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을 연계한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 연구 - 금강 수계 대청호 사례 연구 -
Study on the Selecting of Suitable Sites for Integrated Riparian Eco-belts Connecting Dam Floodplains and Riparian Zone - Case Study of Daecheong Reservoir in Geum-river Basin -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3 no.4, 2021년, pp.327 - 341  

반권수 (K-water 물환경처) ,  조명현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  강전경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변생태벨트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고 생태적인 연결성과 건강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다. 국내에서도 수변생태벨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법적인 제도를 운영 중이나 비점오염물질 제어, 생물서식처 등 완충 기능에 유리한 하천, 호소 내의 홍수터는 제외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댐 호소의 소단위별로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의 수질, 생태계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GIS로 대청댐 유역을 138개 소단위로 구분하고 홍수터와 인접한 수변구역을 분석하였다.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수질 영향 관련 16개의 평가인자를 선정하고 AHP분석으로 인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소단위에 제내·외지별, 인자별 가중치를 적용한 통합 평가를 실시하여 적지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GIS 적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대상지들이 실제 조성에 적합한 지역인지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5개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오염원, 생태적인 연계성 등에 대한 현장 검증을 시행한 결과 모든 대상지가 적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수변생태벨트 적지 분석 기법은 향후 통합적인 수변관리 정책 설정시 유용한 도구로써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 대상 댐별 특성과 현안에 따라 다양한 평가인자와 항목별 가중치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지역에 대해 그린-블루네트워크(Green-Blue Network) 측면을 고려한 세부적인 보전·복원방안 마련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의 평가 및 관련 법, 제도 측면의 상호 연계, 개선방안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parian eco-belt is an efficient technique that can reduc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the basin and improve ecological connectivity and health. In Korea, a legal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riparian eco-belts is in operation. However, it is currently excluded that rivers a...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유역을 대상으로 댐 홍수터와 인접한 수변지역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수질, 생태계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그린-블루 네트워크(Green-Blue Network) 측면의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호소 경계로부터 획일적 거리인 수변구역 관리의 대안으로써 댐 홍수터와 인접 수변구역에 대해 실질적인 집수구역인 소단위 중심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실효성이 높은 수변생태벨트 적지 범위를 도출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댐 호소의 소단위별 제외지 댐 홍수터와 제내지 수변구역의 수질, 생태계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 MS (2014). The Environmental Friendly Development Plan of Daecheong-ho Region, Chungbuk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pp. 103-112. [Korean Literature] 

  2. Bahn GS, Lee KH, Uh CH and Cho MH (2020). A Study on the Sustainable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am Lakes and Riverside Buffer Zones: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orean Literature] 

  3. Bahn GS (2021). Analyzing Suitability and Effects of Riparian Eco-belt in Dam floodplains for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PhD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4. Bahn SH, Oh CH (2010). A Development of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Priority Setting Green Space on Riparian Zone. In Proceedings of the academic present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cology. pp. 113-117. [Korean Literature] 

  5. Choi HS, Jeon MS and Kim LH (2020). Effect of Cultivation Activity in Daecheong Lake Flood Control Site on Water Quality. J. of Wetlands Society. 22(1), pp. 49-58. [Korean Literature] 

  6. Choe SJ, Bae MG & Park CS (2010).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iority areas for management for the creation of a waterfront ecological belt.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pp. 80-86. [Korean Literature] 

  7. Choi JY, Jung YJ (2000). Research o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waterside green area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KEI Basic Research Report, 2000, 1-85. [Korean Literature] 

  8. Choi JY, Lee JH (2001). A study o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waterfront green spaces in urban areas. KEI Basic Research Report, 2001, 1-99. [Korean Literature] 

  9.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GRWMC). (201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by Land Purchase in the Geumgang River: research report.. [Korean Literature] 

  10.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GRWMC). (2020a). A study on dam inflow floodplain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revitalization of riparian ecological zone: research report. [Korean Literature] 

  11.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GRWMC). (2020b). A Study on the Agricultural Impact and Management Plan of the Daecheong Reservoir: research report.. [Korean Literature] 

  12.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GRWMC). (2018). The 3rd Geum River Waterfront Area Management Basic Plan(2019-2023). [Korean Literature] 

  13.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HRWMC). (2007), A master plan for the riparian management in the Han river basin. 

  14. Hong JP, Lee JW, Choi OH, Son JD, Choi DG and An DM (2014). A Study on Land Acquisition Priority for Establishing Riparian Buffer Zones in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4), pp. 29-41. [Korean Literature] 

  15. Kim GS and Kang SW (2008). An Analysis on the Factor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in the Yellow-Sea Region Using AHP. J.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11(4): pp. 133-149. [Korean Literature] 

  16. Kim KG. et al. (2000). A research on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Gyeonggi-do, UNDP, ROK/96/007. Seoul National Universit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Land Corporation. [Korean Literature] 

  17. K-water. (2019).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in Yongdam reservoir basin. [Korean Literature] 

  18. K-water. (2020). A research for the riparian ecological belt model in the aspect of integrated water management: Final Report. [Korean Literature] 

  19. Mendlik, T., and Gobiet, A. (2016). Selecting climate simulations for impact studies based on multivariate patterns of climate change. Climatic change.135, pp. 381-393. 

  20.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0). A study on the rational adjustment plan for the waterfront area of the Han River. [Korean Literature] 

  21.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6). The 2n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Basic Plan (2016-2025). [Korean Literature] 

  22.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8). A report on the results of specific audits for the waterside ecological belt creation project. [Korean Literature] 

  23.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9). Algae management policy direction presentation report. [Korean Literature] 

  24.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NRWMC). (2015).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iority project sites for the creation of a waterfront ecological belt. [Korean Literature]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2019). Total Wate Pollution Load Management Guideline. [Korean Literature] 

  2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20).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agriculture - indicators. OECD Agriculture Statistics (database), https://doi.org/10.1787/ac0b4422-en 

  27. Osmond, D. L., Gilliam, J. W., and Evans, R. O. (2002). Riparian buffers and controlled drainage to reduc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North Carolina Agric. Res. Serv. Tech. Bull, 318. 

  28. Parris, K. (2011). Impact of agriculture on water pollution in OECD countries: Rec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Int. J. Water Resour. 27, pp. 33-52. 

  29. Peterjohn, W. T. and Correll, D. L. (1984). Nutrient dynamics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observations on the role of a riparian forest. Ecology, 65(5), pp. 1466-1475. 

  30. Ribaudo, M., Jorge D., LeRoy H., Michael L., Roberto M., and James W. (2011). Nitrogen in agricultural system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olicy. USDA-ERS economic research Report. 127. 

  31. Ryu J, Cho J, Kim IJ, Mun Y, Moon JP, Kim NW, Kim SJ. and Lim KJ. (2011). Enhancement of SWAT-REMM to simulate reduction of total nitrogen with riparian buffer. Transactions of the ASABE. 54, pp. 1791-1798. 

  3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 pp. 3-35. 

  33. Saaty, T. L. (2001). Fundamentals of Decision Making and Priority Theory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2nd ed.). Pittsburgh: RWS Publications, 84. 

  34. Seo JY (2019). Basic Research on Mid-to-Long-term Management Plan of Purchased Land by Evaluating Ecological Function of Waterfront Area of Geum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8(3), 371-384. [Korean Literature] 

  35. Song IH and Kim IJ (2018). Determining widths of riparian ecosystem zone for water quality and ecosystem conservation ? A case study for the Jinwee stream. Rural Planning, 24(2), pp. 21-29. [Korean Literature] 

  36. Shim YJ, Cha JY, Park YS, Lee DJ, Seo YH, Hong JP and Cho DG (2014). A Study on the Land Purchase Priority Measurement of the Riparian Area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 Focusing on the Riparian Areas of the Juam Lake.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pp. 173-184. [Korean Literature] 

  37. Su, X., Wang, H., and Zhang, Y. (2013). Health risk assessment of nitrate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A case study of an agricultural area in Northeast China. Water resources management. 27, pp. 3025-3034. 

  38. Google Earth (2021). https://earth.google.com 

  39. Land Purchase Information System(LPIS) (2021). https://land.me.go.kr 

  40.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EGIS) (2021). https://egis.me.go.kr/map 

  4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NLIC) (2021). https://www.law.go.kr 

  42.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WEIS) (2021). https://www.water.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