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의 개체명 인식을 활용한 옥외 힐링 장소 인식 분석
Outdoor Healing Places Perception Analysi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of Social Media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0 no.5, 2022년, pp.90 - 102  

성정한 (공주대학교 대학원 조경.환경계획학과) ,  이경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힐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힐링을 콘셉트로 하는 옥외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보다 전문적이고 심층적인 옥외 힐링 장소 계획·설계·디자인을 위해 88,155건의 블로그 게시글 텍스트 데이터를 개체명 인식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했다. 옥외 힐링 장소의 인식과 특징을 파악을 위해 출현 빈도 분석과 응집 분석을 진행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힐링 장소의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시간과 인원을 추가한 총 8가지 요소를 통해 인식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힐링 장소를 방문하는 데 있어 장소적요소, 시간적요소, 사회적요소, 활동요소를 인원, 식물, 색상·형태, 심리적 요소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상위 출현 키워드를 통해 여러 가지 인식과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응집 분석 결과를 통해 장소적요소, 시간적요소, 사회적요소의 키워드들이 응집되어 나타나 주로 어떤 장소, 어떤 시간대, 누구와 함께 방문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실제 사람들이 작성한 인식 데이터를 대량 분석하여 힐링 장소의 인식과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계획과 마케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요소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healing increases, outdoor spaces with the concept of healing have been created. For more professional and in-depth planning and design,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outdoor healing places through social media posts were analyzed using NER. Text mining was co...

주제어

참고문헌 (23)

  1. Chong, W. S., M. Yu, T. K. Kwon and N. G. Kim(2007) Study on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by color light st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4(10): 131-136. 

  2. Han, J. Y. and H. B. Kim(2017)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stination imag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big dat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1(8): 91-119. 

  3. Jang, E. H. and J. Y. Cho(2021) A framework of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healing and therapy.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20(5): 17-37. 

  4. Jang M. H. and Y. L. Yoon(2016) Research into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perceptions on camping via analyses of big data from social 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1(1): 91-112. 

  5. Kaplan, R. and Kaplan, S.(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Kim, H. H., D. G. Kim and J. N. Jo(2016) Patent data analysis using clique analysis in a keyword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5): 1273-1284. 

  7. Kim, J. H. and Y. J. Nah(2019) A study on the impact of escapist motivation on on-site experiences, and perceived healing effect.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1(5): 89-108. 

  8. Kim, S. Y.(2019) Design types and environmental elements for open space in healing facility environment.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8(5): 19-35. 

  9. Kim, S. R., Y. W. Choi and H. Y. Yoon(2019) The analysis of the visitors' experiences in Yeonnam-dong before and after the Gyeongui line park project-A text mining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4): 33-49. 

  10. Leather, P., D. Beale and L. Sullivan(2003) Noise, psychosocial stress and their interaction in the workplac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2): 213-222. 

  11. Lee, S. H. and Y. H. Son(2018) Identifying landscape perceptions of visitors' to the Taean coast national park using social media data - Focused on Kkotji beach,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Manlipo beac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5): 10-21. 

  12. Malkin, J.(1992) Hospital Interior Architecture: Creating Healing Environments for Special Patient Populations.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3. Martha M. Tyson.(1998) The Healing Landscape: Therapeutic Outdoor Environments. McGraw-Hill. 

  14. Oh, J. Y. and H. K. Park(2019) A study on the healing effect of the design elements of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point of view.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5): 215-226. 

  15. Olds, A. R.(2001) Child Care Design Guide. McGraw-Hill, PO Box 548, Blacklick, OH 43003. 

  16. Park, Y. R., Y. O. Kang, D. E. Kim, J. Y. Lee and N. Y. Kim(2019) Analysis of Seoul image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Seoul by text mining with Flickr data.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7(1): 11-23. 

  17. Sung, J. H. and K. J. Lee(2020) A study on directions of Yedang reservoir landscape management through blog text analysis.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14(3): 9-20. 

  18. Ulrich, R. S.(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85-125. Springer, Boston, MA. 

  19. Ulrich, R. S.(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4647): 420-421. 

  20. Ulrich, R. S.(1991) Effects of interior design on wellness: Theory and recent scientific research. In Journal of Health Care Interior Design 3: 97-109. 

  21. Weng, P. Y. and Y. C. Chiang(2014) Psychological restoration through indoor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6(2): 203-217. 

  2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19) Analysis of Named Entity and Corpus Construction. 

  23.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2021) Corpus Research and Analysis 2021: Named Entity Tagging and Entity Link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