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모델 강우 및 토양수분 자료의 공간보간 처리환경의 비교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Processing Environments for Numerical Model Rainfall and Soil Moisture Dat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4 no.4, 2022년, pp.337 - 345  

이승민 (국가농림기상센터) ,  최성원 (국가농림기상센터) ,  이승재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만일 (산림조합중앙회 산림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와 토양수분과 같은 자료는 지구통계자료로서, 필요로 하는 모든 지점의 값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공간보간이 수행되며, ArcGIS와 같은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용 소프트웨어는 높은 전문성과 비용으로 인한 치명적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보간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처리환경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ArcGIS와 오픈소스기반 환경인 R을 활용하였다. 공간보간에 사용된 자료는 LAMP WRF에서 생산된 기상예측 자료를 기반으로 누적강우 시나리오에 따라 산출된 토양수분 자료를 사용하였다. 두 가지 환경에서 산출물의 결과값은 차이가 없었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계산소요 시간 등에 차이가 있었다. 테스트 베드에서의 공간보간 작업 결과는 R의 경우 평균 소요시간이 5시간 1분으로 나타났고, ArcGIS의 경우 평균 소요시간이 4시간 40분으로 각각 나타나서, 7.5%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자가 상용 소프트웨어 환경과 오픈소스 기반 환경에서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연구자의 환경과 수준에 따라 선택해야 함을 실례를 들어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data such as rainfall and soil moisture, it is important to obtain the values of all points required as geostatistical data. Spatial interpolation is generally performed in this process, and commercial software such as ArcGIS is often used. However, commercial software has fatal drawbacks due to...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16)

  1. Chen, F. W., and C. W. Liu, 2012: Estimation of the?spatial rainfall distribution using inverse distance?weighting (IDW) in the middle of Taiwan. Paddy?Water Environ 10, 209-222. 

  2. Cho, H. L., and J. C. Jeong, 2006: Application of?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The journal of?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14(1). 29-41. 

  3. George, Y., D. Lu., and W. Wong, 2008: An adaptive?inverse-distance weight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Computers & Geosciences 34(9). 1044-1055 

  4. Friedrich, C., 2014: Comparison of ArcGIS and QGIS?for application of sustainable planning. Master of?Sciences. University of Wien: https://doi.org/10.25365/thesis.35758 

  5. Jang, H. S., N. R. Kang, H. S. Noh, D. R. Lee, C.?H. Choi, and H. S. Kim, 2015: Applicability of?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rainfall field.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4),?370-379. 

  6. Kang, J. H., S. Lee, S.-J. Lee, and J. H. Lee, 2022:?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of PM10 observation data in South Korea. Korean?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4(2),?124-132. 

  7. Keblouti, M., L. Ouerdachi, and H. Boutaghane, 2012:?Spatial interpolation of annual precipitation in?Annaba-Algeria - Comparison and evaluation of?methods. Energy Procedia 18, 468-475. 

  8. Kwak, J. H., M.-I. Kim, and S.-J. Lee, 2018:?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the?saturation depth ratio by rainfall change. The Journal?of Engineering Geology 28(4), 687-699. 

  9. Kim, J.-W., and H.-S. Shin, 2016: Slope stability?assessment on a landslide risk area in Ulsan?during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Society 32(6), 27-40. 

  10. Ko, S. M., S. W. Lee, C. Y. Yune, and G. H. Kim,?2014: Topographic analysis of landslides in?Umyeon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32(1), 55-62. 

  11. Lee, S.-J., J. Song, and Y. J. Kim, 2016: The NCAM?Land-Atmosphere Modeling Package (LAMP) version?1: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Korean Journal?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307-319. 

  12. Lee, S., and M.-J. Lee, 2017: Susceptibility mapping?of Umyeonsan using Logistic Regression (LR)?model and post-validation through field investigation.?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6_2), 1047-1060. 

  13. Matejicek, L., 2005: Spatial modeling of air pollution?in urban areas with GIS: a case study on integrated?database development. Advances in Geosciences 4,?63-68. 

  14. Ristanovic, B., M. Cimbaljevic, D. Miljkovic, M.?Ostojic, and R. Fekete, 2019: GIS application for?determining geographical factors on intensity of?erosion in Serbian river Basins. Case study: The?river Basin of Likodra. Atmosphere 10(9), 526. 

  15. So, Y. Y., S. J. Lee, S. W. Choi, and S.-J. Lee,?2020: Construction of NCAM-LAMP precipitation?and soil moisture database to support landslide?predi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Meteorology 22(3), 152-163. 

  16. Vizcaino, P., and A. Pistocchi, 2014: Use of a?simple GIS-based model in mapping the atmospheric?concentration of γ-HCH in Europe. Atmosphere?5(4). 720-7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