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브랜드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시 도시 브랜드 "I SEOUL U" 사례
Big Data Analysis for Strategic Use of Urban Brands: Case Study Seoul city brand "I SEOUL U"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197 - 213  

임혜원 (건국대학교 도시재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 브랜드 I SEOUL U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처리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사용하였고 'I SEOUL U' 키워드를 분석키워드로 선정하였다. 키워드 분석 결과 I SEOUL U와 관련된 키워드는 첫째, 비즈니스와 마케팅 관련 용어로서 팝업 스토어, 갤러리, 공동 브랜드, (축제 등) 개최, 상품, 민간기업, 온라인 등이다. 둘째, 이벤트 관련 용어로서 한강, 식목일, 나무 심기, 홍대, 크리스마스, 마포구, 중구, 세종대, 축제거리 등이다. 셋째는 홍보 관련 용어로서 로봇공학박사 데니스 홍, Government, 조형물, Korea 등이었다. N gram 분석 결과에서는 서울시 브랜드로서 공익적 성격의 도시 브랜드인 I SEOUL U의 경우에도 민간 기업의 상업 활동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결 중심성 분석에서는 비즈니스 및 마케팅, 이벤트, 홍보 등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매트릭스 분석에서는 제품 판매와 관련하여 주로 팝업 스토어의 아이템들이 많고 공동 브랜드 형태의 제품들이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에서는 총 10개의 토픽이 추출되었고 상업적 활용과 이벤트 축제에 관한 정보 니즈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ext 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online big data for recognition and assessment of urban brand I Seoul U. To this end, TEXTOM, a processing program for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was used, and the 'I SEOUL U' keyword was selected as an analysis keyword. Keyword analysis shows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50)

  1. M. Kavaratzis, "Place branding: A review of trends and conceptual models," The marketing review, Vol.5, No.4, pp.329-342, 2005. 

  2. The Seoul Research Data Service, Fesitvals of Seoul in 2013, http://data.si.re.kr/node/73 

  3. 박수근, 박태승, "소셜매트릭스 기법을 이용한 태권도복의 트랜드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99-510, 2019. 

  4. 임광혁, "SNS 빅데이터 분석 기술 동향 및 발전방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5권, 제1호, pp.38-43, 2017. 

  5. 정풀잎, 안현철, 곽기영,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스마트폰 디자인의 핵심속성 및 가치 식별,"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1호, pp.27-47, 2019. 

  6. 김상락, 강만모,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오늘과 미래," 정보과학회지, 제32권, 제1호, pp.8-17, 2014. 

  7. N. Morgan, A. Pritchard, and R. Pride, Destination branding: creating the 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Destination branding: creating the unique destination proposition, Oxford: Elsevier, 2002. 

  8. A. Insch, Branding the city as an attractive place to live, In City Branding, Palgrave Macmillan, London, pp.8-14, 2011. 

  9. K. M. Lee and C. D. Kim, Branding Seoul Strategy,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0. 

  10. A. C. Middleton, City branding and inward investment. In City Branding, UK: Palgrave Macmillan, pp.15-26, 2011. 

  11. S. Anholt, What is competitive identity?, In Competitive identity, Palgrave Macmillan, London, pp.1-23, 2007. 

  12. Y. S. Yoon and W. H. Kim, City Branding, Seoul: Unitas Brand, 2010. 

  13. J. P. Houghton and A. Stevens, City branding and stakeholder engagement, In City branding, Palgrave Macmillan, London, pp.45-53, 2011. 

  14. S. V. Gelder, City Brand Partnership, City Branding, Theory and Cases, Palgrave Macmillan, New York, pp.37-38, 2011. 

  15. J. Carlsen, T. D. Andersson, J. Ali-Knight, K. Jaeger, and R. Taylor, "Festival management innovation and fail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vent and Festival Management, Vol.1, No.2, pp.121-131, 2010. 

  16. D. Getz, Event studies: theory, research and policy for planned events, London: Routledge, 2012. 

  17. G. Richards and R. Palmer, Eventful cities, Routledge, 2012. 

  18. S. S. Grumwell, I. S. Ha, and B. S. A Martin, "comparative analysis of attendee profiles at twourban festivals," In Journal of Convention & Event Tourism, Vol.9, No.1, pp.1-14, 2008. 

  19. D. Getz, Event tourism: Definition, evolution, and research, Tourism Management, pp.403-428, 2008. 

  20. B. Quinn, "Arts festivals and the city," Urban studies, Vol.42, No.5-6, pp.927-943, 2005. 

  21. https://www.seoul.go.kr/seoul/brand_old.do, 2021.09.28. 

  22. C. E. Han, HiSeoul Festival changed name as Seoul Street Arts Festival, 2016, https://www.thefestival.co.kr/news/all/2634/?mcurpage71. 

  23. 백봉현, 하일규, 안병철, "SNS상의 비정형 빅데이터로부터 감성정보 추출 기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671-680, 2014. 

  24. 이애리, 이주원, "소셜 빅 데이터를 이용한 상권 확장 트렌드 및 소비 트렌드 분석: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데이터 기반," e-비즈니스연구, 제19권, 제6호, pp.401-413, 2018. 

  25. 이종화, 이윤재, 이현규, "SNS의 해시태그를 이용한 감정 단어 수집 시스템 개발,"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pp.77-94, 2018. 

  26. D. Zhao, and M. B. Rosson, "How and why people Twitter: the role that micro-blogging plays in informal communication at work." In Proceedings of the ACM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pporting group work, pp.243-252. ACM, 2009. 

  27.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28. 신현희, 김경란, "SNS 의 형태적 진화에 따른 이용동기 및 사용행태 차이-대학생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6호, pp.155-164, 2017. 

  29.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 시대! SNS의 진화와 공공정책," IT & Future Strategy, 제13권, 2012. 

  30. 태그라이브 전략기획팀, "마케터가 꼭 알아야 할 인스타그램 통계 2019," taglive.net/forum trend/020html, 2018. 

  31. 김정인, 정혜욱, "인스타그램 유저들의 예외적 해시태그 (hashtag) 이용 행태 연구," 디자인융복합 연구, 제15권, 제2호, pp.136-152, 2016. 

  32. L. Yang, S. Tao, Z. Ming, and M.Qiaozhu, "We know what@ you# tag: does the dual role affect hashtag adoption?," In Proceedings of the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261-270, ACM, 2012. 

  33. S. Peng, G. Wang, and D. Xie, "Social influence analysis in social networking big dat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EEE Network, Vol.31, No.1, pp.11-17, 2016. 

  34. J. C. Sweeney and G. N. Soutar,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Vol.77, No.2, pp.203-220, 2001. 

  35. 김봉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학부모 기사 분석," 학부모연구, 제4권, 제2호, pp.113-146, 2017. 

  36. R. Feldman and I. Dagan,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 (KDT)," In KDD, Vol.95, pp.112-117, 1995. 

  37. 백승헌, 김기탁, "코로나 19에 따른 프로야구 무관중 시청품질요인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23-135, 2021. 

  38. 김태훈,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기반 프로축구 관련 소비자 인식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39. 최재석,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포츠산업 서비스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40. 이소희,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뉴트로(New-tro) 관광 트렌드 및 이미지 인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1. 최기태, 김지연, "빅데이터를 활용한 캠핑 트렌드 분석-코로나19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제20권, 제1호, pp.279-294, 2021. 

  42. 윤영일, 하동현,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비즈니스호텔의 인식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pp.379-398, 2017. 

  43. 김미성, 서유빈, 김현정, 이혜련,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지역특화컨벤션 육성 사업 비교-대구와 부산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3권, 제7호, pp.183-200, 2019. 

  44. 구영석, "빅데이터를 통한 소비자의 의복관리방식 트렌드 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 제5호, pp.639-649, 2020. 

  45. 박혜진, "뉴 노멀 시대의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화장품 트렌드에 대한 연구,"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제10권, 제3호, pp.465-480, 2020. 

  46. 오정심, "빅데이터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문화콘텐츠학 지식 구조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34권, pp.35-70, 2020. 

  47.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12. 

  48. D. M. Blei, A. Y. Ng, and M. Jorda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3, pp.993-1022, 2003. 

  49. 김태호, 김학선,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체류형 울산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 산업혁신연구, 제35권, 제1권, pp.47-76, 2019. 

  50. 윤혜진, 김창식, 곽기영, "지역관광 연구트랜드 분석: 텍스트마이닝 활용,"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pp.275-282, 201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