종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염분도 및 하상재료 등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구별 기수갈고둥의 개체크기, 밀도, 이동을 분석하였다. 기수역 일대에서 서식하는 본 종의 특성상 염분도 분석 결과, 간조 시 0.7 ~ 16.6‰, 만조 시 1.0 ~ 17.3‰로 분석되었다. 하상재료 분석결과, 조사대상 하천별 하상재료의 구성에는 다소 차이가 존재하나 대부분 자갈(Pebble, 16 ~ 64 mm) 이상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개체크기는 각경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기수갈고둥이 서식하는 범위가 짧은 경우, 개체크기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서식범위가 길수록 개체크기가 켜지는 경향을 보였다. 개체밀도는 계절별로 측정하였으며, 하계(7월~8월) 및 추계조사(9월~10월) 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확인되었고, 수온이 저하되는 동계(11월~12월)로 갈수록 개체수는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전 및 관리방안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하였고, 활동기인 하계 및 추계조사 시 동계조사 시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기수갈고둥의 서식지 조성, 불가피한 개발행위에 의한 이주사업 및 이주대상지 선정 등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view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Clihton retropictus (Martens, 1879),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designated and prote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산 기수갈고둥에 대한 생태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종에 대한 세부적인 보호 및 보전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멸종위기야생생물로 지정된 한국산 기수갈고둥의 분포와 서식환경 특성을 분석하고, 서식환경에 따른 개체군 및 이동성 등에 관한 생태 정보를 제시하여 향후 기수갈고둥의 보전 및 복원에 요구되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수갈고둥의 서식지 확인을 위하여 기존 서식지를 확인하였고, 새로운 서식지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개체밀도, 이동거리, 개체크기, 환경요인 조사는 본 종이 서식하는 4개 하천을 대상으로 2016년 ∼ 2020년까지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tzer, D. P., and Sharitz, R. R. (Eds.). (2014). Ecology of freshwater and estuarine wetlands. Univ of California Press. 

  2. Choi, S. D., Myeong, N. Y., Choi, S. M., Lee, C., and An, Y. K. (2018).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Clithon retropictus, Level II Endangered Species Declining due to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in its Habita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6(2), 174-79. https://doi.org/10.11626/KJEB.2018.36.2.174 

  3. Furujo, Y., and Tomiyama, K. (2000). Distribution and microhabitat of coexisting two freshwater snail species,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Prosobranchia: Pleuroceridae) and Clithon retropictus (Martens) (Prosobranchia: Neritidae). Japanese Journal of Malacology (Japan). 

  4. Hirata, T., Nishiwaki, S., Ueda, H., Tsuchiya, Y., Sato, T. (1992). Seasonal changes in moving activity of Clithon retropictus (Prosobranchia: Neritidae). Venus, 51, 57-66. 

  5. Hirata, T., Ueda, H., Tsuchiya, Y., Sato, T., and Nishiwaki, S. (1999). Distribution of Clithon retropictus (Gastropoda; Neritida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rivers of Izu Peninsula. Memoirs of Faculty of Education and Human Science of Yamanashi University, 1, 24-30. 

  6. Hirata, T, Nishiwaki S, Ueda H, Tsuchiya Y, Sato T (2000) Monthly changes in the number of spermatophores in the bursa copulatorix of Clithon retropictus (Gastropoda: Neritidae). Memoirs of Faculty of Education and Human Science of Yamanashi University 1: 28-34. 

  7. Hirata, T., Nishiwaki, S., Ueda, H., Tsuchiya, Y., and Sato, T. (2001). Salt tolerance in the brackish and freshwater snail, Clithon retropictus (Gastropoda: Neritidae). Memoirs of Faculty of Education and Human Science of Yamanashi University, 2, 20-28. 

  8. Hitomi, M., and Keiji, W. (2014). Spatia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life history in the neritid gastropod Clithon retropictus in the Kanzaki River Estuary, Osaka, Japan. Plankton and Benthos Research, 9(4), 207-216. https://doi.org/10.3800/pbr.9.207 

  9. Jang, S. G., Cheong, C, J. (2010).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Quality in the Suncheon Ba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2), 47-57. 

  10. Kobayashi, S., and Iwasaki, K. (2002). Distribution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fluvial neritid gastropod Clithon retropictus. Benthos Research, 57(2), 91-101. https://doi.org/10.5179/benthos1996.57.2_91 

  11. Lee, S. D., Kim, M. J., Kim, J. S. (2018).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Clithon retropictus inhabitating in Yeoncho River in Southern Coastal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591-602. https://doi.org/10.13047/KJEE.2018.32.6.591 

  12. Nishiwaki, S. Hirata, T., Ueda, H., Tsuchiya, Y., Sato, T. (1991). Egg-laying season and monthly change in egg capsule production of Clithon retropictus (Prosobranchia: Neritidae) in the Naka River of Izu Peninsula. Venus, 50, 197-201. 

  13. Nishiwaki, S. (1996) Ishimakigai [Clithon retropictus (Martens, 1879)]. In: Nihon no kishou na yasei seibutsu ni kansuru kisoshiryo (III) [Basic data on rare wild aquatic organisms in Japan (III)] (ed Japanese Fishing Agency). Japan Fisheries Resource Conservation Association, Tokyo, pp. 3-7. 

  14. Noseworthy, R. G., Mondol, M. R., Ju, S. J., and Choi, K. S. (2012).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on Martens in Kobelt, 1879, Gastropoda: Neritidae) i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8(2), 81-90. https://doi.org/10.9710/kjm.2012.28.2.081 

  15. Noseworthy, R. G., Lee, H. J., and Choi, K. S. (2013). The occurrence of Clithon retropictus (v. Martens, 1879)(Gastropoda: Neritidae) in an unusual habitat, northern Jeju Island, Republic of Korea. Ocean Science Journal, 48(3), 259-262. https://doi.org/10.1007/s12601-013-0023-2 

  16. Ohara, T., and Tomiyama, K. (2000). Niche segregation of coexisting two freshwater snail species, Semisulcospira libertina (Gould)(Prosobranchia: Pleuroceridae) and Clithon retropictus (Martens)(Prosobranchia: Neritidae). Japanese Journal of Malacology (Japan). doi.org/10.18941/venusjjm.59.2_135 

  17. Ondo, Y., and Nakamoto, Y. (1964). Ecological studies on the natural population of a snail, Clithon retropictus (Martens). Physiology and Ecology, 12, 45-54. 

  18. Park, S. Y., Lee, j, y., Choi, J, U., Heo, N. W., An, S. M. (2016). Study on the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Benthic Ecology and Evaluation on Effect of the Barrage in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1), 58-67. https://doi.org/10.17663/JWR.2016.18.1.058 

  19. Park, S. Y., Patnaik, B. B., Kang, S. W., Hwang, H. J., Chung, J. M., Song, D. K., ... and Kim, C. (2016). Transcriptomic analysis of the endangered Neritid species Clithon retropictus: De novo assembly, functional annotation, and marker discovery. Genes, 7(7), 35. https://doi.org/10.3390/genes7070035 

  20. Shigemiya, Y., and Kato, M. (2001). Age distribution, growth, and lifetime copulation frequency of a freshwater snail, Clithon retropictus (Neritidae). Population Ecology, 43(2), 133-140. https://doi.org/10.1007/PL00012024 

  21. Tiner, R. W. (2016). Wetland indicators: A guide to wetland formation,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Crc Press. 

  22. Yoo, Y. J., Kim, S, J. (201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Difference Occurring between High Tide and Low Tide in Masan Ba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21(2), 102-113. https://doi.org/10.17663/JWR.2019.21.2.102 

  23. Williams, M. (1990). Wetlands: A Threatened Landscape. 

  24. Neritopsine Gastropods. (2010). http://meritopsine.lifedesks.org/taxa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21). http://www.me.go.kr/ 

  26.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0). http://www.marinespecies.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