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교통약자 보행자 교통사고 공간 군집 분석
Spatial clustering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Daegu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3, 2022년, pp.75 - 83  

황영은 (대구대학교 일반대학원 통계학과) ,  박성희 (대구대학교 수리빅데이터학부) ,  최화빈 (대구대학교 수리빅데이터학부) ,  윤상후 (대구대학교 빅데이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OECD 국가 중 보행자 사망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은 보행자 중심으로 법령이 제정하면서 안전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 인구와 학원이 밀도가 높은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보행자 교통사고 클러스터포아송분포를 이용한 스캔통계량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어린이와 노인에 관한 교통사고의 대중 인식을 수집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살펴본 결과 어린이는 정부와 기업인의 캠페인을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고, 노인은 사고감소를 위한 정책연구를 중심으로 노출되고 있었다.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공단이 많은 평리·내당·용산동에서 높았고, 학원 밀집도가 높은 만촌·봉무·범어동에서 낮았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의 상대적 위험성은 도심에 가까운 용산·죽전·두류·내당동에서 높았고, 범어·삼덕·팔공·봉무동에서 낮았다. 대구광역시 내당동과 용산동은 어린이와 노인 보행사고 위험성이 높아 보행 안전 취약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스캔통계량이 교통사고 위험 지역 탐색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which has the highest pedestrian fatality rate among OECD countries,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 safe walking environment by enacting laws focusing on pedestrian. Spatial clustering was conducted with scan statistics after examining the social network data related to traffic accidents fo...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4)

  1. The Road Traffic Authority. (2021) '20.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road traffic accident costs, 33-34 

  2. S. Hong. (2018). 5030 Speed policy and public safety. Monthly KOTI Magazine on transport, 27-31. 

  3. Act on promo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Article 2 

  4. S. Y. Lee & J. S. Lee. (2014).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hild and old adult pedestrian acciden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6), 5-15. 

  5. S. G. Kim. (2016).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439-448. DOI : 10.14400/JDC.2016.14.6.439 

  6. S. Y. Jang, D. H. Lee & Y. C. Chang. (2014). Study on children's traffic accident reducing plans through existing established policy analysis. Journal of traffic safety research, 33, 79-92. 

  7. W. Ji & S. Choi. (2020). Despite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crimes, Article 5-13, insufficient child protection area safety. Issue & Analysis, 1-24. 

  8. B. R. Woo, A. R. Kim, D. H. Jeong, S. K. Oh & H. K. Hoe. (2020). Spatial suitability analysis of elderly pedestrian accident hot-spots and silver zones in the old downtown of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1(3), 57-67. 

  9. S. Park, J. Lim, H. Kim & S. Lee. (2017).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in School Zones Study to identify the key influencing fa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9(2), 167-174. DOI : 10.7855/IJHE.2017.19.2.167 

  10. M. Sohn, M, Im, & K, Park. (2021).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changes of onlin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1), 29-43. DOI : 10.14400/JDC.2021.19.1.029 

  11. J. H. Joon, H. J. Mun, & H, Lee. (2021). A study on trend analysis in convergence research applying word cloud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2), 33-38 DOI : 10.14400/JDC.2021.19.2.033 

  12. J. H. Yang, J. O. Kim & Y. K. Yu. (2016). 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a case study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3), 221-230. DOI : 10.7848/ksgpc.2016.34.3.221 

  13. B. Kang & T. Y. Heo. (2017). Comparison of planar and network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for traffic accidents : focused on Gangnam-gu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5), 2433-2445. DOI : 10.37727/jkdas.2017.19.5.2433 

  14. B. J. Sung, G. H. Bae & H. H. Yoo. (2015).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in Jinju.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 3-9. 

  15. G. Khan, X. Qin & D. A. Noyce. (2008). Spatial analysis of weather crash pattern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34(5), 191-202. DOI : 10.1061/(ASCE)0733-947X(2008)134:5(191) 

  16. N. Kim, D. Lee, H. Choi, & W. X. S. Wong. (2017). Investigations 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text analytic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2(2), 471-492. DOI : 10.7840/kics.2017.42.2.471 

  17. J. H. Lee, J. M. Lee, W. K. Kim & H. G. Kim. (2017). A study on perception of swimsuit using big data text-min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8(1), 104-116. 

  18. J. L. Naus. (1965). Clustering of random points in two dimensions. Biometrika, 52(1-2), 263-266. DOI : 10.1093/biomet/52.1-2.263 

  19. M. Kulldorff. (1997). A spatial scan statistic. Communications in Statistics-Theory and methods, 26(6), 1481-1496. 

  20. J. H. Han & M. J. Lee. (2016). Cancer cluster detection using scan statistic.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5), 1193-1201. DOI : 10.7465/jkdi.2016.27.5.1193 

  21.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crimes, Article 5-13 

  22. K. B. Kim. (2015). The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methods of elderly pedestrian in accordance with the advent of the aging society - focused on Jeju.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 197-207. DOI : 10.5392/JKCA.2015.15.04.197 

  23. E. Han, H. Cho, S. Mun, S. B. Yun & S. Y. Park. (2020). Improvement of pedestrian speed criteria for the pedestrian green interval at silver zon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19(4), 45-54. DOI : 10.12815/kits.2020.19.4.45 

  24. M. Byun & U. S. Seo. (2011).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Survey Research, 12(2), 27-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