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xperiences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t Inclusive Settings: Based on Qualitative Interview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8 no.6, 2022년, pp.101 - 126  

조윤경 (한국성서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  장지영 (한국성서대어린이집)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Methods: Individual interviews with 14 teache...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58)

  1. 강성리, 조현근 (2019).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9(4), 247-268. https://doi.org/10.21214/kecse.2019.19.4.247 

  2. 교육부 (2015).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부. 

  3. 교육부 (2022.07).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B%93%B1%EC%97%90%EB%8C%80%ED%95%9C%ED%8A%B9%EC%88%98%EA%B5%90%EC%9C%A1%EB%B2%95에서 2021년 8월 15일 인출. 

  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5. 국립특수교육원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지원 자료1 누리과정 운영 안내. 

  6. 권은정, 손원경 (2022). 워드클라우드 방법을 통해서 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27(3), 27-53. 

  7. 김경희 (2022). 숲 놀이터에서 개정누리과정 놀이중심을 지향하는 장애 유아의 놀이 실행. 한국영유아보육학, 132, 25-53. https://doi.org/10.37918/kce.2022.1.132.25 

  8. 김대욱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과 발현적 교육과정으로의 가능성 탐구.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7(1), 343-351. http://doi.org/10.17703/JCCT. 2021.7.1.343 

  9. 김대욱, 신수진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5(1), 197-223. http://doi.org/10.32349/ECERR.2021.2.25.1.197 

  10. 김수진, 조윤경 (2018). 조기개입 실행 개선을 위한어머니의 조기개입 경험 분석. 특수교육, 17(4), 139-166. http://doi.org/10.18541/ser.2018.11.17.4.139 

  11. 김순환, 오현주 (2019).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육아지원연구, 14(2), 55-83. https://doi.org/10.16978/ecec.2019.14.2.003 

  12. 김슬기, 이병인, 조현근 (2021). 장애아통합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장애유아 놀이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1(1), 1-29. https://doi.org/10.21214/kecse.2021.21.1.1 

  13. 김지현 (2020). '장애 유아를 위한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방안 적용이 장애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20(1), 69-87. https://doi.org/10.21214/kecse.2020.20.1.69 

  14. 김희영, 엄정애 (2020).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연구, 40(3), 119-152.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3.006 

  15. 나정, 문무경, 심은희 (2004). 한국의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 OECD의 진단과 대 정부 권고. 한국교육개발원. 

  16. 문수영, 조영주 (2020). 어린이집원장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반 교사의 자율성 지원하기. 유아교육연구, 40(6), 61-83.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6.003 

  17. 박선화, 노진아 (2019).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장애 유아의 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9(1), 37-58. https://doi.org/10.21214/kecse.2019.19.1.37 

  18. 방현실 (2020).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사연수 요구도.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7(1), 67-98. 

  19. 배민정, 이효신, 박채진, 김진희 (2013). 통합된 자유놀이에서 발달지체유아의 놀이행동 탐색 - 로봇을 활용한 놀이중재프로그램 이후에 실시되는 소그룹 자유놀이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355-384. 

  20. 서보순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지원자료의 텍스트 분석: 통합교육에서의 놀이를 중심으로. 어린이교육비평, 12(1), 27-54. https://doi.org/10.26834/kscice.2022.04.15.27 

  21. 서윤희 (2021).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801-820.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7.801 

  22. 성안나, 김연하, 이지선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2), 19-38.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2.019 

  23. 소경희, 최유리 (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24. 손지연 (2017). 어린이집 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 실태, 인문사회21, 8(3), 통권 22호, 211-227. https://doi.org/10.22143/HSS21.8.3.12 

  25. 안영혜 (2021).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교사의 인식. 인문사회 21, 12(4), 2045-2060. 

  26. 여선옥, 심윤희 (2020).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2(4), 158-183. https://doi.10.15409/riece.2020.22.4.7 

  27. 오지연, 노진아 (2020). 국·공립 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20(3), 83-112. https://doi.org/10.21214/kecse.2020.20.3.83 

  28.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3.001 

  29. 윤선영, 조윤경 (2013).「만 5세 누리과정」에 대한 통합어린이집 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의 평가와 지원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105-134. 

  30. 이경화 (2019).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 비판.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25. https://doi.org/10.30761/ecoece.2019.18.1.1 

  31. 이성회 (2017). 교사 행위자성(Teacher Agency) 개념모델이 교사학습공동체 논의에 주는 도전과 함의. 한국성인교육학회, 20(2), 1-27. https://doi.org/10.22955/ace.20.2.201705.1 

  32. 이소현, 윤선아, 안의정, 허수연, 나지회 (2021.12).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추계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공주. 

  33. 이양숙, 하양승, 전홍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23, 49-78. https://doi.org/10.37918/kce.2020.07.123.49 

  34. 이영환, 서현아, 윤정진 (2013).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09-342. 

  35.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36. 이은형, 김정숙 (2021). 고경력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개정누리과정 적용의 의미와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365-378. 

  37. 이인숙, 정길순, 노진아 (2020). 통합유치원에서의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지적장애연구, 22(3), 55-77. https://doi.org/10.35361/KJID.22.3.3 

  38. 이정욱 (2019). 누리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및 쟁점 분석, 유아교육연구, 39(2), 255-277. https://doi.org /10.18023/kjece.2019.39.2.011 

  39. 이진미, 오주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장애전문어린이집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21(4), 1-11. https://doi.org/10.21213/kjcec.2021.21.4.1 

  40. 임부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0(2), 5-32. 

  41. 임승렬, 전방실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1(4), 21-47. https://doi.org/10.22154/JCLE.21.4.2 

  42. 정기오 (2009). 국가교육과정의 법적 성격 지위 및 기능에 관한 연구. 교육법학연구, 21(2), 275-298. https://doi.org/10.17317/tjle.21.2.200912.275 

  43. 정주인, 권귀염 (2020).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유아교육연구, 40(3), 93-118.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3.005 

  44. 정채영, 신윤승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중심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인문사회 21, 11(5), 1539-1554. http://doi.org/10.22143/HSS21.11.5.110 

  45. 조부경, 서현정, 김영희 (2020).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방향에 대한 성찰. 유아교육연구, 40(1), 185-213.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1.008 

  46. 조운주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초기의 유아교사 경험. 육아지원연구, 15(3), 105-125. https://doi.org/10.16978/ecec.2020.15.3.005 

  47. 조운주 (2021).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과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관계. 교육논총, 41(4), 265-283. https://doi.org/10.25020/je.2021.41.4.265 

  48. 조윤경 (2021). 통합 어린이집 교직원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경험: 원장, 보육교사, 특수교사의 초점 집단 면담을 중심으로. 특수교육, 20(2), 97-126. https://doi.org/10.18541/ser.2021.02.20.2.97 

  49. 진재섭 (2022). 유아특수교사의 개정누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인문사회 21, 13(2), 603-617. http://doi.org/10.22143/HSS21.13.2.43 

  50. 50.진혜림, 이병인, 강성리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따른 장애아통합어린이집 유아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실행 경험. 유아특수교육연구, 21(3), 89-115. https://doi.org/10.21214/kecse.2021.21.3.89 

  51. 홍은숙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실천적 요구. 특수교육, 21(1), 5-31. http://doi.10.18541/ser.2022.2.21.1.5 

  52. Clandinin, J. & Connelly,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53. Elo, S., & Kyngas, H. (2007)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54. Graneheim, U. H., & Lundman, B. (2004)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ation Today, 24(2), 105-112.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55. Hsieh H.-F. & Shannon S.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https://doi.org/10.1177/1049732305276687 

  56. Leadbeater, C. (2017, October), "Student Agency" section of Education 2030 -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Background papers. Retrieved August 28, 2021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Conceptual papers.pdf 

  57.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58. Polit, D. F., & Beck, C. T. (2004).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7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