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랭크 운동 시 척추세움근과 허리네모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및 지지면 조건이 복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rector spinae and quadratus lumborum kinesio taping and support surface conditions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plank exercis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9 no.1, 2022년, pp.55 - 63  

김동훈 (김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rector spinae and quadratus lumbar kinesio taping and support surface conditions on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plank exercise. Design: Within-Group design. Methods: A total of twenty-three healthy men and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bdo...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김규상. 작업특성에 따른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방법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발간자료 2005. 

  2. 김형근, 김창용, 강정현, 등. 크런치 운동 시 부수적인 기합 기법과 청각적 격려 적용이 정상인의 복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대조 예비 연구. 대한물리의학회지 2016;11(2):53-62. 

  3. 문해성, 채원식, 정재후. 플랭크 운동 시 토구-점퍼 활용이 코어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20;31(4):672-9. 

  4. 박상민, 윤진호, 지무엽, 등. 척추기립근과 요방형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시간이 근활성도 및 요부등척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2018;13(1):389-98. 

  5. 박운철, MEDX 운동프로그램이 요통치료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04. 

  6. 오지선, 최동균, 김연수. 요부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좌식 생활 여성의 요천추부 각도, 근력, 체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017;35(1):15-24. 

  7. 양재영. 플랭크 동작 시 팔의 각도와 지지면 차이에 따른 코어 및 체간근육의 근활성도 비교분석[석사학위논문]. 중원대학교; 2019. 

  8. 엄세영, 이원준, 이재일 이은희, 이혜영, 정은정. 발목관절의 키네지오 테이핑 적용이 대학생들의 운동 수행 시 자세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11-9. 

  9. 이영섭. 요통 환자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근력과 통증의 변화[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2. 

  10. 한길수, 소재무, 문훈기. 12주 등장성 운동이 여성노인 요통환자의 요부안정화 비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007;17(2):123-30. 

  11. 한우정, 손경현. 불안정한 지지면 위에서의 플랭크 운동이 만성허리통증환자의 유연성 배 근육 두께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2019;26(3):23-36. 

  12. Blottner D, Huang Y, Trautmann G, et al. The fascia: continuum linking bone and myofascial bag for global and local body movement control on earth and in space. A scoping review. Reach 2019;14:100030. 

  13. Ekstrom, RA, Donatelli RA, Carp KC.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core trunk, hip, and thigh muscles during 9 rehabilitation exercise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12):754-62. 

  14. Ghozy S, Dung NM, Morra ME, et al. Efficacy of kinesio taping in treatment of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Physiotherapy 2019;107:176-88. 

  15. Handzel TM. Core training for improved performance. NSCA's performance Training Journal 2003;.2(6):26-30. 

  16. Hodges PW, Cresswell AG, Daggfeldt K, et al. Three dimensional preparatory trunk motion precedes asymmetrical upper limb movement. Gait Posture 2000;11(2):92-101. 

  17. Jemmett R. Spinal Stabilization: The New Science of Back Pain. Novont Health Pub. 2003. 

  18. Jeong HJ, Ha SJ, Jeong YJ, et al. Effects of plank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disability in subjects with mild chronic low back pain. Phys Thera Korea 2019;26(1):51-9. 

  19. Jeong HJ, Park CB, Kim YN. Effect of visual feedback squat motion on core muscles thickness of young people with lower back pain. J Kor Phys Ther 2019;31(4):216-21. 

  20. Johannsen F, Remvig L, Kryger P et al. Exercises for chronic low back pain: a clinical trial.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2(2):52-9. 

  21. Kang KW, Son SM, Ko YM. Changes in abdominal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ability on plank exercises with various surfaces. J Kor Phys Ther. 2016;28(5):264-8. 

  22. Kim HS, Lee KC. Effect of support surface form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flank exercise. J Korean Soc Integr Med 2019;7(3):197-204. 

  23. Kim JY, Park S. Effect of Kinesio Tape for Fascia o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Plank. J Korean Phys Ther 2020;32(5):290-4. 

  24. Kim JW, Park MC. Effects of the abdominal hollowing technique applied during plank exercises at different angles between ground and the humerus on abdominal stabilization muscle activity. J Kor Phys Ther 2020;32(2):94-100. 

  25. Lephart SM, Pincivero DM, Giraido JL, et al.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athletic injuries. Am J Sports Med 1997;25(1):130-7. 

  26. Nam KJ, Lee DH, Jung JS,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lectromyogram of plank and bridge exercise. Korean J Sport Sci 2020;27(1):935-44. 

  27. Park JC, Park MS, Hwang TY.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pre-intervention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Kor Phys Ther 2019;31(1):18-23. 

  28. Park SM, Yoon JH, Ji MY, et al. Effects of kinesio taping of spinal erector muscle and lumbar quadrate muscle on lumbar isometric strength,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time passage. J Korean soc Wellness 2018;13(1):389-98. 

  29. Pires LG, Padula RS, Junior M, et al. Can kinesio taping influence the electromyographic signal intensity of trunk extensor muscles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az J Phys Ther 2019;260:1-12. 

  30. Schellenberg KL, Lang JM, Chan KM, et al. A clinical tool for office assessment of lumbar spine stabilization endurance: prone and supine bridge maneuvers. Am J Phys Med Rehabil 2007;86(5): 380-6. 

  31. Shin YA. Comparison of core stabilizer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movement difficulty and stability during various trx plank. A J Kinesiol 2014;16(4):31-41. 

  32. Standaert CJ, Weinstein SM, Rumpeltes J.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Spine J 2008;8(1):114-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