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1, 2022년, pp.23 - 50  

이은지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  김지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conceptual character...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66)

  1. 강영택, 김정숙 (2012). 학교와 지역사회의 파트너십에 대한 사례연구: 홍성군 홍동지역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43, 27-49. 

  2. 곽향림 (2019).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유치원 교육과정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유아교육연구, 39(2), 333-359. doi:10.18023/kjece.2019.39.2.014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12a).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2183에서 2021년 2월 12일 인출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12b).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2183에서 2021년 2월 12일 인출 

  5.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12c).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2183에서 2021년 2월 12일 인출 

  6. 김강희, 김우영, 서순태 (2012). 유치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3), 269-291. doi:10.18023/kjece.2012.32.3.012 

  7. 김경이 (2001). 초등학교의 조직건강과 교원의 사기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명순 (2018). 아동의 놀이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59, 57-75. 

  9. 김선영, 소경희 (2014).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5(4), 55-79. doi:10.15753/aje.2014.15.4.003 

  10. 김성천, 양정호 (2007). 전문성을 지닌 교사리더로 성장하기: 협동학습연구회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7(4), 1-33. doi:10.32465/ksocio.2007.17.4.001 

  11.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2. 김인경, 정선아, 박보영 (2020). 교육혁신과 인적역량에 관한 연구: 유치원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개발연구원. 

  13. 김정순 (1990). 유치원 행정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교사 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정원, 민희숙 (2013).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37-257. doi:10.18023/kjece.2013.33.2.011 

  15. 김정주, 박형신 (2010).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전문성 인식과 조직 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4), 145-164. 

  16. 김정희 (2004).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지영, 윤진주 (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 전문성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60, 39-61. 

  18. 김진일 (1988). 주택가 아동놀이장의 설치방안을 위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류영휘 (2016).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사의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태형 (2010). 유아교사효능감 및 자기결정성 동기와 조직헌신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6), 535-556. 

  21. 민용성 (2008).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의 가능성과 한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 137-158. 

  22.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2020. 2). 2020학년도 유치원 평가 매뉴얼. 부산: 부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http://210.180.215.66/sub.php?MenuID55에서 2021년 2월 12에인출 

  23.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doi:10.24211/tjkte.2009.26.2.243 

  24.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25. 손혜숙, 이지영 (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2(6), 414-425. doi:10.24231/rici.2018.22.6.414 

  26.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27. 오교선, 이병환 (2019).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89-206. doi:10.14698/jkcce.2019.15.02.189 

  28. 오채선 (2018).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유아교육연구, 38(4), 415-443. doi:10.18023/kjece.2018.38.4.017 

  29. 윤소정, 김진욱 (2021). 유아놀이에 대한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유아교육연구. 26(3), 145-174. doi:10.20437/koaece26-3-06 

  30. 윤종건 (1988). 교육행정과 학교경영. 서울: 교학연구사. 

  31. 이성혜, 김연하 (2013).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32. 이소정, 양지애 (2019).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9(2), 565-592. doi:10.18023/kjece.2019.39.2.023 

  33. 이수련 (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34. 이은지, 배지현 (2021).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11), 389-402. 

  35. 이정미 (2010).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임동호 (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1), 1-17. 

  37. 임부연, 손연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0(3), 127-148. doi:10.21024/pnuedi.30.3.202009.127 

  38. 장은미 (1990). 국민학교 교사의 자율성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계숙, 손환희, 김지연 (2019).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유아교육공동체 구현 역량의 관계: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114, 45-67. doi:10.37918/kce.2019.01.114.45 

  40. 정동화, 김성일, 박도순, 임선예 (2004). 교사 수업자율성의 재개념화. 한국교육학연구, 10(2), 225-247. 

  41. 정명선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47-166. 

  42. 정미라, 이희선, 노은호(2004). 유아교육기관의 지역사회 문화교육 실시 현황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4(1), 241-259. 

  43. 정선아 (2014).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47-164. doi:10.14698/jkcce.2014.10.1.147 

  44. 정은혜, 강수경 (2020). 유아교사의 역량과 놀이교사효능감이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20(1), 161-163. 

  45. 조경서, 김은주 (2014).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269-288. 

  46. 조기홍 (2002). 유치원의 조직건강과 교사의 조직 헌신도와의 관계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부경, 서현정, 김명희 (2020).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 방향에 대한 성찰. 유아교육연구, 40(1), 185-213. 

  48. 조성만 (1996). 학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자율성 인식 수준과의 관계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은주 (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최두례 (2018).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최미숙 (2005).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5(1), 195-215. 

  52. 한국보육진흥원 (2020. 2). 2020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https://www.kcpi.or.kr/kcpi/cyberpr/childcarecentaccred1/detail.do?colContentsSeq59401에서 2021년 2월 1일 인출 

  53. 한국보육진흥원 (n.d). 2020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셀프모니터링. https://www.kcpi.or.kr/director/main.do에서 2021년 5월 20일 인출 

  54.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doi:10.1037/0033-2909.103.3.411 

  55.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Massachusetts, USA. 

  56. Clement, M., & Vandenberghe, R. (2000).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solitary or collegial (Ad)ventur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1), 81-101. doi:10.1016/s0742-051x(99)00051-7 

  57. Dewey, J. (20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아동과 교육과정 경험과 교육(박철홍 옮김). 서울: 문음사. (원판 1902). 

  58. Friedman, I. A. (1999). Teacher-perceived work autonomy: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9(1), 58-76. doi:10.1177/0013164499591005 

  59. Giannarou, L., & Zervas, E. (2014). Using Delphi technique to build consensus in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Science & Applied Management, 9(2), 65-82. 

  60. Henderson, J. G., & Hawthorne, R. D. (2000). Transformative curriculum leadership(2nd ed.). New Jersey: Merrill. 

  61. Lindsay, P. and Lindsay C. H. (1987).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 valued. Child and Youth Care Quarterly, 16(2), 91-105. doi:10.1007/bf01083974 

  62. Miles, R. H. (1980). Macro organizational behavior. Santa Monica, CA: Goodyear Publishing. 

  63. Pearson, L. C., & Hall, B. C., (1993). Initial construct validation of the teaching autonomy scal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6(3), 172-178. doi:10.1080/00220671.1993.9941155 

  64. Polanyi, M. (1962). Personal knowledge: Towards a post-critical philosophy (revised edi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65. Ryan, R. M.,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54-67. doi:10.1006/ceps.1999.1020 

  66. Schutzenhofer, K. K. (1983). The development of autonomy in adult women. Journal of Psychologic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21(4), 25-30. doi:10.3928/0279-3695-19830401-0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