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급 감성 광고 경향에 관한 내용분석: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공중파 TV광고를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B-Class Emotional Advertising Trend: Focused on TV commercials from 2015 to 2020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3 no.1, 2022년, pp.179 - 188  

백주연 (연성대학교 시각디자인과) ,  염동섭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B급 감성 광고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최대 광고 포털 사이트인 TVCF(www.tvcf.co.kr)에 탑재된 광고들 중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온에어된 498편의 광고들을 추출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급 감성 광고는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특히, 유머/과장 장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왔고 2020년 Corona-19 Pandemic으로 인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업광고가 아닌 비상업광고 영역인 관공서나 단체, 공익광고, 기업 PR 등의 영역에서 과거에 비해 B급 감성 광고 활용률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급 감성 광고는 이제 더 이상 단순히 '하위문화(subculture)'로부터 기인 된 '비주류' 문화의 표상이 아닌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현상뿐 만이 아니라 개인의 우울감, 피로감 그리고 상실감의 증폭 문제 등까지 '희화(漫畫)화'를 통해 완화시켜주는 '새롭고 도전적인 주류문화'의 표상으로서 산업/비산업군의 모든 영역까지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ove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class Emotional Advertisements and analyses their tre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498 advertisements on-aired between 2015 and 2020, which were sampled from the advertisements registered in the TVCF(www.tvcf.co.kr), the largest adverti...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9)

  1. H. J. Kim, S. M. Kim, J. W. Kim & S. J. Park. (2007). Digital Fun! Fun creates value. Seoul : Knowledge Hub for Creative Solutions(SERI). 

  2.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BE%8C%EB%9D%BD (accessed September. 05. 2021). 

  3.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130 4212212575#c2b (accessed September. 05. 2021). 

  4. H. S. Lee. (2013). B-class Culture, Raids Korea. Seoul : Book Ocean. 

  5. Linda Duits, Koos Zwaan, Stijn Reijnders. (2017).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fan cultures. London : Routledge 

  6. J. H. Lee. (2016). A Study in Experimental Formative Design Based on Pun with B Cultural Styl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N. D. Kim, H. E. Lee, J. Y. Lee, M. Y. Jeon & S. Y. Kim. (2012). Trend Korea 2013. Seoul : Miraebookjoa. 

  8. S. K. Choi & K. S. Han. (2000). Methodology in Cultural Psychology. Korea Journal of Social Personality Psychology, 14(2), 123-144. 

  9. https://blog.daum.net/zzazan01/114(accessed September. 05. 2021). 

  10. http://www.brandbrief.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04 (accessed September. 05. 2021). 

  11. Y. W. Park. (1996). A study on humor and its visual application as an advertising creative element.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7(2), 153-185. 

  12. H. D. Lim. (2016). How Dose Type of B Class Humor Affect to Consumer Reaction -focusing on overaction and bluff-.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3. J. M. Kim. (2016). Case study for the expression method of B-Humor Advertis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7(1), 133-148. 

  14. M. J. Hwang & H. T. Kim. (2017). The Semiotic Approach to Advertisement Applying the B-Cultur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6, 265-274. 

  15. H. J. Seong & J. H. Chun. (2017). Analysis of Costumes in Mass Media Reflecting B-class Code.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1, 149-166. 

  16. H. M. Lee. (2017). The Study of the Similarity between oriental Fantasy and B grade Culture - With focus on A Chinese literature 's Contents Transformation. The Journal of Image and Cultural Contents(JICC), 12(12), 97-117. 

  17. I. S. Shin. (2005). A Study on the Visual Texts in Television Public Service Advertis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8(2), 111-122. 

  18. J. Cohen. (1968). Weighted kappa: nominal scale agreement provision for scaled disagreement or partial credit. Psychological bulletin, 70(4), 213-220. 

  19. YTN News (2021.3.27.). https://www.youtube.com/watch?vN_fc8SzXkUM(accessed September. 19. 20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