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 숙취해소제 4종의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 감소 효능 비교
Efficacy Verification of Four Hangover Cure Products for Reducing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Sprague - Dawley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2 no.2, 2022년, pp.79 - 85  

한민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진유정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  정세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나노의약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알코올성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대한 기능성은 숙취해소와는 다르기 때문에 숙취해소제들의 숙취해소 효능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의 4가지 숙취해소제의 효능을 알코올에 의한 숙취유도 흰쥐 모델에서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4가지 샘플들은 각각 C, M, R, S로 명명되었다. 동물실험에서 숙취 완화 효능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각 샘플들의 효과를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의 농도와 AUC (Area Under the Curve)로 평가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유의적으로 흰쥐의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 농도를 증가시켰다. 샘플 C, M, R, S순으로 에탄올의 Cmax와 AUC 감소율은 각각 5.9%, 3.1%, 8.4%, 11.7%와 8.9%, 2.2%, 12.1%, 19.6%였다. 아세탈데히드의 경우, 같은 샘플 순서로 Cmax는 14.2%, 15.2%, 28.2%, 35.0% 감소하였으며, AUC는 21.6%, 7.5%, 22.4%, 29.9%의 감소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샘플 S, R, C, M순으로 4개의 샘플 모두 EtOH군에 대비하여 숙취가 해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S만이 에탄올과 아세탈데히드의 혈중 농도와 AUC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결과는 시중에 판매되는 숙취해소제의 객관적인 효능 검증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hangover cure products containing natural ingredients have been made available in the market that are effective for alcohol-related liver damage or for improved liver function. However, the cure for of liver damage or medication for improved liver function are different from hangover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In addition, there are no individually recognized materials for hanover cure or hanover relieving from KFDA.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objectively confirm whether these hangover cure products are actually effective on lowering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acute alcohol-induced hangover animal mod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enavoli, L., Capasso, R., Milic, N. and Capasso, F. 2010. Milk thistle in liver diseases: past, present, future. Phytother. Res. 24, 1423-1432. 

  2. Bode, C., Kugler, V. and Bode, J. 1987. Endotoxemia in patients with alcoholic and non-alcoholic cirrhosis and in subjects with no evidence of chronic liver disease following acute alcohol excess. J. Hepatol. 4, 8-14. 

  3. DO'Keefe, S. and Marks, V. 1977. Lunchtime gin and tonic a cause of reactive hypoglycaemia. Lancet 309, 1286-1288. 

  4. Eriksson, C. P. 2001. The role of acetaldehyde in the actions of alcohol (update 2000). Alcohol. Clin. Exp. Res. 25, 15S-32S. 

  5. Food, U. and Administrtion, D. 2005. Guidance for Industry, Estimating the maximum safe starting dose in initial clinical trials for therapeutics in adult healthy volunteers.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USFD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6. Gemma, S., Vichi, S. and Testai, E. 2006. Individual susceptibility and alcohol effects: biochemical and genetic aspects. Ann. Ist. Super. Sanita 42, 8-16. 

  7. Han, Y. N., Chung, H. S., Lim, S. S., Lee, S. H., Shim, C. S. and Shin, K. H. 1998.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s of aloe spp. on alcohol metabolism. Saengyak Hakhoe Chi 29, 120-124. 

  8. Harburg, E., Gunn, R., Gleiberman, L., DiFranceisco, W. and Schork, A. 1993. Psychosocial factors, alcohol use, and hangover signs among social drinkers: a reappraisal. J. Clin. Epidemiol. 46, 413-422. 

  9. Jung, S. and Hong, S. 2004. Establishment of functionality evaluation system for hangover settl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FDS. 14, 300-343. 

  10. Kang, B. K., Jung, S. T. and Kim, S. J. 2002.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by solvent separation on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J. Food Sci. Technol. 34, 244-248. 

  11. Kim, J. and Lim, S. 2020. A study to promote the export of Korean hang over drinks in Russia. J. Converg. Inf. Technol. 10, 35-45. 

  12. Kim, S. and Jin, D. 2016.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eanut (Arachis hypogaea) sprout extract on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enzyme activity. Int. J. Agric. Biol. 50, 223-231. 

  13. Lieber, C. S. 1994. Alcohol and the liver: 1994 update.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14. Moon, M. S., Cho, B. R., Joo, K. H., Nam, C. W., Kim, K. S. and Choung, S. Y. 2014. Alcohol metabolism are improved by yeast extract mixtures than Hovenia Dulcis mixtures in healthy men: a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placebo-controlled trial (LB441). FASEB J. 28, doi.org/10.1096/fasebj.28.1_supplement.lb441 

  15. Morse, A. C., Schulteis, G., Holloway, F. A. and Koob, G. F. 2000. Conditioned place aversion to the "hangover" phase of acute ethanol administration in the rat. Alcohol 22, 19-24. 

  16. Ramchandani, V., Bosron, W. and Li, T. 2001. Research advances in ethanol metabolism. Pathol. Biol. 49, 676-682. 

  17. Shelmet, J. J., Reichard, G. A., Skutches, C. L., Hoeldtke, R. D., Owen, O. E. and Boden, G. 1988. Ethanol causes acute inhibition of carbohydrate, fat, and protein oxidation and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ig. 81, 1137-1145. 

  18. Slutske, W. S., Piasecki, T. M. and Hunt-Carter, E. E. 2003.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Hangover Symptoms Scal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hangover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Alcohol. Clin. Exp. Res. 27, 1442-1450. 

  19. Swift, R. and Davidson, D. 1998. Alcohol hangover: mechanisms and mediators. Alcohol Health Res. World 22, 54-60. 

  20. Van de Wiel, A. 2004. Diabetes mellitus and alcohol. Diabetes Metab. Res. Rev. 20, 263-267. 

  21. Wang, F., Li, Y., Zhang, Y. J., Zhou, Y., Li, S. and Li, H. B. 2016. Natural product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angover and alcohol use disorder. Molecules 21, 64. 

  22. Watson, W. H., Song, Z., Kirpich, I. A., Deaciuc, I. V., Chen, T. and McClain, C. J. 2011. Ethanol exposure modulates hepatic S-adenosylmethionine and S-adenosylhomocysteine levels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liver through changes in the redox state of the NADH/NAD+ system. Biochim. Biophys. Acta. Mol. Basis Dis. 1812, 613-618. 

  23. Wiese, J. G., Shlipak, M. G. and Browner, W. S. 2000. The alcohol hangover. Ann. Intern. Med. 132, 897-902. 

  24. You, Y., Lee, H., Chung, C., Lee, M. J. and Jun, W. 2016. Effect of mixture including hot water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45, 1508-15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