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Kyung Hee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정세영
|
참여연구자 |
김승희
,
정만영
,
권현정
,
홍선표
,
최진희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03-12 |
과제시작연도 |
2003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청 |
연구관리전문기관 |
식품의약품안전청 |
등록번호 |
TRKO200400000549 |
과제고유번호 |
1470000240 |
사업명 |
식품의약품안전성관리 |
DB 구축일자 |
2013-04-18
|
키워드 |
숙취해소.표준 시험 방법.숙취 증상 기능표시.평가기준.hangover settlement.standard test method.biomarker.function claim.evaluation standard.hangover symptom.
|
초록
▼
숙취는 음주 후. 8-16시간 후에 나타나는 불쾌한 느낌이다. 본 연구사업의 목적은 숙취해소의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기능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는 제 1세부 과제와 제 2 세부 과제로 이루어졌으며, 제 1세부 과제는 in vitro로서 간의 ADH와 ALDH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과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 평가체계구축을 위한 동물실험 방법을 제시하고, 제 2세부 과제는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 평가체계구축의 인체실험 방법의 제시였다. 제 1세부 과제에서는 간의 ADH와 ALDH 활성도의 측정은 숙취해소 음료의 원료를
숙취는 음주 후. 8-16시간 후에 나타나는 불쾌한 느낌이다. 본 연구사업의 목적은 숙취해소의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기능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는 제 1세부 과제와 제 2 세부 과제로 이루어졌으며, 제 1세부 과제는 in vitro로서 간의 ADH와 ALDH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과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 평가체계구축을 위한 동물실험 방법을 제시하고, 제 2세부 과제는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 평가체계구축의 인체실험 방법의 제시였다. 제 1세부 과제에서는 간의 ADH와 ALDH 활성도의 측정은 숙취해소 음료의 원료를 선정하는데 용이하겠다. 그리고 동물실험은 male SD rat에게 숙취해소의 효능을 평가할 용액을 경구투여하고 그 후, 30분 후에 알코올 3g/kg을 경구투여 한다. 알코올 투여 1시간, 3시간과 5시간에 채혈을 하여 혈 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숙취해소 용액을 함께 투여 받은 군(실험 군)은 혈중 에탄올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1, 3, 5시간에 모두 유의적으로(p<0.001, p<0.001, p<0.05) 낮았으며, 혈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3시간과 5시간에 역시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각각의 혈 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은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았다. 그러므로 이 용액은 숙취해소 효능이 있다고 판단된다. 제 2세부 과제의 인체시험에서는 인체적용시험 선정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남자를 대상으로 숙취해소 음료(G 음료와 A 음료)를 섭취한 30분 후에 소주 415ml(알콜 90g 포함)을 섭취한 주 0,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5시간(다음날 아침) 마다 채혈을 하여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숙취증상은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G그룹과 A 그룹 모두 혈중 에탄올 농도에서는 위약 그룹(P 그룹)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AUC의 결과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A 그룹의 경우 혈중 아세트아데히드 농도가 15시간(다음날 아침)에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AUC 역시 유의적(p<0.05)으로 낮았다. 그리고. 숙취 증상은 각각의 증상을 경험한 사람수,즉 빈도와 각 증상들의 총합을 비교하였는데, G 그룹과 A 그룹은 15시간에서 낮아지는 경항은 보며, 음료의 영향으로 증상이 완화됨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제한된 표본수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국내에서는 gas chromatography에 대한 개발이 미흡하고, 많은 비용이 든다. 그러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조작이 쉬우며, 좋은 재현성 갖는 kit를 사용하는 방법도 숙취 해소의 음료의 기능성을 평가하는데 무리가 없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
Hangover is unpleasant feeling of appearing between 8-16hours after drinking alcoholic bever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at presented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of hangover settlement functional evaluation. This research is consisted in the first detail subject and the second detail s
Hangover is unpleasant feeling of appearing between 8-16hours after drinking alcoholic bever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at presented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 of hangover settlement functional evaluation. This research is consisted in the first detail subject and the second detail subject. The first detail subject is what presented method in vivo / in vitro and the second detail subject is what presented method in clinical trial.At the first detail subject, ADH and ALDH activity in liver were evaluated as material of hangover settlement. And in vive male SD rats were administrated solution before alcoholadministration(3g/kg).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1, 3 and 5 hour and measured blood ethanol(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Blood ethanol concentration(BE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at 1, 3 and 5 hour. respectively and 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BA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at 3 and 5 hour. And AUC( Area under curve) of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hus, this solution had efficacy of hangover settlement. At the second clinical trial, healthy subjects(man) drinked hangover settlement beverage(G and A) before 30 min of drinked alcoholic beverage which is contained ethanol 90g. Blood were collected at 0, 15min, 30min, 1hr, 2hr, 4hr, 6hr, 15hr, respectively and measured blood ethan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addition, hangover symptoms were detected using questionnaire (5-score). In result, BEC of G group and P group wasn′t significantly lower than one of placebo group(P group) all of times. AUC of BEC was do, too. And, only BAC of 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ne of P group at 15hr. So, AUC of BAC was do, too.
Then, frequency of experiencing hangover symptoms(in addition to frequency of experiencing severe hangover symptom{“4” point or more} and total sum of hangover symptoms were evaluated. Both A group and G group were lower than P group but weren′t signigicangtly
In the interior of the contury, because of development of gas chromatography is unsatisfied and espensive. Therefore to measure of BEC and BAC, kit method was useful better because of lower cost, handling easily and good reproducibility.
목차 Contents
- 표지...1
- 총괄 연구과제 요약...4
- 제1세부 연구과제 요약...7
- 제2세부 연구과제 요약...8
- 제출문...12
-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요약문...13
- 국문요약문...13
- 영문요약문...14
- 목차...15
- 제1장 서론...18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18
- 2. 연구범위...19
- 제2장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20
- 1. 국내...20
- 2. 국외...21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24
- 1.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방법...24
- 가. 국내ㆍ외 보고된 문헌 고찰을 통한 숙취해소의 기능성 평가방법 조사...24
- 나.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측정 방법 비교...24
- (1) kit 측정방법...24
- (가) 에탄올 측정 방법...24
- (나) 아세트알데히드 측정 방법...24
- (2) Gas chromatography 측정 방법...25
- (가) Acetaldehyde, Ethanol 시료 전처리...25
- (나) Acetaldehyde, Ethanol 분석 조건...25
- 다. ADH와 ALDH 활성도 측정 방법 (in vitro)...27
- (1) 효소...27
- (2) ALDH 활성...27
- 라.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in vivo)...27
- (1) 혈중 에탄올 농도 측정...27
- (2)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28
- 마.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숙취증상 설문 조사 (인체적용시험)...30
- (1) 인체시험 계획...30
- (2) 피험자 선정...32
- (가) 피험자의 선정기준...32
- (나) 피험자의 제외기준...32
- (다) 피험자의 탈락기준...33
- (3) 투여방법 및 투여량...33
- (가) 투여방법...33
- (나) 투여량...33
- (4) 관찰내용 및 방법...33
- (가) 피험자 선정을 위한 사전조사 및 동의...34
- (나) 관찰내용 및 방법...34
- *별첨*...36
- 1. 사전 문진표...37
- 2. 임상시험 동의서...39
- 3. 숙취증상 설문조사...40
- 4. 임상 병리검사 양식...42
- 2. 연구결과...43
- 가. 숙취해소의 기능성 평가방법 - 문헌고찰-...43
- (1) 동물 실험...43
- (2) 인체적용시험...49
- 나.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의 측정 방법 비교 결과...54
- 다. ADH와 ALDH 활성도 측정 결과...58
- 라. 혈 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측정 (in vivo)...62
- 마.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및 숙취증상 설문 조사 결과 (인체시험)...67
- 바. 숙취증상 설문 조사...72
- 사.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숙취증상과의 상관관계...78
- 아. 숙취증상 설문조사 관련 제언...80
- 자. 숙취해소 관련 기능성 표시 범위...81
-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 및 대외 기여도...82
- 가. 기대효과...82
- 나. 활용방안...83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성 및 계획...84
- 가. 계량적 성과...84
- 나. 성과내용기술...84
- 다. 활용계획...84
- 제6장 기타 중요변경사항...85
- 제7장 참고문헌...8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