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e-헬스 리터러시, 구강보건지식이 구강보건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knowledge on oral health behavior in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2 no.1, 2022년, pp.11 - 19  

Kim, Yi-Seul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raduate School of Namseoul University) ,  Lim, Soon-R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e-헬스 리터러시,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행동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의 구강보건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1년 6월 22일 부터 8월 1일 까지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웹기반 설문지 폼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동은 성별, 학력, 1년 이내 치과 방문 경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 건강관심도, 구강관련 인터넷 사용 빈도 및 인터넷 구강 건강 정보의 신뢰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e-헬스 리터러시는 구강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e-헬스 리터러시가 구강보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e-오랄 헬스 리터러시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e-오랄 헬스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성인의 구강보건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w variables that can enhance adult oral health behaviors by confirming the degree of adult e-health literacy,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s and examining their relevanc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0)

  1. Jones JA, Kressin NR, Kazis LE, Miller DR, Spiro IIIA, Lee A, et al. Oral conditions and quality of life. J Ambul Care Manage 2006;29(2):167-81. https://doi.org/10.1097/00004479-200604000-00010 

  2. Locker D, Gibson B. The concept of positive health: a review and commentary on its application in oral health researc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34(3):161-73.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6.00263.x 

  3. Schillinger D, Grumbach K, Piette J, Wang F, Osmond D, Daher C, et al.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diabetes outcomes. JAMA 2002;288(4):475-82. https://doi.org/10.1001/jama.288.4.475 

  4. World Health Organization. Building foundations for eHealth: progress of member states: report of the WHO global observatory for e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1-86. 

  5. Ko MS, Kang KJ.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health empowerment on health behavior practice in elderly out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Korean Clin Nurs Res 2018;24(3):293-302. https://doi.org/10.22650/JKCNR.2018.24.3.293 

  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y people 2030[Internet].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2018. [cited 2021 Aug 11]. Available from: http://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data/browse-objectives/health-it. 

  7. Norman CD, Skinner HA.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 Med Internet Res 2006;8(4):e27. https://doi.org/10.2196/jmir.8.4.e27 

  8. Hwang AR, Kang HW.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Sch Health 2019;32(3):165-74. https://doi.org/10.15434/kssh.2019.32.3.165 

  9. Lee DI, Han SJ. Factors which affect the oral health - related quality of life of workers. J Dent Hyg Sci 2013;13(4):480-6. 

  10. De 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Edited by Bickman L, Rog DJ: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Inc; 2017:73-114. 

  11. Lee SR. A study for developing ehealth literacy scale[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Hanyang, 2018. 

  12. Kim MS. A study on the oral health -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 living Suncheons[Master's thesis]. Iksan: Univ. of Wonkwang, 2012. 

  13. Lee BI, Km YH.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literacy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adults in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4;37:87-102. 

  14. Kim EA.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Master's thesis]. Seoul: Univ. of Yonsei, 2008. 

  15. Choi YR, Kim HJ, Choi EM, Lee YS.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on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experience in some local adults. J Korea Conver Soc 2017;8(6):131-8. https://doi.org/10.15207/JKCS.2017.8.6.131 

  16. Lee MR, Han GS, Han SJ, Choi JS.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Korean J Health Promot 2011;28(1):23-35. 

  17. Yeo AN, Lee SY. The influences of dental health behaviors on the subjective dental health status and knowledg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8;18(4):585-95.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44 

  18. Nam YH, Lee SM. Comparison of e -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among healthcare - and engineering - affiliated students. J Digit Contents Soc 2018;19(10):1947-55. https://doi.org/10.9728/dcs.2018.19.10.1947 

  19. Park DJ, Kwon MK, Choi JH.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 - 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Asian J Public Relations 2013;17(3):379-413. https://doi.org/10.15814/jpr.2013.17.3.379 

  20. Song JH, Shin SJ. The effects of e - health literacy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 seeking behaviors of elderly using the internet in the community. J Digit Converg 2020;18(1):321-32. https://doi.org/10.14400/JDC.2020.18.1.3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