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 비교분석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Experience with Delivery Applications -Focused on BaeMin, Yogiyo, Baedalto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8, 2019년, pp.393 - 399  

고은성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배달 애플리케이션 3곳을 비교분석 하기 위한 연구이다. 모바일 사용 증가에 따라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는 나날이 늘고 있다. 그런데도 사용성에서는 아직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이렇게 세 가지의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허니콤에 기반을 둔 7점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고, 심층 면접과 7점 척도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옴으로써, 사용자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며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가 있었다. 이 연구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각 업체의 장점을 도출시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고, 더 나아가 면담을 통해 얻게 된 새로운 기술적 아이디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와 사용성을 높이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ree leading delivery applications in Korea. As using of mobile Phone increases, the frequency of delivery applications is increasing. Nevertheless, there are still problems in usabilities. So the usability of three Applications were analyzed through an in-dep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험대상자는 국내의 대표적인 배달 애플리케이션인 배달의 민족, 요기요 그리고 배달통을 각각 한 번 이상 사용한 경험이 있는 20, 30대 남녀 4명 씩 총 8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7일에서 4월 26일까지 약 10일간 진행하였으며, 동일 피험자들에게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 모형(Honeycomb Model) 의 6가지 요소별 설문지(리커트 7점 척도)에 답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은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얻기 위함이며, 이를 통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가장 대표적으로 인식되는 모바일 배달 업체인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수집하고 이에 따른 사용성을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과 이에 관계된 모든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대표 3개 주요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비교 분석하고 차후 개선 사항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향상과 개선에 본 연구가 기초 연구로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배달 애플리케이션 3곳을 비교분석 하기 위한 연구이다. 모바일 사용량이 큰 우리나라는 모바일 배달시장이 가장 큰 화두가 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표 배달 애플리케이션 3곳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무엇인가? 그런데도 국내를 대표하는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에서 사용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는데, 배달료와 최소 주문에 대한 사용자의 불만과 애플리케이션 사용 중 오류의 발생과 전부 메뉴 구성과 디자인이 비슷하여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것과 적은 메뉴, 매끄럽지 않은 주문 과정, 이어하기 기능이 없어 어떤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오류 발생 시 다시 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결제 방식이 다양하지 않아 불편하다는 점과 진동과 소리를 통해 지원하는 알람 서비스 기능이 없다는 것이었다[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정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가 용이한 모바일 장치에서 음악,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문서를 작성 및 전송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을 하는데 용이한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이라 정의할 수 있고, 2008년 '앱스토어'를 오픈한 애플의 영향으로 그 용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4].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짐과 동시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과 함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꾸준히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중이다.
2018년 배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수는 몇 명인가? 국내 배달음식의 시장 규모는 지난 2017년 15조원에서 2018년 20조원(공정거래 위원회 기준)까지 성장했다. 그사이 배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는 2013년 87만 명에서 2018년 2500만 명으로 폭증했다. 같은 기간 배달 애플리케이션 거래 규모는 5년 간 3347억 원에서 지난해 약 3조원으로 2013년에서 2018년 사이 약 10배 커졌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