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의 관계 :COVID-19 전후 시점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 Disabled : Focusing on the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3, 2022년, pp.560 - 566  

전근성 (국민연금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COVID-19 전후 시점에 따른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 변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독거여부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을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3,77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분석결과 여가사회활동의 감소가 생활만족도감소를 더욱 강화시키고, 그에 따라 행복의 감소 역시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독거에 따라 여가사회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감소가 생활만족도감소로 이어지며 행복 역시 감소되었고, 독거장애인인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 커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중요하긴 하지만 장애인의 삶의 중요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는 여가사회활동이 축소되는 것에 대한 개입으로서 온라인을 활용한 모임, 문화예술활동 참여, 교육 등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고, 더 나아가 장애인사례관리 진행에서도 정신건강에 대한 스크리닝 및 독거장애인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hanges between leisure and social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living alone.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3,773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변수 간 관계를 왜곡할 수 있는 성별, 연령, 학력, 장애유형, 중증여부, 취업여부, 독거여부를 통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학력, 장애유형, 중증 여부, 취업여부, 독거여부는 더미변환하여 분석 처리하였고, 연령은 나이 자체를 연속형 변수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여가사회활동참여의 감소이다. 장애인고용패널에서 여가사회활동참여는 영화, 음악공연, 미술전시, 여행, 스포츠, 종교 등의 활동참여 경험 여부로 측정되며, 각 점수를 참여1, 비참여0으로 코딩하여 합산하였다.
  • 본 연구의 매개변수는 생활만족도의 감소이다. 생활 만족도는 가족 및 친구관계, 거주상태, 건강상태, 수입 등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있고, 이를 합산하여 2020년도 변수와 2019년도 변수의 차를 구하였다.
  •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행복의 감소이며, 행복에 대한 질문은 단일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점수는 1~10점까지이며 높은 점수는 행복수준의 높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매개변수는 생활만족도의 감소이다. 생활 만족도는 가족 및 친구관계, 거주상태, 건강상태, 수입 등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있고, 이를 합산하여 2020년도 변수와 2019년도 변수의 차를 구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감소경향이 심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Cronbach’s alpha값이 .
  • 본 연구는 변수 간 관계를 왜곡할 수 있는 성별, 연령, 학력, 장애유형, 중증여부, 취업여부, 독거여부를 통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학력, 장애유형, 중증 여부, 취업여부, 독거여부는 더미변환하여 분석 처리하였고, 연령은 나이 자체를 연속형 변수로 활용하였다.
  • 장애인고용패널에서 여가사회활동참여는 영화, 음악공연, 미술전시, 여행, 스포츠, 종교 등의 활동참여 경험 여부로 측정되며, 각 점수를 참여1, 비참여0으로 코딩하여 합산하였다. 여가사회활동참여의 감소를 측정하기 위해 2020년도 변수와 2019년도 변수의 차를 구하였고, 이 역시 점수가 높을수록 여가활동참여 수준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각 문항의 Cronbach’s alpha값이 .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자료이다. 이 자료는 장애인의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 등의 조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2016년부터 실시되는 2차 Wave의 4차(2019년도), 5차(2020년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하고 있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자료이다. 이 자료는 장애인의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 등의 조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2016년부터 실시되는 2차 Wave의 4차(2019년도), 5차(2020년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분석할 변수에 성실히 응답한 성인 장애인 3, 773명이다.
  • 이 자료는 장애인의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적, 환경적 요인 등의 조사 결과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2016년부터 실시되는 2차 Wave의 4차(2019년도), 5차(2020년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분석할 변수에 성실히 응답한 성인 장애인 3, 773명이다.

데이터처리

  • 셋째, 변수 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형과 7번 모형을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의 유의성은 0.
  •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주요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독거여부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변수 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둘째, 독거여부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변수 간 상관관계 및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형과 7번 모형을 분석하였다.
  • 0ver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그리고 주요변수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독거여부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이정윤, 김지연, 김민희, "사회적 거리두기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외로움의 매개효과와 신경증 성향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제12권, 제3호, pp.1239-1253, 2021. 

  2. 이종만, "코로나 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7호, pp.342-351, 2020. 

  3. 한창수, "COVID-19 시대의 울분과 외로움 관리를 위한 연결성의 중요성,"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제64권, 제6호, 2021. 

  4. 강현정, "농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활동과 삶의 만족도," 한국사회복지 조사연구, 제21권, pp.1-26, 2009. 

  5. 주진영, 이세경, 원형중, "COVID-19 (코로나) 발생 전후로 나타난 청년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감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45권 제2호, pp.87-99, 2021. 

  6. 김의재, 강현욱, "코로나 19 이후, 여가활동의 변화 양상," 한국체육과학회지, 제30권 제5호, pp.97-104, 2021. 

  7. 윤지인, 한진욱, 이지원, "야외 여가활동 참여자의 코로나 관련 위험인지,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45권, 제1호, pp.89-101, 2021. 

  8. 강미경, 이동진, 유가효,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제4호, pp.137-155, 2010. 

  9. 김경숙, 박재산, 문재우, "우리나라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분석-경로당 및 교회 활동 참여자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제23권, 제1호, pp.105-132, 2008. 

  10. 이한숙, 윤영선, "사회체육활동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5권, 제1호, pp.647-660, 2009. 

  11. 정재춘, "장애인의 여가스포츠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배드민턴 활동을 참여하는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제28권, 제2호, pp.139-159, 2013. 

  12. Dickie C. T. Yu, Sara Spevack, Rene Hiebert, Toby L. Martin, Ryan Goodman, Todd G. Martin, Shayla Harapiak, and Garry L. Martin, "Happiness indices among persons with profound and severe disabilities during leisure and work activities, A comparison,"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pp.421-426, 2002. 

  13. R. Pagan, "How do leisure activitie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Evidence for German people with disabilitie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Vol.10, No.4, pp.557-572, 2015. 

  14. Y. Yoshida, H. Iwasa, Y. Ishioka, and Y. Suzukamo, "Leisure activ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lone and mental health among J apanese older adults,"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Vol.21, No.5, pp.421-425, 2021. 

  15. 최일섭, 고기숙, "정신장애인의 서비스이용,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27권, pp.331-359, 2007. 

  16. 남기민, 정은경,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325-348, 2011. 

  17. 장인순, "일부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와의 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30-140, 2006. 

  18. 이영숙,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 pp.69-91, 2007. 

  19. 백선혜, 이정현, 조윤정, "포스트코로나 시대 비대면 공연예술의 전망과 과제," 정책리포트, pp.1-30, 2020. 

  20. O. W. Purbo and I. Darmajaya, "Online Teaching and Experience Art & Culture During Coronavirus and Beyond," Darmajaya: Informatics & Business Institute Darmajaya, 2020. 

  21. 김형수, 허평화, "노인자살 예방전략에 관한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309-317, 2011. 

  22. 이정은, 유지영,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자살현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33-46, 202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