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인벤토리 구축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Types and Inventory Establishmen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4 no.1, 2022년, pp.1 - 24  

이종원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  황태영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  윤호근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산림에 분포하는 습원을 대상으로 유형을 구분한 후 평가체계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자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되었다.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제 1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를 통해 도출된 1,264개소와 추가로 발굴된 16개소 총 1,280개소의 산림습원 중 습원의 기능과 가치가 있는 455개소를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산림습원은 자연형, 묵논형, 인공형, 변형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되고, 이를 세부적으로 재분류하여, 총 11개의 세부적 습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식물 및 생태, 수문·수리, 인문사회, 교란정도 등 다양한 항목에 따라 평가한 후 등급화한 결과, 산림습원의 가치가 매우 높은 A 등급은 30개소, 비교적 높은 수준의 가치를 지닌 B등급 201개소, 보통 수준의 가치인 C등급 184개소, 낮은 수준의 가치인 D등급 40개소를 확인하였다. 평가에서 A 또는 B로 높은 등급을 받은 231개소에 대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과 기타 효과적인 지역 기반 보전 수단을 지정하고, 또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체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림생물다양성의 핫스팟 지역인 산림습원을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보다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erform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y classifying the types of wetlands distributed in forests of Korea and assigning grad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ystem from 2015 until 2019. From 2005 to 2014, 1,264 sites derived from the first national forest wetland s...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산림에 분포하는 습원을 대상으로 유형을 구분한 후 평가체계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보전 및 관리를 진행하고자 수행되었다. 제 1차 전국 산림습원 조사를 통해 도출된 1,264개소와 추가로 발굴된 16개소 총 1,280개소의 산림습원 중 습원의 기능, 가치가 있는 455개소를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KS, Kim, HS and Kim, JG (2016). Wetlands, Life Science. [Korean Literature] 

  2. Burkett, V and Kusler, J (2000). Climate change: potential impacts and interactions IN wetlands OF the untted states, J.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pp. 313-320. [DOI:10.1111/j.1752-1688.2000.tb04270.x] 

  3. Carpenter, SR, Fisher, SG, Grimm, NB, and Kitchell, JF (1992). Global change and freshwater eco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3(1), pp. 119-139. [DOI:https://doi.org/10.1146/annurev.es.23.110192.001003] 

  4. Chatterjee, A, Blom, E, Gujja, B, Jacimovic, R, Beevers, L, O'Keeffe, J, Beland, M, and Biggs, T (2010). WWF initiatives to stud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imalayan high-altitude wetlands (HAWs),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30(1), pp. 42-52. [DOI:10.1659/MRD-JOURNAL-D-09-00091.1] 

  5. Choung, Y, Min, BM, Lee, KS, Cho KH, Joo, KY, Hyun JO, Na, HR, Oh, HK, Nam GH and Kim JS (2020).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uhyun Publisher. [Korean Literature] 

  6.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2018). https://www.cbd.int/doc/decisions/cop-14/cop-14-dec-08-en.pdf. 

  7. Erwin, KL (2009). Wetlands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role of wetland restoration in a changing world,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17(1), pp. 71-84. [DOI:10.1007/s11273-008-9119-1] 

  8. Hong, JP, Shim, YJ and Heo, HY (2017).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6), pp. 93-105. [Korean Literature] [DOI:http://dx.doi.org/10.13087/kosert.2017.20.6.93]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https://www.ipcc.ch/ 

  10. Johnson, WC, Werner, B, Guntenspergen, GR, Voldseth, RA, Millett, B, Naugle, DE, Tulbure, M, Carroll, RWH, Tracy, J and Olawsky, C (2010). Prairie wetland complexes as landscape functional units in a changing climate. BioScience, 60(2), pp. 128-140. [DOI:10.1525/bio.2010.60.2.7] 

  11. Korea Forest Service (KFS). 2008. Report of Wetlands Research, 11-1400000-000291-14, Korea Forest Service. [Korean Literature] 

  12.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E). (201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ational wetlands by type and grade, and preparation of wetland restoration manuals by type, 11-1480000-001143-0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3.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E). (2020). The 4th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20), NIE-LPR-2020-15,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Korean Literature] 

  1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MGL) (2021). https://www.law.go.kr 

  15.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11-1400119-000186-0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Literature] 

  16.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6). 2016 Statistical of forest wetland, 11-1400119-000287-0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Literature] 

  17.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19). Forest Wetland of Korea, 11-1400119-000385-0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Literature] 

  18.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20). Manual of forest wetlands monitoring, 11-1400119-000400-0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Literature] 

  19.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ve Plants, 11-1400119-000419-01,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Literature] 

  20. Kwon, DH (2006).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s Wetlands and Tasks. J. of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3(1), pp. 25-34. [Korean Literature] [NO DOI DATA] 

  21. Omar, MY, Maroyi, A and Van TJJ (2016). Floral diversity,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in a montane wetland in Hogsback, the Ea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Pakistan J. of Botany, 48(5), pp. 1861-1870.[NO DOI DATA] 

  22. Zedler, JB, and Kercher, S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Environment and Resources, 30(1), pp. 39-74.[DOI:10.1146/annurev.energy.30.050504.1442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