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사고조사관 교육 콘텐츠 설계
The Design of Training Contents for Marine Accident Investigator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8 no.1, 2022년, pp.125 - 134  

강석용 (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교육기획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해양안전심판원은 해양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해양안전심판절차에 따라 해양사고를 조사하는 기관으로 해양사고를 전문으로 조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조사관을 필요로 한다. 해양안전심판원의 조사관은 2급 이상의 해기사면허를 요구하고 있으며, 승선경력을 갖춘 경력자로 선박에 대한 전문지식을 소유하고 있지만, 해양사고 조사에 관한 기술 역량은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해양사고 조사관을 위한 교육은 행정업무가 주된 내용으로 조사 기술 역량 향상에는 부적합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해양사고 조사관을 위한 기술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해양사고 조사관 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행 조사관 교육내용의 분석, 관련 법령의 검토, 선진 해양국가 및 국내 유사 교통기관들의 조사관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조사 기술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둔 교육 콘텐츠를 설계하였고, 이를 각 5일이 소용되는 신규교육과 전문교육 과정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설계된 교육 콘텐츠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해양사고 조사관의 업무여건 등을 충분히 반영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조사 기술 역량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is an institution that investigates marine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maritime safety adjudication procedure when marine accidents occur. It requires its investigators to be capable in specializing in marine accidents, including possessing the following: a le...

주제어

참고문헌 (25)

  1. Chae, B. G., H. Lee, H. B. Kim, and S. Y. Kang(2018), A 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 Marine Incident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4, pp. 398-407. 

  2. Chae, C J., Y. S. Park, S. Y. Jo, S. Y. Kang, H. Lee, and H. B. Kim(2019),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Empowerment for Captain Based on the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5, No. 4, pp. 413-422. 

  3. EMSA(2021), https://europa.eu/european-union/about-eu/agencies/emsa_en. 

  4. IMO(2008a), Resolution MSC.255(84) Casualty Investigation Code. 

  5. IMO(2008b), IMO Circular MSC-MEPC.3/Cirl(2008), 13 June 2008. 

  6. IMO(2011), Resolution A.1054(27) Code for the Implementation of Mandatory IMO Instruments, 2011. 

  7. IMO(2013), Resolution A.1075(28) Guidelines to assist Investiga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asualty Investigation Code 

  8. IMO(2014), Model Course 3.11 Safety Investigation into Marine Casualties and Marine Incidents. 

  9. Jin, H. H.(2018), A Comparative Legal Study on the Investigation System of the Marine Casualtie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6), pp. 1996-2009. 

  10. JTSB(2021), https://www.mlit.go.jp/jtsb/english.html. 

  11. Kang, S. Y., K. S. Kim, H. B. Kim, and B. S. Rho(2018), An Analysis of Causes of Marine Incidents at sea Using Big Data Techniqu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4, pp. 408-414. 

  12. Kang, S. Y., K. S. Kim, and D. Y. Shin(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the Marine Accident Investigator Education Program, Presented at 2019 Autumn Conference of KOSOMES, p. 193. 

  13. Kim, H. T., S. Na, and W. H. Ha(2011), A Case Study of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with Focus on Human Erro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30, No. 1, pp. 137-150. 

  14. KMLG(2021), www.moleg.go.kr. 

  15. KMST(2021), https://www.kmst.go.kr. 

  16. Lee, E. B., Y. S. Park, and S. Y. Park(2016), Marine Emergencies for Masters and Mates, Dong Myeong Sa, ISBN 978-89-411-8161-3, p 34. 

  17. Lee, S. J., H. S. Kim, Z. J. Long, and S. K. Lee(2011), A Study on the Korea Marine Accidents and the Countermeasures, The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5, No. 3, pp. 205-211. 

  18. Lim, C. H.(2010),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and Marine Safety Investigation System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6, No. 1, pp. 57-63. 

  19. MAIB(2021), https://www.gov.uk. 

  20. MAIFF(2021), MAIFF manual https://maiif.org/. 

  21. Na, S. J., S. S. Kim, J. S. Park, and J. Y. Jong(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vestigation Manuals of Marine Accidents, The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26, No. 5, pp. 497-504. 

  22. NTSB(2021), https://www.ntsb.gov/Pages/home.aspx. 

  23. RMIT(2021), https://www.rmit.edu.au/. 

  24. Rho, B. S., Y. H. Lee, M. K. Jang, and S. Y. Kang(2018),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rine Incidents and Marine Accidents using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30(4), pp. 1208-1214. 

  25. TSB(2021), https://www.tsb.gc.ca/eng/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