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국 인민일보를 통해서 보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
The image of South Korea reported by the People's Dail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3, 2022년, pp.19 - 26  

우효영 (동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  김형곤 (동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 <인민일보>의 한국 관련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어떻게 구축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인민일보>에 게재된 한국 관련 기사 253건이다.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해 기사 건수, 지면, 출처, 주제, 보도성향 등 5가지 항목에서 한국 관련 기사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민일보>의 한국 관련 기사 건수는 2016년 이후 감소세를 보였고, 기사 주제는 정치, 사회 분야가 많았다. 2016년과 2017년에는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으로 인해 군사 분야 기사가 다수 게재되었고, 군사분야 기사에서만 부정적인 성향의 기사가 있었다. 대다수의 <인민일보> 한국 관련 기사는 한국을 긍정적으로 혹은 객관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인민일보>는 긍정적인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Korea's national image is being establish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related to Korea by the People's Daily in China. There were 253 articles related to Korea published in the People's Daily from 2016 to 2020.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s, a...

Keyword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J. W. Yu. (2020). Study on Moon Jae-In Government's Policy towards China, PhD's Thesis of JiLin University. 

  2. Kun Zhang & R. Y. Cui. (2016). The Image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Eyes of the Chinese Public and Influencing Factors: A Study Based on Two Rounds of National Polls (2014-2015),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10(3), 117-118. 

  3. People's Daily. http://www.people.com.cn/GB/50142/104580/index.html (accessed June 25, 2021). 

  4. Y. Lee. (2007). Korean State Image and the Change of Storytelling/Narrative in Britain: A Semiological Analysis on The Times 2002~2005.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1(1), 32-58. 

  5. Kunczik, M. (1996). Image of Nations and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Galtung, J. & Ruge, M. H. (1965). The structure of foreign news. Journal of Peace Research, 2(1), 64-90. 

  7. Chen Wei. (2014). Media Discourse in the Field of Power : The Construction and Discourse Strategy on the Image of Mainland China in Hong Kong Newspapers. Chinese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7(2), 17-32. 

  8. X. Z. Teng. (1987). Television Sociology, Anhui Literature and Art Publishing House, Anhui. 

  9. Peng Weibu. (2005). Analysis of news repor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media. Northeast Asian studies 

  10. J. Heo & C. Y. Wen, (2011). A Contents Analysis on Korea-related News in Chinese Major Newspaper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1(4), 557-589. 

  11. J. Kim, J. park & S. Kim. (200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Image of Korea, Japan, and China in the US Major Newspapers. Korean Society for Advertising Education, 0(54), 167-189. 

  12. Qian Xinbo. (1990). Recent developments in Chinese journalism. In L. John Martin & Ray Eldon Hiebert (Eds.). Currents Issues in International commmunication. N.Y.: Longman. 

  13. Ji Zhiye. (2013). China's surrounding areas are in urgent need of top-level design.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2013(10),1-2. 

  14. Lu keng. (1990). The Chinese communist press as I see it. In L. John Martin & Ray Eldon Hiebert (Eds.), Currents Issues in International commmunication. N.Y.: Longman. 

  15. Z. Zhang, etc, (2006). China External Communication, Beijing Communication University Press, Beijing.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