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sat 8/9 및 Sentinel-2 A/B를 이용한 울진 산불 피해 탐지: 다양한 지수를 기반으로 다시기 분석
Forest Burned Area Detection Using Landsat 8/9 and Sentinel-2 A/B Imagery with Various Indices: A Case Study of Ulji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2, 2022년, pp.765 - 779  

김병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공지능응용학과) ,  이경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AI반도체연구소) ,  박선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공지능응용학과)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9 OLI와 Sentinel-2 MSI 위성 영상을 활용한 다시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광 지수를 기반으로 국내 산불 피해 면적 탐지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2022년 3월 경상북도 울진에서 발생하였던 산불을 대상으로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Relativ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RdNBR), Burned Area Index (BAI) 등의 지수를 활용하여 산불피해 면적 탐지에 활용하였다. 비교적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진 Sentinel-2 영상을 기반으로 참조 자료를 제작하였다. 총 6개의 지수 산출물을 기반으로 Sentinel-2, Landsat 8/9으로 총 4개 위성에 대해 산불 피해 정확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Landsat 8/9과 Sentinel-2는 각각 16일, 10일 주기로 영상을 제공하고 있지만 구름으로 인해 영상 취득에 어려움이 많은 편이며, 우리나라는 4월부터 식생의 생장이 시작되어 봄철 산불 피해 분석 시 산불발생 전후 영상을 활용하는 경우 식생의 생장으로 인한 변화가 커서 정확도 높은 탐지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월에서 5월까지의 다시기 Landsat 8/9과 Sentinel-2 영상 중 같은 날짜를 기반의 영상을 서로 사용하여 시간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탐지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수를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형 산불피해 탐지 지수/모델 개발을 위한 입력 자료 등으로 활용되어 최적화된 산불 지수를 기반으로 정확도 높은 산불 피해 면적 탐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accuracy in identifying the burned area in South Korea using multi-temporal data from Sentinel-2 MSI and Landsat 8/9 OLI. Spectral indices such as th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Relativ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RdNBR), and Burned Area Index (BAI) wer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머신러닝을 이용한 산불 피해탐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산불 피해 탐지를 위한 다양한 지수들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모델의 입력인자 feature selection 단계에서 보다 정확도 높은 지수를 선정하여 실제 모델의 탐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7에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가능한 위성을 교차 이용하여 산불 피해탐지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일 위성 시리즈 간의 교차 이용은 가능하지만 타 위성 간의 교차이용을 통한 분석은 어렵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caras, E., D. Costantino, F. Francesca, C. Parente, and M. Pepe, 2022. Normalized Burn Ratio Plus (NBR+): A New Index for Sentinel-2 Imagery, Remote Sensing, 14(7): 727. https://doi.org/10.3390/rs14071727 

  2. Chafer, C.J., M. Noonan, and E. Macnaught, 2004. The post-fire measurement of fire severity and intensity in the Christmas 2001 Sydney wildfires,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3(2): 227-240. https://doi.org/10.1071/WF03041 

  3. Chuvieco, E., M.P. Martin, and A. Palacios, 2002. Assessment of different spectral indices in the red-near-infrared spectral domain for burned land discri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3(23): 5103-5110. https://doi.org/10.1080/01431160210153129 

  4. Fassnacht, F.E., E. Schmidt-Riese, T. Kattenborn, and J. Hernandez, 2021. Explaining Sentinel 2-based dNBR and RdNBR variability with reference data from the bird's eye (UA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95: 102262. https://doi.org/10.1016/j.jag.2020.102262 

  5. Fernandez-Manso, A., O. Fernandez-Manso, and C. Quintano, 2016. SENTINEL-2A red-edge spectral indices suitability for discriminating burn seve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50: 170-175. https://doi.org/10.1016/j.jag.2016.03.005 

  6. Filipponi, F., 2018. BAIS2: Burned area index for Sentinel2, 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 Proceedings, 2(7): 364. https://doi.org/10.3390/ecrs-2-05177 

  7. Gitelson, A.A., Y.J. Kaufman, and M.N. Merzlyak, 1996. Use of a green channel in remote sensing of global vegetation from EOS-MODI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3): 289-298. https://doi.org/10.1016/S0034-4257(96)00072-7 

  8. Hammill, K. A. and R.A. Bradstock, 2006. Remote sensing of fire severity in the Blue Mountains: influence of vegetation type and inferring fire inten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15(2): 213-226. https://doi.org/10.1071/WF05051 

  9. Jee, J.B. and Y.J. Choi, 2014. Conjugation of Landsat data for analysis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in capit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1): 54-68. https://doi.org/10.5467/JKESS.2014.35.1.54 

  10. Key, C.H. and N.C. Benson, 2006. Landscape Assessment (LA), In: Lutes, D.C., Keane, R.E., Caratti, J.F., Key, C.H., Benson, N.C., Sutherland, S., Gangi, L.J. (eds), FIREMON: Fire effects monitoring and inventory system, General Technical Reports RMRS-GTR-164-CD, USDA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Fort Collins, CO, USA, pp. 1-55. 

  11. Kokaly, R.F., B.W. Rockwell, S.L. Haire, and T.V. King, 2007. Characterization of post-fire surface cover, soils, and burn severity at the Cerro Grande Fire, New Mexico, using hyperspectral and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6(3): 305-325. https://doi.org/10.1016/j.rse.2006.08.006 

  12. Kovacs, K.D., 2019. Evaluation of burned areas with sentinel-2 using snap: The case of Kineta and Mati, Greece, July 2018, Geographia Technica, 14(2): 20-38. https://doi.org/10.21163/GT_2019.142.03 

  13. Lasaponara, R. and B. Tucci, 2019. Identification of burned areas and severity using SAR Sentinel-1,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6(6): 917-921. https://doi.org/10.1109/LGRS.2018.2888641 

  14. Leblon, B., L. Bourgeau-Chavez, and J. San-MiguelAyanz, 2012. Use of Remote Sensing in Wildfire Management, In: Curkovic, S. (eds), Sustainable Development - Authoritative and Leading Edge Content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tech Open, London, UK, pp. 55-82. https://doi.org/10.5772/45829 

  15. Lee, S.J., K.J. Kim, Y.H. Kim, J.W. Kim, and Y.W. Lee, 2017. Development of FBI(Fire Burn Index) for Sentinel-2 images and an experiment for detection of burned areas in Korea,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7(4): 187-202. https://doi.org/10.35149/jakpg.2017.27.4.012 

  16. Liu, S., Y. Zheng, M. Dalponte, and X. Tong, 2020. A novel fire index-based burned area change detection approach using Landsat-8 OLI data, Europ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53(1): 104-112. https://doi.org/10.1080/22797254.2020.1738900 

  17. Martin, M.P., I. Gomez, and E. Chuvieco, 2005. Performance of a burned-area index (BAIM) for mapping Mediterranean burned scars from MODIS data, Proc. of the 5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emote Sensing and GIS Applications to Forest Fire Management: Fire Effects Assessment, Zaragoza, Spain, Jun. 16-18, pp. 193-198. 

  18. Miller, J.D. and A.E. Thode, 2007. Quantifying burn severity in a heterogeneous landscape with a relative version of the delta Normalized Burn Ratio (dNB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9(1): 66-80. https://doi.org/10.1016/j.rse.2006.12.006 

  19. Navarro, G., I. Caballero, G. Silva, P.C. Parra, A. Vazquez, and R. Caldeira, 2017.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Madeira Island using Sentinel-2A MSI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58: 97-106. https://doi.org/10.1016/j.jag.2017.02.003 

  20. Parks, S.A., G.K. Dillon, and C. Miller, 2014. A new metric for quantifying burn severity: the relativized burn ratio, Remote Sensing, 6(3): 1827-1844. https://doi.org/10.3390/rs6031827 

  21. Roy, D.P., Y. Jin, P.E. Lewis, and C.O. Justice, 2005. Prototyping a global algorithm for systematic fire-affected area mapping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7(2): 137-162. https://doi.org/10.1016/j.rse.2005.04.007 

  22. Santos, S.M.B.D., A. Bento-Goncalves, W. Franca-Rocha, and G. Baptista, 2020. Assessment of burned forest area severity and postfire regrowth in chapada diamantina national park (Bahia, Brazil) using dNBR and RdNBR spectral indices, Geosciences, 10(3): 106. https://doi.org/10.3390/geosciences10030106 

  23. Tucker, C.J., 1979. Red and photographic infrared linear combinations for monitoring veget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2): 127-150. https://doi.org/10.1016/0034-4257(79)90013-0 

  24. Yang, C., J.H. Everitt, and J.M. Bradford, 2007. Using multispectral imagery and linear spectral unmixing techniques for estimating crop yield variability, Transactions of the ASABE, 50(2): 667-674. https://doi.org/10.13031/2013.226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