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출토 마구류(馬具類)의 조성 및 원료 산지 추정
Compositions and Provenience Studies on Horse Armour Excavated from Changnyeong Gyo-dong and Songhyeon-dong Tumuli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4 no.1, 2021년, pp.4 - 17  

한우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박지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15호분에서 출토된 마구류인 입주부운주와 행엽 18건 19점을 분석하였다. 입주부운주와 행엽은 마구 장신구로 실용성보다는 신분 과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가야문화권 내 모든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으므로 각 문화권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비교할 수 있는 유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입주부운주와 행엽의 부위에 따른 제작 기법 및 원료 산지를 확인하여 5~6세기로 추정되는 비화가야의 금제 유물 제작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입주부운주는 순구리로 제작되었으며, 표면에 금(Au)·은(Ag)·수은(Hg) 등이 함께 검출되어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음이 확인된다. 어린문, 편원어미형 행엽의 분석 결과 바탕층(철)-중간층(구리)-도금층(금·은)이 확인되며, 구리(Cu)와 표면 금(Au)·은(Ag) 도금층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한 철지금동판장 기법으로 확인된다. 심엽형 행엽은 바탕 금속에서는 철(Fe), 표면층에서는 은(Ag)이 주성분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철지은장 기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바탕 금속과 도금층은 원두정을 이용해 고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창녕에서 출토된 마구류 19점의 원료 산지는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마부치히사오(馬淵久夫), 중국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보요(2점) 및 어린문 행엽(1점)은 한반도 남부 태백산분지의 구리 광석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16점은 중국의 구리 광석을 원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19 samples of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which were excavated in Tomb No. 15 in Songhyeon-dong, Changnyeong. Harness fittings and pendants are used for ostentation, rather than practicality, and were excavated from ancient tombs in Gaya culture. So, they are considered artifa...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29)

  1. 강대일, 1993, 한반도 출토 도금 자료의 분석, 문화재 26, 국립문화재연구소, pp.172-210.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9, 1500해앞 16살 여성의 삶과 죽음 - 창녕 송현동 고분군 15호분 순장 인골 복원 연구, p.103. 

  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창녕 송현동 고분군 I-6.7호분 발굴조사 보고서 1권 본문.도면, pp.8-20. 

  4.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2, 창녕 송현동 고분군 II 15-17호분 발굴조사 보고, pp.22, 48-51, 170-171.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5, 가야 이야기 - 가야의 역사, 그리고 우리, p.111. 

  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9,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2016-19년도 발굴조사 현장 공개 자료, p.27. 

  7.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 pp.46, 60. 

  8. 김정근.김기영.박해웅, 1999, 금속현미경조직학, 노드미디어, pp.97-111. 

  9. 김지선, 2008, 고대 금도금 기법에 관한 연구 - 아말감도금.박도금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pp.12-13. 

  10. 남궁영임, 2003, 고신라 금속장신구 연구, 도서출판 북스힐, pp.72-73. 

  11. 남궁훈, 2018, 부여 능산리 고분군 출토 철지금장제품의 도금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pp.1, 50. 

  12. 박보현, 1990, 심엽형 행엽의 형식 분포와 다양성, 역사교육논집, 한국역사교육학회, pp.129-130. 

  13. 박장식.주진옥, 2016, 한국 방짜기술의 출현과정에 관한 금속학적연구: 국립경주박물관 부지 출토 통일신라 청동유물 기준으로,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4 No.12, pp.937-943. 

  14. 이난영, 2012,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43. 

  15. 서나영, 2013, 고구려 입주부운주 연구, 고려대학교, pp.21-24. 

  16. 손은아.권희홍.박학수, 2011, 서봉총.식리총.금령총 출토 행엽 제작기법 연구, 박물관보존과학 12, 국립중앙박물관, pp.35-45. 

  17. 이귀영, 2010, 백제 금속공예의 인각기법과 어자문 고찰, 미술자료 79, 국립중앙박물관. 

  18. 이귀영, 2011, 백제 금동공예기술사 연구, 고려대학교, pp.1-2. 

  19. 이현정, 2016, 가야의 말과 마구, 가야고고학개론, 중앙문화재연구원, p.296. 

  20. 정미연, 2008, 서천 옥북리 유적 출토 청동 및 굼동제 유물의 금속학적 특성과 고고과학적 해석, 공주대학교, p.81. 

  21. 최보배, 2017, 집합조직 분석을 통한 고대 금속선 제작기술 조사, 공주대학교, p.63. 

  22. 馬淵久夫.平尾良光, 1984, アジア.中近東地域鑛床鉛の鉛同位體比システマティクス, 文部省科學硏究費 補助金, 一般硏究 C, p.19. 

  23. 馬淵久夫.平尾良光, 1987, 東アジア鉛?石の鉛同位?比, 考古??誌 73(2), pp.199-245. 

  24. 定森秀夫, 1981, 韓?慶?南道昌寧地域土陶質土器の?討­陶質土器に?する一私見­, 吉代文化 33. 

  25. 穴澤?光·馬目順一, 1970, 昌寧校洞古墳群 ­梅原考古?を中心とした谷井?一氏?掘資料の?究­, 考古??誌 60-4. 

  26. 小林行雄, 1962, 鍍金技法の傳?, 古代の技術, ?選書 24, ?書房, pp.196-197. 

  27. Jeong Youn-joong, Cheong Chang-sik, 2019, 'Lead isotope mapping of galena from base metal deposit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science Jouranal Vol.23 No.2, pp.235-252. 

  28. Jeong Youn-joong, Chenong Chang-sik, Shin Dong-bok, Lee Kwang-sik, Jo Hui-je, Mukesh Kumar Gautam, Lee Insung,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1, pp.116-127. 

  29. Hsu Yiu-kang, Sabatini Benjamin J., 2019, 'A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ad ores in China: An isotope database for provenancing archaeological materials', PLOS ONE 14(4), pp.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