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Collect Disaster Site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Jecheon Sports Center Fire case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1 = no.47, 2020년, pp.70 - 78  

조정윤 (Burin Co.,Ltd) ,  송주일 (Burin Co.,Ltd) ,  장문엽 (Burin Co.,Ltd) ,  장초록 (Burin Co.,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hen a disaster occurs,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ent indiscriminately to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making it difficult to make quick and correct decisions. Therefore, in this study, both the field response team and the situation room attempted to derive the essential informa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국내에서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 사례를 바탕으로 사고발생 직후부터 수습·복구까지 의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각 재난유형별로 준비되어 있는 표준매뉴얼과 일일상황보고와 같은 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현장 인식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 국내에서 지진, 대형화재, 선박침몰 등 대규모의 재난이 발생한 이후 재난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과 제도들이 등장하였 으며 이에 따른 발전을 지속해왔으나,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에 있어서의 대응은 여지없이 많은 아쉬움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각기 다른 재난상황 속에서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과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담당자간 에 무작위로 정보 수집 및 전달을 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로 보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6년도에 발생했 던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를 바탕으로 실제 대응 및 일일상황보고·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분석하여 화재상황재난관리 정보수집의 측면에서 재난발생시 우선적으로 수집되어야할 정보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국내에서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 사례를 바탕으로 사고발생 직후부터 수습·복구까지 의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각 재난유형별로 준비되어 있는 표준매뉴얼과 일일상황보고와 같은 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현장 인식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재난대응에 있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행정안전부에서는 “제천 복합건물 화재 상황보고”를 작성하여 화재 피해상황에 대해 공유하고 각 부처별로 실시한 재난상황의 대응 업무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Cho, J. Y. (2016). Job Analysis of th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Personnel Working in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Status Control Center. M.A.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 Kim, S.G. (2005).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in local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s : based upon the perceptions of fire fighting officials. Ph.D.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3. Liu, C. (2006). Disaster management theory. Hansung culture. 

  4. Sin, S.Y. (2015). Status Analysis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Police-Fire Authorities and Establishment of Efficiency Plan.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