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40 no.1, 2022년, pp.31 - 40  

구지희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  송주일 (Research institute, Burin Co., Ltd) ,  조정윤 (Burin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VID-19, 집중호우,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난관리 및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재난대응 활동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정보를 통해 현장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단계별 필수적인 활동 업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각 재난 유형별 관련법, 일일상황보고 등의 각종 서식상의 수요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시 요구되는 필수정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현장의 상황파악 및 실시간 피해현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목록도 함께 도출하여 재난현장 정보 수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재난상황정보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상황인식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출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집해야할 재난상황관리 필수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필요로 한 정보만을 전달받아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하므로 재난 상황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is emerging as various disasters such as COVID-19, torrential rains, and fires occur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throughout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llect disaster site informatio...

Keyword

표/그림 (11)

참고문헌 (13)

  1. Cho, J.Y. (2016). Job Analysis of th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Personnel Working in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Status Control Center.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2. Cho, J.Y., Song, J.I., Jang, M.Y., and Jang, C.R. (2020),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70-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ang, H.J. and Heo, B.K. (2017), Real-time disaster situation propagation and control system for efficient disaster response,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 pp. 134-136. (in Korean) 

  4. Kim, M.K., Kang, S.H., Kim, S.P., and Sohn, H.G.(2016),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m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4, No. 1, pp.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O.J., Park, J.Y., Lee, S.H., and Lee, J.W. (2020), Disaster situation utilization plan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damage management statu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2020.06, pp. 240-241. (in Korean) 

  6. Kim, S.G. (2005).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n Loc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 Based upon the Perceptions of Fire Fighting Officials. Ph.D.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7. Lee, C.Y., Kim, T.H., and Lee, C.S. (2018), A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odel for the disaster field response and situation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4, No.1, pp. 36 - 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C.Y., Park, G.J., Lim, S.H., Lee, J.C., and Cho, A.N. (2021), A study of the standard structure for the disaster investigation data,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85-86. (in Korean) 

  9. Liu, C. (2006). Disaster Mnagement Theory. Hansung Culture. 

  10. Park, G.J., Lim, S.H., Lee, J.C., Cho, A.N, and Kim, D.H. (2021), A design of the integrated platform for the intelligent disaster and safety data,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87-88. (in Korean) 

  11. Park, J.Y., Son, A.L., Lee, J.W., and Lim, J.T. (2018), A study on the support plan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using the history of disaster occurrenc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 88-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in, S.Y. (2015). Status Analysis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Police-Fire Authorities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cy Plan.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13. Won, S.Y., Kwon, C.O., Chung H.W., and Choi, J.M. (2021), Research on improving spatial information based public data for disaster monitori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Vol. 12, No. 3, pp. 19-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