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요소와 유형 및 등급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산림습원 유형 구분 및 등급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Forest Wetland Evaluation Factors and Typ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5 no.4, 2022년, pp.471 - 501  

이종원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  윤호근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  안종빈 (국립수목원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습원의 가치평가 및 등급화로 인벤토리가 구축된 산림습원 455개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산림습원 가치평가 항목인 식생 및 경관,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 인문·사회경관 및 교란정도 4가지 카테고리의 23개 평가 요소가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등급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림습원의 유형 구분 및 가치평가의 개선을 통하여 향후 산림습원 보전 및 복원에 필요한 기준안을 마련하여 보전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체계적인 모티터링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산림습원 유형 구분과 규모와 접근성은 양적 상관을 보였으나, 나머지 항목은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산림습원 등급과는 음의 상관이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중치가 부여된 4가지 상위 카테고리 요소와 아주 큰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가치평가 항목의 평가 기준치를 조정하거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을 추가하거나 가중치에 대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산림습원의 경우 생물다양성으로 인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가장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고유성·희소성(15%), 야생동물서식지(15%), 식생 및 경관(35%), 물질순환 및 수리·수문(30%) 그리고 인문·사회경관(5%) 5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해볼 수 있고,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가중치를 제안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455 forest wetlands of south Korea for which an inventory was established through value evaluation and grad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and grades of forest wetlands and 23 evaluation factors in four categories: veg...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32)

  1. Ahn, K.H., J.C. Lim, Y.K. Lee, T.B. Choi, K.S. Lee, M.S. Im, Y.H. Go, J.H. Suh, Y.K. Shin and M.J. Kim. 2016a.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 in wetland. J. Environ. Impact Assess. 25(2):89-102 (in Korean). 

  2. Ahn, K.S., H.S. Kim and J.G. Kim. 2016b. Wetlands. Life Science, Seoul, Korea. pp. 1-604 (in Korean). 

  3. Burkett, V. and J. Kusler. 2000. Climate change: potential impacts and interactions in wetlands of The United States 1. JAWARA. 36(2):313-320. 

  4. Carpenter, S.R., S.G. Fisher, N.B. Grimm and J.F. Kitchell. 1992. Global change and freshwater ecosystems. Annu. Rev. Ecol. Evol. S. 23(1):119-139. 

  5. Chatterjee, A., E. Blom, B. Gujja, R. Jacimovic, L. Beevers, J. O'Keeffe, M. Beland and T. Biggs. 2010. WWF initiatives to stud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imalayan high-altitude wetlands (HAWs). Mountain Res. Dev. 30(1):42-52. 

  6. Choung, Y.S., B.M. Kim, K.S. Lee, K.H. Cho, K.Y. Joo, J.O. Hyun, H.R. Na, H.K. Oh, G.H. Nam and J.S. Kim. 2020.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1-235 (in Korean). 

  7. Cowardin, L.M., V. Carter, F.C. Golet and E.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 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pp. 1-104. 

  8. Cylinder, P.D. and K.M. Bogda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of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CA (USA). pp. 35-88. 

  9. Dahl, T.E. 2011. Status and Trends of Wetlands in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2004 to 2009.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pp. 1-108. 

  10. Erwin, K.L. 2009. Wetlands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 role of wetland restoration in a changing world. Wetl. Ecol. Manag. 17(1):71-84. 

  11. Gu,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Korea. pp. 1-161 (in Korean). 

  12. Johnson, W.C., B. Werner, G. Guntenspergen, R. Voldseth, R.A. Millett, B. Naugle, D.E. Tulbure, M. Carroll, R.W.H.J. Tracy and C. Olawsky. 2010. Prairie wetland complexes as landscape functional units in a changing climate. BioScience 60(2):128-140. 

  13. Jung, S.Y., J.W. Lee, H.T. Shin, S.J. Kim, J.B. An, T.I. Heo, J.M. Chung and Y.C. Cho. 2017.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265 (in Korean) 

  14. Kim, T.S., J.W. Kim, S.K. Moon, H.S. Yang and B.G. Yang. 2013.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 Wet. Res. 15(4):519-527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 2006. Report of Wetlands Research.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491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21. Annual Report on Forestry and Forestry Trends in 2020.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 692 (in Korean). 

  1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2016 Statistical of Forest Wetland.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1-290 (in Korean). 

  1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Dooroo Happy Co., Ltd., Seoul, Korea. pp. 1-225 (in Korean). 

  19.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006 (in Korean). 

  20. Kwon, D.H. 2006.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s wetlands and tasks.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3(1):25-34 (in Korean). 

  21. Lee, J.W., J.B. An, S.H. Kang and H.G. Yun. 2022a.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Korean J. Plant Res. 35(1):134-167 (in Korean). 

  22. Lee, J.W., J.B. An, T.Y. Hwang and H.G. Yun. 2022b.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rest wetlands types and inventory establishment in Korea. J. Wet. Res. 24(1):1-24 (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4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2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516 (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22. The Wetlands Conservation Act. (accessed on 27 February 2022). https://www.law.go.kr. 

  25. Mitsch and Gosselink. 2000. Wetlands (3rd ed.), John Wiley & Sons. NY (USA). pp. 1-900. 

  26. Moon, H.S. 2006. The Identification and comprehension of the mountain wetlands.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74:67-71 (in Korean). 

  27. Omar, M.Y., A. Maroyi and J.J. Van Tol. 2016. Floral diversity,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in a montane wetland in Hogsback, the Eastern Cape Province, South Africa. Pak. J. Bot. 48(5):1861-1870. 

  28. Ramsar. 2022. Ramsar site and Convention Act. (accessed on 7 February 2022). https://www.ramsar.org/documents. 

  29. Son, H.J., Y.S. Kim, J.U. Yun, K.W. Chun and W.G. Park. 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wetlands in Mt. Cheongok (Gyeongbuk Bonghwa). J. Korean Soc. For. Sci. 103(3):313-320 (in Korean). 

  30. Tarnocai, C. 2006.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carbon in Canadian peatlands. Glob. Planet. Change 53(4):222-232. 

  31. Tiner, R.W. 1993. Using plants as indicators of wetland. Proc. Acad. Nat. Sci. Philadelphia 144:240-253. 

  32. Zedler, J. B. and S. Kercher.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Annu. Rev. Environ. Resour. 30(1):3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