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업적 평가에 관한 대학 교수 인식 연구
A Study on Faculty Perception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4, 2022년, pp.309 - 333  

김용환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종욱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국공립 및 사립, 전문대학의 교수들 2,618명을 대상으로 교수연구업적평가와 관련하여 교수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가지 부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하나는 현재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수연구업적평가에 대한 인식조사이며, 다른 하나는 정량 위주의 업적평가 방식의 대안으로 여겨지는 정성적 평가 지표의 도입에 대한 인식조사이다. 설문 결과, 교수 연구업적평가에서 정량 중심 평가는 여전히 대다수의 대학에서 크게 활용되며, 계열 또는 분야에 적합하지 않은 연구업적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가 기간의 확대가 필요를 요구하고, 정량 위주의 업적평가 방식은 학술 커뮤니티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며, 연구업적평가에 대한 개선의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성적 평가 지표의 도입과 관련하여 교수들은 연구업적평가에 정성적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정성적 평가 도입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의견 또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related to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from 2,618 professors. The surve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bout two parts. One is a survey of professors' perceptions about the faculty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eac...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19)

  1. Ban, Sangjin (2010). Discussion on the Improvement of Faculty Performance Evaluation.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10 Policy Development Discussion. 

  2. Cho, Sungtaek (2013). Problems in university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focusing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ritical Review of History, 89-120. 

  3. Choi, Eunjoo, Yang, Kiduk, & Lee, HyeKyung (2016). Quality factor: a new bibliometric measur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2), 287-304. 

  4. Choi, Incheol (2008). The desirable direction of evaluation of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in the College of Social Sciences. Korean Social Sciences, 30. 

  5. Chung, Jin-Sik (2009). A study on assessment of faculty performance in research achievement: a focu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29-142. 

  6. Chung, Yeon-Kyoung & Choi, Yoon-Kyung (2011). A study on faculty evaluation of research achievem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42(3), 211-233. 

  7. Kim, Dong-No, Lee, Min-Haeng, & Park, TaeGyun (2006). Constructing an evaluation model for the professor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umaniti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9(3), 1-20. 

  8. Kim, Wang-Jun, Yun, Hongju, & Rah, Min-joo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faculty evaluation systems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1), 143-165. 

  9. Lee, HyeKyung & Yang, Kiduk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295-322. 

  10. Lee, Hyobin & Cho, Youngdon (2021). A Study on the Research Ethics Awareness Level of University Faculty in 2021.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1. Lee, Jongwook & Yang, Kiduk (2011). A bibliometric analysis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119-140. 

  12. Park, Namgi (2007). Analysis of professor achievement evaluation by university and development of professor achievement evaluation model. Higher Education, 148, 126-131. 

  13. Yu, So-Young, Lee, Jae-Yun, Chung, Eunkyung, & Lee, Boram (2015). A review of declarations on appropriate research evaluation for exploring their applications to research evaluation system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4), 249-272. 

  14. ARC (2015). Excellence in Research for Australia. Available: http://www.arc.gov.au/excellence-research-australia 

  15. Bladek, M. (2014). DORA: San Francisco declaration on research assessment (May 2013).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 75(4), 191-196. 

  16. Hatch, A. & Curry, S. (2020). Research culture: Changing how we evaluate research is difficult, but not impossible. Elife, 9, e58654. 

  17. Hicks, D., Wouters, P., Waltman, L., de Rijcke, S., & Rafols, I. (2015). Bibliometrics: The Leiden Manifesto for research metrics. Nature, 520(7548), 429-431. Available: http://www.nature.com/news/bibliometrics-the-leiden-manifesto-for-research-metrics-1.17351 

  18. IEEE (2013). Appropriate use of bibliometric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journals, research proposals, and individuals. Available: https://magazines.ieeeauthorcenter.ieee.org/wp-content/uploads/ieee_bibliometric_statement.pdf 

  19. REF2021 (2020). Index of revisions to the 'Panel criteria and working methods'. Available: https://www.ref.ac.uk/media/1450/ref-2019_02-panel-criteria-and-working-methods.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