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네시오 테이프의 장력 차이가 젊은 대학생들의 발목 근력,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nsion difference of kinesio tape appli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on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of the ankle joint in you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9 no.2, 2022년, pp.28 - 37  

이대훈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초인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  신기하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  염유진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지성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성호 (신구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the tension of Kinesio tape applied to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on muscle strength,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of ankle joint in young adults.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41 young coll...

주제어

참고문헌 (42)

  1. 김가현, 탁지연, 임학현, 등. 건강인의 한발 서기 시 다양한 감각 자극이 압력 중심점 이동 면적과 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5;22(3):41-9. 

  2. 김명기, 김보경, 박윤진, 등. 하지부위 키네시오 테이핑이 수직점프 시 근 활성도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8;34(2):915-23. 

  3. 김명기, 이성기, 김창국. 운동생리학 :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후 시간경과에 따른 요부근력의 최대 발현 지점. 한국체육학회지 2005;44(5):353-62. 

  4. 김슬기나. 피로 프로토콜 수행 전 후 하지의 기능적 특성 비교 [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2014. 

  5. 김연정, 채원식, 이민형. 운동역학 : 등속성 운동시 스포츠 테이핑이 하지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4;43(5):369-75. 

  6. 김유섭, 이혜진. 대퇴부 슬관절 테이핑 적용이 등속성 근력 및 근지구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 리서치 2004;15(1):805-13. 

  7. 김은국, 김연자, 최호경. 엘리트 배드민턴 선수들의 어깨 관절 테이핑 적용에 대한 견봉하 공간의 변화. 한국체육과학회지 2015;24(6):1211-25. 

  8. 김은자, 이경보.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발과 발목관절에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후 족저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경치료학회지 2019;23(2):1-6. 

  9. 김찬규, 이병훈. 여대생의 비만에 따른 보행패턴, 근활성도 및 균형지수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6):259-66. 

  10. 김현균, 김영관. 테이핑이 근지구력 운동능력과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3;22(3):1409-16. 

  11. 노정근.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이 골프 선수의 비거리 향상을 위한 근육 발현 능력에 미치는 조사연구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 1998. 

  12. 문성곤.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발목 관절의 운동학적 분석과 하퇴 근육의 근전도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005;15(1):177-95. 

  13. 박한규. 균형훈련과 호흡조절훈련이 청소년 공기소총 사격 선수들의 균형,호흡, 근 활성도, 사격기록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대구대학교]. 국립중앙도서관; 2017. 

  14. 배세현, 김기도, 김경윤.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방식이 정상인의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3;13(11):791-9. 

  15. 배중혁, 양난희, 김용권. 원인근 테이핑 요법이 경추부 관절운동과 동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999;6(4):145-51. 

  16. 서태화, 고현민, 박종항, 등. 발목 불안정성에 키네시오 테이핑적용이 관절가동범위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17;23(1):7-13. 

  17. 송기재, 장원석, 오재근. 테이핑 종류에 따른 발목 ROM, 밸런스, 고유수용성 감각, 민첩성의 차이. 한국스포츠학회지 2013;11(4):461-71. 

  18. 엄세영, 이원준, 이재일, 등. 발목관절의 키네지오 테이핑 적용이 대학생들의 운동 수행 시 자세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11-9. 

  19. 원경혜, 이만균. 비탄력 발목 테이핑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농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및 기능적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2;21(1):11-22. 

  20. 유병규, 오경환, 이재갑. 동결견 환자에 대한 키네시오 테이프 적용이 관절가동범위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01;8(1):869-77. 

  21. 이동윤. 뒤넙다리근과 앞정강근에 적용한 키네지오 테이핑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능력 및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가천대학교]. 국회도서관; 2018. 

  22. 이민선, 육동원.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 적용이 무릎 굴곡, 신전 시근력 및 근지구력 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연구논문집 2000;7(1):107-21. 

  23. 이성기. 최대 근 기능 발현을 위한 최적의 키네시오 테이프의 적용 시점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도서관; 2008. 

  24. 이정원. 테이핑 길이에 따른 장력변화와 적용처치각도가 대퇴부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도서관; 2018 

  25. 이종복. 현대인의 건강을 위한 테이핑이 족관절의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0;13(2):443-52. 

  26. 전상은. 키네시오 테이핑 상태에서는 근 피로 유발에 따른 피로물질의 변화반응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국회도서관; 2011. 

  27. 정대인, 김명훈. 대퇴사두근에 대한 탄력테이핑 적용이 근력 및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포츠 리서치 2005;16(5):171-9. 

  28. 주민철, 이양진, 황준현, 등. 관절 테이핑과 근육 테이핑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019;7(2):77-84. 

  29. 한승완.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이 지구성 운동 후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015;24(5):1427-35. 

  30. 홍완성, 김기원. 발목관절 복합체의 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중립위치와 측정방법의 신뢰도.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11;23(4):45-51. 

  31. Clark MA. 운동수행능력 향상 트레이닝.한미의학; 2014. 

  32. Ozer D, Senbursa G, Baltaci G, et al. The effect on neuromuscular stability, performance, multi-joint coordination and proprioception of barefoot, taping or preventative bracing. Foot (Edinburgh, Scotland) 2009;19(4):205-10. 

  33. Hertel J. Sensorimotor deficits with ankle sprains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Clinics in sports medicine 2008; 27(3):353-vii. 

  34. Iris M, Monterde S, Salvador M, et al. Ankle taping can improve proprioception in healthy volunteers. Foot & ankle international 2010;31(12):1099. 

  35. JFraser JJ, Koldenhoven RM, Saliba S, et al. Reliability of ankle-foot morphology, mobility,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measures. The international jounal of Sports Physical therapy 2017;12(7):1134. 

  36. Kasukawa Y, Miyakoshi N, Hongo M, et al. Lumbar spinal stenosi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locomotive syndrome and lower extremity muscle weakness. Clin Interv Aging 2019;14:1399-405. 

  37. Refshauge KM, Raymond J, Kilbreath SL, et al. The effect of ankle taping on detection of inversion-eversion movements in participants with recurrent ankle sprain.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9;37(2):371-5. 

  38. Lim HW. Does Kinesio Taping Improve Vertical Jumping Performance?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016;28(5):269-73. 

  39. Morris D, Jones D, Ryan H, et al. The clinical effects of Kinesio® Tex taping: A systematic review [research-article]. An internation journal of physical Therapy 2013;29(4):259-70. 

  40. Aminaka N, Gribble PA. Patellar taping,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dynamic postural control.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8;43(1):21-8. 

  41. Reid DC. Sports Injury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Churchill Livingstone; 1992. 

  42. Alam S, Malhotra D, Munjal J, et al. Immediat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shoulder muscle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in healthy individuals: A randomised trial. Hong Kong physiotherapy journal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Hong Kong Physiotherapy Association Limited Wu li chih liao 2015;33(2):8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