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POS)를 활용한 백화점 방문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Demand for Visiting Department Stores Using Big Data (PO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3 no.4, 2022년, pp.55 - 71  

신성윤 (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 ,  박정아 (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백화점 산업은 소비패턴의 변화에 의해 고급화와 차별화된 복합쇼핑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5개 대규모 회사를 중심으로 70개소가 운영되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개념의 차량 자동입출차 시스템(pos)를 활용하여 백화점의 방문수요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백화점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2021년 신규개점으로 인하여 연간 매출액이 완전치 않은 지점 3곳을 제외한 67개의 지점을 대상으로 어떠한 사건이나 방문에 대한 빈도를 예측할 때 사용되는 음이항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백화점 방문수요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공항·터미널·기차역 여부, 대지면적, 주차대수, VIP라운지수, 명품매장비율, F&B매장 수, 경기·인천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상업지역 여부, 호텔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백화점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 소비자들은 명품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다. 따라서 백화점은 자체적으로 해외 바이어팀을 구성하여 새로운 명품 브랜드를 발굴하여 유치하고, 고객들의 수요가 높은 명품 브랜드를 유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구매력과 충성도 높은 소비자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다 더 차별화된 VIP 고객들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다. 둘째, 신규 백화점 입점은 경기·인천 지역의 기차역, 공항, 터미널과 같은 교통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백화점은 고급화된 쇼핑센터라는 측면에서 핵심임차인이 중요하므로 소비자의 수준과 선호에 부합하는 테넌트의 유치 전략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최고급 쇼핑센터인 백화점은 2021년 개점한 '더 현대'와 같이 차별화된 쇼핑, 문화, 외식과 여가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공간으로 개발되어야 향후 성장가능성이 담보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omestic department store industry is growing into a complex shopping cultural space, which is advanced and differentiated by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In addition, competition is intensifying across 70 places operated by five large compan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9)

  1. 강창희.박상곤(2017), 「Stata를 활용한 미시계량경제학」, 파주: 지필미디어. 

  2. 고선정(2021), "물질문화를 통해 본 한국 근대백화점의 스펙터클(spectacle) 미학과 소비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문학디자인 연구」, 64: 181~190. 

  3. 권희정.김성윤.원혜영(2011), "관광특구지역내 동대문 쇼핑몰의 방문수요 결정요인: 두산타워 & 굿모닝 시티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0(6): 209~223. 

  4. 김기준(2019), "쇼핑센터의 임대계약 및 임대수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5. 김윤희.이상호(2007), "엔터테이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테넌트 믹스 특성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9(3): 193~211. 

  6. 김중희.김국선.이정민(2015),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3): 145~160. 

  7. 김현주.이희찬(2021), "커피전문점 방문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25(2): 147~166. 

  8. 박연정(2014), "중산층의 일상생활을 위한 백화점의 지역시설 역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양지인.김민수(2018),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백화점의 본원적.보완적 서비스요소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19(2): 125~146. 

  10. 우철민.백민석.심교언.김성희(2013), "소득 및 자산효과에 의한 백화점 매출액 변화 연구", 「부동산학보」, 52: 202~211. 

  11. 유창근.윤동환.이민석(2011), "패밀리레스토랑 방문수요 결정요인 및 대체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418~427. 

  12. 지남석.지규현(2010), "대형할인점과의 거리요소가 소비자 방문빈도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연구」, 20(2): 193~209. 

  13. 하쓰다 토오루 (2003), 「백화점: 도시문화의 근대」, 서울: 논형, 92~93. 

  14. 한상린.문지효(2021), "환경 변화가 오프라인 유통채널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25(4): 31~51. 

  15. Baker, J. (1986), "The Role of the Environment in Marketing Services: The Consumer Perspective", The Services Challenge: Integrating for Competitive Advantage, 1(1): 79~84. 

  16. Bellenger, Danny E., Robertson, Dan H. and Greenburg, Barnett A. (1977), "Shopping Center Patronage Motives", Journal of Retailing, 53: 29~38. 

  17. Parasuraman, A., V. A. Zeithaml and L. L. Berry (1994), "Reassessment of Expectations as a Comparison Standard in Measuring Service Quality: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Journal of Marketing, 111~124. 

  18. Peter, J. P., J. C. Olson and K. G. Grunert (1999),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Strat-Egy (pp. 122~123), London: McGraw-Hill. 

  19. Shim, Soyeon and Kotsiopulos, A. (1992), "Patronage Behavior of Apparel Shopping",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International Textile and Apparel Association, 10(2): 58~6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