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Treatment Satisfactio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0 no.11, 2022년, pp.177 - 184  

김영심 (조선대학교 SW중심대학사업단) ,  모정희 (송원대학교 뷰티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반영구화장을 시술받은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중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시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는 시술 만족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가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나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를 보였다. 넷째, 외모콤플렉스인 타인에 의한 외모콤플렉스와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 모두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추가적인 시술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makeup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people who had undergone semi-permanent makeup and the...

주제어

참고문헌 (21)

  1. A. H. Hwang, J. W. Gang & S. S. Han. (2017).?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n?Cosmetic Surgery and Skin Care. Journal of. 2017. 

  2. M. Son & H. K. Kim. (2020). A Multi-disciplinary?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Improvement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8(2), 161-174.?DOI : 10.17548/ksaf.2020.03.30.161 

  3. L. J. Heinberg, J. D. Thompson, & S. Stomer.?(1995). Development and Validaion of the Sciocultural?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 81-89. 

  4. H. M. Yoon & Y. H. Lee. (2020). The Relationships?Between Internalized Sociocultural Attitudes?Toward Appearance, Social Instrumentality of?Appearance and Body Dysmorphic Trait: Mediation?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and Moderation?Effect of Multiphasic Self-concept. The Journal Of?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11(6), 2449-2464. 

  5. S. Y. Kang. (2003). Appearance Complex and?Body-Image,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6. H. O. Shin & H. J. Chun. (2008). The Effect of Body?Satisfaction, Appearance Interests, and Appearance?Complex on Appearance Mangagement Behavior?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4(2), 1-17. 

  7. S. J. Lim. (2002) Students' Perception of Appearance?and Self-concept. Master Thesis. Ewha University. 

  8. E. K. Seo. (2016). A Correlation between the?Specialized knowledge and practice for an?Infection Control of the Semi-permanent make-up?practitioner.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9. D. H. Kim..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Preference Techniques and Treatment Capabilities?on Satisfaction in Eyebrow Re-treatment. Master?of Thesis Dongguk University. 

  10. M. K. Lee. (2015).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toward Appearance on Body Imag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of New Middle-Aged Women.?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 Design, 42, 167-180. 

  11. P. Kotler. (1980). Marketing Man. 4th ed., Prentice-Hall, Inc. 

  12. C. Y. Jin. (2015). The influences of reference group?and product attributes on product preference of?visible products : the moderating role of selfmonitoring.?Master Thesis. Kookmin University. 

  13. J. A. Lee, Y. M. Lee, S. H. Han, H. J. Shin. .S. J. Lee?& E. S. Kim. (2020). Research about general perception?and necessity of National License System?on Semi permanent make-up. Proceedings of The?Korean Society of Semi-permanent Make up Research, 1(1), 15-28. 

  14. S. N. Hong. (2018).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Makeup on Procedure Satisfaction,?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2), 165-177. 

  15. D. H. Kim, K. H. Kwon. (2021). The Effect of?Cognition of Semi-Permanent Makeup Treatment?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Intentio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2(3), 67-84. 

  16. C. Nunnally Jum..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 

  17. A. F. Hayes.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Regression-based Approach(2nd Ed.), New York,?The Guilford Press. 

  18. G. H. Park. (2016). A Study of the Effects of Semipermanent?Makeup, Customers' Psychological?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Get?Treatment Again and Recommend it to Others.?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1), 189-205.[9] 

  19. M. J. Lee, S. J. Chung M. S. An. (2015). Effect of?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on?Appearance Concerns, Appearance Management?Behavior, Appearance Complex, Face Satisfaction,?and Body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3), 323-336. 

  20. Y. J. Hwang & T. S. Yoo. (2008).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and the perception of physicalattractiveness?on behaviors of facial and hair care. Journal of the?Costume Fashion. 58 85-95. 

  21. H. M. Par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Effects of Self-Makeup Education : appearance?satisfaction and complex, and desire for plastic?surgery. Master Thesis. Donduk Universit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