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불매운동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기법의 활용
A Study on the Consumer Boycott Participation Experience: Using Text Mining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2, 2022년, pp.88 - 106  

한준오 (성균관대학교 소비자학과) ,  이욱 (성균관대학교 소비자학과) ,  황혜선 (성균관대학교 소비자학과.소셜이노베이션융합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텍스트마이닝 분석과 심층면접을 활용하여 소비자불매운동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소비자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불매운동 관련 온라인 뉴스의 토픽은 불매운동 원인과 불매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각 주체들의 대응, 불매운동 효과의 내용을 포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 결과, 참여자들은 자체적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검증을 하며 탈중심화된 불매운동 참여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매운동 과정에서 대체재 부재, 불매기업의 마케팅 영향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경험과, 불매행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신념을 강화하는 긍정적 경험이 함께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discourse on consumer boycott and explored consumer experience using text mining of mass media and social media data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result showed that the topics of online news related to the boycott included the causes of the boycott, the responses of...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뉴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중심으로 소비자불매운동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검토하고, 실제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소비자 불매운동의 사회적 함의와 소비자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 Elkington and J. Hailes, The Green Consumer Guide, New York: Penguin, 1988. 

  2. D. Evans, D. Welch, and J. Swaffield, "Constructing and mobilizing 'the consumer': Responsibility, consumption and the politics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Vol.49, No.6, pp.1396-1412, 2017. 

  3. 허경옥, 소비자학의 기초, 교문사, 2010. 

  4. C. R. Hollenbeck and G. M. Zinkhan, "Consumer activism on the internet: The role of anti-brand communiti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33, pp.479-485, 2006. 

  5. G. Balabanis, "Surrogate boycotts against multinational corporations: consumers' choice of boycott targets,"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Vol.24, No.4, pp.515-531, 2013. 

  6. L. A. Neilson, "Boycott or buycott? Understanding political consumerism,"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Vol.9, No.3, pp.214-227, 2010. 

  7. D. Shaw, T. Newholm, and R. Dickinson, "Consumption as voting: an exploration of consumer empowerment,"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0, No.9/10, pp.1049-1067, 2006. 

  8. D. Stolle, M. Hooghe, and M. Micheletti, "Politics in the supermarket: Political consumerism as a form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Vol.26, No.3, pp.245-269, 2005. 

  9. M. Friedman, "Consumer boycotts: A conceptual framework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Social Issues, Vol.47, No.1, pp.149-168, 1991. 

  10. H. R. Jeon and J. H. Seo, "Original Article : Relevance between Consumer Boycott Participation and Perception Types on the Consumer Boycott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3, No.2, pp.143-155, 2015. 

  11. H. Hwang and K. O. Kim, "Social media as a tool for social movements: The effect of social media use and social capital on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m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9, No.5, pp.478-488, 2015 

  12. 서정희, 전향란, 소비자보이콧, 시그마프레스. 2016. 

  13. M. Friedman, "Consumer boycotts in the United States, 1970-1980 : Contemporary events in histor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19, No.1, pp.96-117, 1985. 

  14. D. E. Garrett,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policy boycotts: Environmental opposition to marketing," The Journal of Marketing, pp.46-57,1987. 

  15. 천경희, 홍연금, 윤명애, 송인숙, 이성림, 심영, 이승신, 윤리적 소비, 시그마프레스, 2017. 

  16. 이득연, "녹색 소비자 운동의 현황과 전략," 소비생활연구, 제8권, pp.43-53, 1991. 

  17. 이득연, "소비자불매운동: 현황과 평가," 소비자문제연구, 제18권, pp.139-159, 1996. 

  18. 주승희, "소비자불매운동의 의의 및 법적 허용 한계검토," 경영법률, 제19권, 제3호, pp.515-542, 2009. 

  19. 제미경, 전향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 불매운동 유형별 분석," 소비문화연구, 제16권, 제4호, pp.191-213,2013. 

  20. R. V. Kozinets, and J. Handelman, "Ensouling Consumption: A Netnographic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Boycott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5, pp.475-480, 1998. 

  21. A. John and J. Klein, "The Boycott Puzzle: Consumer Motivations for Purchase Sacrifice," Management Science, Vol.49, No.9, pp.1196-1209, 2003. 

  22. 이윤재, 강명수, 이한석, "온라인 소비자 불매운동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온라인 익명성을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제44권, 제2호, pp.27-44, 2013. 

  23. 조국, "소비자 불매운동의 법적 지위와 형사처벌의 당부 (當否)," 형사법연구, 제23권, 제3호, pp.369-392, 2011. 

  24. 김희윤, "소비자불매운동의 현실적 활성화 필요성," 글로벌기업법무리뷰, 제9권, 제1호, pp.103-132, 2016. 

  25. 홍지형, 소비자불매운동에 대한 소비자와 기업 근로자 간의 인식 차이 및 불매운동 참여 영향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6. S. Gonzalez-Bailon, J. Borge-Holthoefer, A. Rivero, and Y. Moreno, "The Dynamics of Protest Recruitment through an Online Network," Scientific Reports, Vol.1, p.197, 2011. 

  27. S. Wright, "Informing, communicating and ICTs in contemporary anti-capitalist movements," In W. Van De Donk, B. D. Loader, P. G. Nixon, & D. Rucht (Eds.) Cyberprotest: New media, Citizens and Social Movements (pp. 69-83). London: Routledge, 2004. 

  28. J. Van Laer and P. Van Aelst, "Internet and Social Movement Action Repertoire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3, No.8, pp.1146-1171, 2010. 

  29. E. Ambinder, D. M. Jennings, I. Blachman-Biatch, K. Edgemon, P. Hull, and A. Taylor, The Resilient Social Network, Homeland Security Studies and Analysis Institute, 2013. 

  30. D. Giles, Media Psycholog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ew Jersey: Routledge, 2003. 

  31. 김재휘, 부수현, "미디어 정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4호, pp.162-188, 2010. 

  32. A. M. Kaplan and M. Haenlein,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53, No.1, pp.59-68, 2010. 

  33. 권수경, 김선희, "패션제품 블로그 리뷰를 통한 온라인 구정효과에 대한 연구-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제21권, 제4호, pp.478-493, 2013. 

  34. 민병곤, 박동진, "SNS 상의 기업의 부정적 사건에 대한 보호동기, 불평행동과 기업이미지 간 관계 및 민첩성의 조절효과,"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7권, 제4호, pp.139-165, 2017. 

  35. M. H. Ryu, "Influ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Boycott on Online Boycott, Intention in Consumers in the 20's and 30'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wareness of Consumer Role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and Review, Vol.11, No.3, pp.115-136, 2015. 

  36. 신성연, 윤성욱, "기업의 부당행동이 유발하는 소비자의 부정적 감정과 보이콧 의사결정," 소비문화연구, 제20권, 제4호, pp.93-116, 2017. 

  37. 장몽교, 이승신, "불매운동 관련 특성 및 소비자시민성이 온라인 불매운동태도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1-26, 2018. 

  38. 전향란, 염동문, 제미경, "소비자 불매운동 신념이 불매운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조절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소비자문제연구, 제45권, 제3호, pp.287-306, 2014. 

  39. M. F. Farah and A. J. Newman, "Exploring Consumer Boycott Intelligence Using a Sociocognitive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3, No.4, pp.347-355, 2010. 

  40. T. Hahn and N. Albert, "Strong Reciprocity in Consumer Boycott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45, No.3, pp.509-524, 2017. 

  41. J. Lindenmeier, C. Schleer, and D. Pricl, "Consumer Outrage: Emotional Reactions to Unethical Corporate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5, No.9, pp.1364-1373, 2012. 

  42. 이한석, 주영혁, "온라인 보이콧 행동에서 감정이입의 역할: 소비자의 감성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제14권, 제2호, pp.25-43, 2011. 

  43. 박은아, 박민지, "누가 불매운동에 참여하는가?: 기업의 비윤리적 사건에 대한 불매운동 참여의도 형성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19권, 제1호, pp.121-138, 2018. 

  44. 강태중, "일본 브랜드 불매운동 태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일본 콘텐츠 노출 및 방문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제70권, pp.249-264, 2020. 

  45.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12. 

  46. D. Newman, J. H. Lau, K. Grieser, and T. Baldwin, "Automatic evaluation of topic coherence,"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p.100-108, 2010. 

  47. C. Sievert and K. Shirley, "LDAvis: A method for visualizing and interpreting topics," In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interactive language learning, visualization, and interfaces, pp.63-70, 2014. 

  48. 김태경, 최회련, 이홍철,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핀테크 기술 동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670-68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