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를 고려한 빈집 발생지역의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 in Consideration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 Focused on the Old Downtowns of Busan Metropolitan City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5 no.1, 2022년, pp.120 - 132  

설유정 (동아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과) ,  김지윤 (울산연구원 미래도시연구실) ,  김호용 (동아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지역에서 급격하게 발생하는 빈집의 증가는 도시경관 악화, 안전사고 유발, 범죄 사고 발생, 위생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인구 및 가구의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빈집 발생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빈집 발생으로 인한 문제를 방치할 경우, 주거환경 악화와 같은 물리적 쇠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지역의 쇠퇴를 야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 및 공간적 영향력의 존재를 고려한 국지적 차원에서의 빈집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역적 공간적 자기상관을 측정하기 위해 Moran's I와 지리가중회귀모델(GWR)을 통해 빈집발생이 많은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를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간 분석단위가 달라짐에 따라 공간분석의 결과값에 차이가 나타나는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에 관한 문제(MAUP)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읍면동과 집계구의 상이한 공간단위에 대한 빈집 발생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광역시 원도심 일대의 읍면동별 빈집 발생은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으며 공간분석단위를 달리함에 따라 빈집 발생의 공간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빈집 발생의 정확한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GWR 모델을 이용한 공간적 차원을 고려하여야 하며,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rapid increase in vacant houses in urban areas has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worsening urban landscape, causing safety accidents, crime accidents, and hygiene problem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Korea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results, the growth rate of Korean population an...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0)

  1. Cho, I.H. 2010. A study on spatial effects in MAUP : with a focus on scale and zoning effects.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144pp. 

  2. Choi. D.J. and Y.C. Suh. 2013.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40-53. 

  3. Cheong, J.S. and J.H. Park. 2015, Test of the scale effect of MAUP in crime study: analyses of sex crime using nation-wide data of eup-myon-dong and si-gun-gu,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150-159. 

  4. Fotheringham, A.S, C. Brunsdon and M. Charlton. 2002.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of spatially varying relationshops. John Willey & Sons 6-61. 

  5. Jeon, Y.M. and S.H. Kim. 2016.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in an inner.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7(1):83 -100. 

  6. Jung, S.Y. and H.J. Jun. 2019. Exploring spatial dependence in vacant housing growth.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4(7):89-102. 

  7. Kim, K.Y. 2011.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2):197-211. 

  8. Kang, M.N. 2018. Policy for preven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elements Policy Brief 689:1-8. 

  9. KOrea Statistical Korea(KOSIS). 2020. https://kosis.kr/index/index.do. (Accessed Ocober 08, 2022). 

  10. KOrea Statistics Information Service(KOSTAT). 2016.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miri.html?fne50371391704148726234304&rs/assist/synap/preview. (Accessed February 16, 2022). 

  11. Kim, J.Y. and H.Y. Kim. 2021.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using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model - 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4(1):68-79. 

  12. Kamata, Yoko and J.E. Kang. 2021. A study on the occurrence, persistence, and reuse of vacant houses in deteriorated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of old downtowns of large cities : Focused on Ami-dong and Chojang-dong in Busan. Korea Planning Association 56(7):73-86. 

  13. Lee, S.I. 1999. The delineation of function regions and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7(2):757-783. 

  14. Lee, H.Y. and J.H. Shim. 2011. 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nd edition. Bubmonsa pp.397-420. 

  15. Lee, Y.M., P. Kwon, K.Y. Yun and H. Yong. 2016. A study on scale effects of the MA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spatial autocorrelation - Focused on LBSNS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1):25-33. 

  16. Park, S.N. 2018.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empty homes in deprived area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empty homes: Focusing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nd local coordinator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19(1):5-20. 

  17. Sim, J.S., H.Y. Kim, K.W. Nam and S.H. Lee.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1):67-79. 

  18. Sim, J.S., J.S. Kim and S.H. Lee. 2014. Local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flooding areas using GW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1):39-50. 

  19.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GIS). 2020.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Accessed October 08, 2022). 

  20. W.R. Tobler. 1970. A computer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