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에 따른 인구 이동 패턴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ive Study on Movement Patterns in Uljin-gun and Samcheok-si Wildfire Event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6 pt.3, 2022년, pp.1805 - 1815  

정지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황우석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표경수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2년에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국내 최장 산불 기록이었지만 인명피해가 없었다. 산불은 지역주민이 직접 피해에 노출되어 대피를 해야 하는 재난으로, 산불 발생 시 대피를 이동 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 발생에 따라 지역주민의 이동을 분석하여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SKT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경북 울진군 및 강원 삼척시의 인구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로는 첫째, 경북 울진군과 강원 삼척시 모두 거주인구 및 방문인구가 감소하는 인구 이동 패턴을 보였으나, 직장인구의 인구이동은 평상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불의 발화지인 경북 울진군 북면의 거주인구들은 산불을 피해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동한 지역은 산불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이며, 이때 긴급재난문자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불이 발생한 지역의 인구가 산불에 대피하기 위해 이동하는 패턴을 양적 데이터인 유동인구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산불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민들에게 긴급재난문자를 통한 대피소 안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22, wildfires broke out in Uljin-gun and Samcheok-si, which set the record for the longest forest fire in Korea, but there were no casualties. To protect local residents from wildfires, they must evacuate. Predicting the demand for evacuation in the event of wildfires is essential for the effic...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 상황에서 인구의 이동패턴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mouda, A., H. Hochmair, and S. Cvetojevic, 2019. Using twitter to analyze the effect of hurricanes on human mobility patterns, Urban Science, 3(3): 87. https://doi.org/10.3390/urbansci3030087 

  2. Cho, H.W., D.S. Kim, and S.S. Lee, 2022.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ating Population Distribution in the Urbanized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before and after COVID-19: An Application of Hotspot Analysi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7(2): 5-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7208/jkpa.2022.04.57.2.5 

  3. Cohn, P.J., M.S. Carroll, and Y. Kumagai, 2006. Evacuation behavior during wildfires: results of three case studies, West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21(1): 39-48. https://doi.org/10.1093/wjaf/21.1.39 

  4. Cote, D.W. and T.K. McGee, 2014. An exploration of residents' intended wildfire evacuation responses in Mt. Lorne, Yukon, Canada, The Forestry Chronicle, 90(4): 498-502. https://doi.org/10.5558/tfc2014-100 

  5. Hankyoreh, 2022. Uljin and Samcheok wildfires caught... 213 hours, the longest record ever, https://www.hani.co.kr/arti/area/yeongnam/1034615.html, Accessed on Oct. 13, 2022. 

  6. Hara, Y., 2015. Behaviour analysis using tweet data and geo-tag data in a natural disaster, Transportation Research Procedia, 11: 399-412. https://doi.org/10.1016/j.trpro.2015.12.033 

  7. Kim, J., Y. Ko, J. Kim, and D. Kim, 2014. The Application of Smart Cell in Space Polic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yang, Korea. 

  8. Kim, W.R. and H. Sung, 2022. Empirical Evidence on Differentiating Impact of COVID-19 Emergency Alert Text on Daily Floating Popul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7(3): 8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7208/jkpa.2022.06.57.3.83 

  9. Kwak, J., N. Kim, and M.I. Kim, 2021. Development of Evacuation Route Planning Algorithm for Responding to Urban Forest Fi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1(6): 6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9798/KOSHAM.2021.21.6.63 

  10. McLennan, J., B. Ryan, C. Bearman, and K. Toh, 2019. Should we leave now? Behavioral factors in evacuation under wildfire threat, Fire Technology, 55(2): 487-516. https://doi.org/10.1007/s10694-018-0753-8 

  11. Mozumder, P., N. Raheem, J. Talberth, and R. P. Berrens, 2008. Investigating intended evacuation from wildfires in the wildland-urban interface: application of a bivariate probit model, Forest Policy and Economics, 10(6): 415-423. https://doi.org/10.1016/j.forpol.2008.02.002 

  1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21. 2020 Disaster yearbook (Social disaster),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ejong, Korea. 

  13.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22a. Report on response to forest fires in Uljin, Gyeongbuk, Samcheok, Gangwon, etc. (As of March 6th, 06:00),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336&nttId90865, Accessed on Sep. 30, 2022. 

  1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22b. Report on response to forest fires in Uljin, Gyeongbuk, Samcheok, Gangwon, etc. (As of March 10th, 06:00),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336&nttId90971, Accessed on Sep. 30, 2022. 

  15. Proudley M., 2008. Fire, families and decisions, The Australian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 23(1): 37-43. https://doi.org/10.3316/agispt.20081624 

  16. SGIS (Statis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2022. Statistics Map Experience, https://sgis.kostat.go.kr/statexp/view/index, Accessed on Nov. 28, 2022. 

  17. Tibbits A. and J. Whittaker, 2007. Stay and defend or leave early: Policy, problems and experiences during the 2003 Victorian bushfires, Environmental Hazards, 7(4): 283-290. https://doi.org/10.1016/j.envhaz.2007.08.001 

  18. Toledo, T., I. Marom, E. Grimberg, and S. Bekhor, 2018. Analysis of evacuation behavior in a wildfire ev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31: 1366-1373. https://doi.org/10.1016/j.ijdrr.2018.03.033 

  19. Whittaker, J., K. Haynes, J. Handmer, and J. McLennan, 2013. Community safety during the 2009 Australian 'Black Saturday' bushfires: an analysis of household preparedness and response,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22: 841-849. https://doi.org/10.1071/WF1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