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된 저장용기의 김치 저장 중 미생물과 관능적 특성의 변화
Changes in Microbi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of Kimchi in Containers with Native Plant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 2022년, pp.646 - 655  

우나리야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혜란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성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된 항균용기(KAPP)에 저장된 김치의 발효 및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저장용기는 개발된 항균용기(KAPP)와 기존 시판 용기인 폴리프로필렌 용기(KPP),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KST), 포세린 용기(KPC)로 총 4가지를 사용하였다. 김치를 저장하는 동안 총균수의 증가와 감소는 4가지 용기 모두 비슷했으나 KAPP의 경우 가장 낮은 증가를 보였고, 대장균군의 경우에는 저장 15일 이후부터 50일까지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uconostoc spp. 과 Lactobicillus spp.는 저장 15일까지 모든 실험군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특히 KAPP 용기에 저장된 김치는 나머지 3가지 저장 용기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저장 40일의 김치를 관능 검사한 결과 KAPP 용기에 저장된 김치가 시판 KPP, KST, KPC 용기의 김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외관, 냄새,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관능적인 점수가 높았다. 이를 통해 자생식물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개발한 항균용기가 시판 3가지 저장 용기와 비교했을 때 젖산발효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according to containers with native plant extract. The container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antimicrobial polypropylene containers(KAPP) developed with the addition of native plant extrac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김치 발효 및 저장 용기는 미생물학적 측면에서 김치의 품질과 발효 과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김치의 저온 발효 및 저장 중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조건 중의 하나로 김치 저장 용기의 개발과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먼저 선행 연구에서 천연 자생식물을 항균 소재로 이용하여 그 추출물을 첨가한 식품 저장용기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항균 소재용 기와 기존의 저장 용기에 김치를 저장하면서 미생물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 실험함으로써 용기별 특성 비교는 물론 개발된 항균 용기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항균 소재 용기와 기존의 저장 용기에 김치를 저장하면서 김치의 미생물학적 변화와 관능적 품질 특성을 비교 실험함으로써 용기별 저장 중 특성 비교는 물론 개발된 저장 용기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W. Kang,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nchovy sauce from heat and non-heat treatment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19, No.5, pp.49-58, 2013. 

  2. J. H. Lee, K. T. Lee, and M. R. Kim, "Effect of gamma-irradiated red pepper powder on the chemical and volatile characteristics of kakdugi,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adish Kimchi," J Food Sci, Vol.70, No.7, pp.441-447, 2005. 

  3. H. S. Choi, Kimchi culture and dietary life in Korea, Hyoil Pub, 2002. 

  4. H. G. Lee, "A study on kimchi, or korean traditional dishes, culture," Asian Comparative Folklore, Vol.18, pp.85-99, 2002. 

  5. E. W. Lee,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under various storage modes in the kimchi refrigerator,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p.55-56, 2012. 

  6. J. W. Lim, J. S. Moon, H. D. Kim, D. J. Na, and J. Y. Son, "Chang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Korean J Food & Nutr, Vol.17, No.1, pp.80-85, 2004. 

  7. S. Y. Lim, H. R. Lee, and J. M. Lee, "Quality changes of nabak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levels of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 Vol.20, No.4, pp.468-475, 2005. 

  8. S. H. Lee, J. S. Choi, K. N. Park, Y. S. Im, and W. J. Choi, "Effects of Prun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Vol.9, No.3, pp.233-239, 2002. 

  9. H. J. Chung, H. R. Kim, and M. J. Yoo, "Changes in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Cul, Vol.20, No.4, pp.426-432, 2005. 

  10. H. S. Kim, "The effect storage method and duration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acceptance of kimchi," Korean J Food Cul, Vol.17, No.5, pp.638-645, 2002. 

  11. G. H. Seo, S. K. Chung, D. S. An, and D. S. Lee, "Effect of fermentation vessel on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Korean J Food Preserv, Vol.11, No.2, pp.233-239, 2005. 

  12. K. I. Han, M. J. Kim, H. J. Kwon, Y. H. Kim, W. J. Kim, and M. D. Han, "The effect of container types on the growth of bacteria during kimch in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Vol.26, No.2, pp.249-257, 2013. 

  13. S. K. Chung, K. S. Lee, and S. H. Cho, "Effect of fermentation vessel on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Korean J. Food Preserv, Vol.11, No.2, pp.233-239, 2004. 

  14. (사)한국전통음식연구소, 아름다운한국음식 300선, 도서출판 질시루, 2008. 

  15. N. Woo, H. S. Lee, and S. H. K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ive plant extracts and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container with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8, No.3, pp.231-238, 2018. 

  16. N. Woo, H. S. Lee, and S. H. Ko,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imchi according to Storage Contai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8, No.4, pp.247-257, 2018. 

  17. Y. S. Kwak, J. K. Chang, and K. S. Lee, "Bacterial counts in ginseng products by dry rehydratable film method," J Fd Hyg Safety, Vol.10, No.1, pp.41-43, 1995. 

  18. E. J. Lee, S. E. Park, H. S. Choi, G. J. Han, S. A. Kang, and K. Y. Pa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Korean J Food Preserv, Vol.17, No.6, pp.793-799, 2010. 

  19. S. Y. Lim, Quality changes of Nabak kimchi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levels of fermentation,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41-45, 2005. 

  20. J. S. Jo, "The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Vol.1 pp.13-28, 1988. 

  21. 조재선, 김치의 연구, 유림문화사, 2000. 

  22. T. I. Min and T. W. Kwon,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16, No.4, pp.443-450, 1984. 

  23. C. R. Lim, H. K. Park, and H. U. Han,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Kor J. Microbio, Vol.27, No.4, pp.404-414, 1989. 

  24. Y. R. Choi, Microbiota profiles of manufactured-kimchi depending on fermentation and growth inhibition of film-forming yeasts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11. 

  25. T. E. Kim, Development of Deoduk kimchi recipe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it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010. 

  26. J. G. Kim and J. S. Yoon, "Changes of index microorganisms and lactic acid bacterial of Korean fermented vegetables(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 Part 1," Kor J Env Health Sci, Vol.31, No.1, pp.79-8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