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제 웅진기 벽돌무덤에 사용된 벽돌의 재료와 첨가물 특성 분석
Archaeometric Characterization of Raw Materials and Tempers of Bricks Used in the Brick Tombs during Ungjin Period of Baekje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5 no.6, 2022년, pp.571 - 582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진홍주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이 연구에서는 백제 웅진기 공주에 축조된 벽돌무덤 3기에 사용된 벽돌의 재료와 첨가물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주에는 무령왕릉, 왕릉원 6호분, 교촌리 벽돌무덤이 남아있는데, 각 고분을 구성하는 벽돌의 태토는 유사한 재료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형태와 물리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광물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 분석 결과, 무령왕릉과 왕릉원 벽돌은 정제된 토양으로 제작되었고, 벽돌 분쇄물이 첨가물로 드물게 사용되었다. 반면 교촌리 벽돌무덤 벽돌에서는 길고 두꺼운 흑색 기공의 빈도가 높았고 미세조직 관찰결과에서 탄소가 농집된 식물탄화물과 잔존물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공은 주로 0.3~1mm 두께로 분포하고 있어 일정크기의 식물을 정제된 토양에 첨가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함께 벽돌 분쇄물도 비짐으로 첨가하였다. 특히 식물과 벽돌 분쇄물의 첨가는 내부구조에 두꺼운 기공을 형성하거나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촌리 벽돌무덤 시료는 내부 균열이 많고 소성온도도 낮아 초음파 속도가 왕릉원 시료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물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벽돌의 첨가물과 소성온도, 내부구조 등은 벽돌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벽돌 제작 기술의 차이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aw material and tempers of bricks used in three brick tombs built in Gongju, during the Ungjin period of Baekje were investigated.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6th tomb in the royal tombs, and Kyochonri brick tomb remained in Gongju and the bricks of each site had differe...

주제어

참고문헌 (24)

  1. Brady, N. and Weil, R. (1999)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12ed., Prentice Hall. 

  2. Cho, D.Y. (2013) An Examination of Neolithic Talc Tempered?Pottery from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Journal of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v.43, p.5-33. 

  3. Cho, D.Y. (2014) The Use of Plant Resources for Pottery Production/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Use of Plant Resources in?East Asian Prehistory.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129-141. 

  4. Eslami, A., Mohammadi, H. and Banadaki, H.M. (2022) Palm fiber?as a natural reinforcement for improving the properties of?traditional adobe brick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v.325. doi: 10.1016/j.conbuildmat.2022.126808 

  5. Gilmore, Z.I. (2015) Direct Radiocarbon dating of Spanosh moss?(Tillandsia usneoides) from early fiber-tempered pottery in the?southeastern U.S. J. Archaeol. Sci., v.58, p.1-8. doi: 10.1016/j.jas.2015.03.019 

  6. Gongju National Museum (2007) The research of artifacts from the?royal tomb of King Muryeong 3. p.6-79. 

  7. Gongju-si and Museum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20)?Excavation report - Kyochon-ri, Gongju. 

  8. Jang, S. and Lee, C.H. (2013) Production and Supply of Bricks from?the Songsanri Tomb Complex. J.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v.82, p.27-53. 

  9. Jang, S. and Jin, H.J. (2021) Provenance and manufacturing technology?of bricks used in Gyochon-ri brick tomb No.3. The Baekje?Hakbo, v.36, p.51-83. 

  10. Jove-Sandoval, F., Barbero-Barrera, M.M. and Medina, N.F. (2018)?Assessment of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three varieties of?pine needles as natural reinforcement of adobe. Construction and?Building Materials, v.187, p.205-213. doi: 10.1016/j.conbuildmat.2018.07.187 

  11. Kim, Y.B. (1974) A Consideration on Bricks from the Royal Tomb?of King Muryung of Backje Dynasty. The Baekje Yonku, v.5.?p.187-198. 

  12. Kowalski, L., Weckwerth, P., Chabowski, M., Adamczak, K., Jodlowski,?P., Szczepanska, G., Chajduk, E., Polkowska-Motrenko, H.,?Kozicka, M. and Kukawka, S. (2020) Towards ritualisation:?Insights into bone-tempered pottery from the TRB settlement in?Kaldus. Ceramics International, v.46, p.3099-3112. doi: 10.1016/j.ceramint.2019.10.012 

  13. Kozatsas, J., Kotsakis, K., Sagris, D. and David, K. (2018) Inside?out: Assessing pottery forming techniques with micro-CT scanning.?An example from Middle Neolithic Thessaly. J. Archaeol. Sci.,?v.100, p.102-119. doi: 10.1016/j.jas.2018.10.007 

  14. Lee, G.K., Jang, S., Go, J.W. and Bang, M. (2019) Distinctive local?tradition of plant-tempered Gosan-ri-type pottery on Jeju Island?in the Neolithic Korean Peninsula. Quaternary International,?v.519, p.92-100. doi: 10.1016/j.quaint.2018.11.027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Nondestructive?evaluation of weathering degree for stone cultural heritage using?ultrasonic test. 

  16.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8) Scientific?analysis of cultural heritage, p.14-16. 

  17. Obata, H. and Kunikita, D. (2022) A new archaeological method to?reveal the arrival of cereal farming: Development of a new?method to extract and date of carbonised material in pottery and?its application to the Japanese archaeological context. J. Archaeol.?Sci., v.143. doi: 10.1016/j.jas.2022.105594 

  18. Palumbi, G., Gratuze, B., Harutyunyan, A. and Chataigner, C. (2014)?Obsidian-tempered pottery in the Southern Caucasus: a new?approach to obsidian as a ceramic-temper. Journal of Archaeological?Science, v.44, p.43-54. doi: 10.1016/j.jas.2014.01.017 

  19. Rice, P.M. (2005) Pottery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p.406-408. 

  20. Sanger, M. (2016) Investigating pottery vessel manufacturing techniques?using radiographic imaging and computed tomography: Studies?from the Late Archaic American Southeast. J. Archaeol. Sci.:?Reports, v.9, p.586-598. doi: 10.1016/j.jasrep.2016.08.005 

  21. Shin, C.W. and Kim, J.J. (1988)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phosphorous in the upland soil. J. Korean Soc. Soil Sci. Fert.?v.21(2). 

  22. University Museum, the University of Tokyo (2012) Archaeometria,?p.119-136. 

  23. Vieira, C.M.F. and Monteiro, S.N. (2007) Effect of grog addition on?the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a red ceramic body for brick?produc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21, p.1754-1759. doi: j.conbuildmat.2006.05.013 

  24. Zhushchikhovskaya, I. (1997) On early Pottery-Making in the?Russian Far East. Asian Prospectives, v.36(2), p.160-16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