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 혼합 모형을 통해 살펴본 쓰기 능력의 장기적인 발전 양상 탐색
Investigation into Longitudinal Writing Development Using Linear Mixed Effects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2, 2022년, pp.315 - 319  

이영주 (한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선형 혼합 모형을 활용하여 쓰기 능력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통사적 복잡성(syntactic complexity) 측면에서 4명의 사례 연구자들이 작성한 에세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자들은 자발적으로 Criterion 이라는 자동 쓰기 평가 프로그램의 피드백을 받아 초안과 수정본을 교실 밖에서 매달 한 개 씩 일 년 동안 작성했다. 총 48개 초안 에세이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고, 통사적 복잡성은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의 14개 지표 중에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선형 혼합 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과 T-unit의 평균길이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길이가 긴 T-uni을 포함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과 의존절과 독립절 간의 비율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는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일 년 동안 높은 비율의 의존절이 포함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longitudinal writing development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using linear mixed effects (LME) model. This study employs essays written by four case study participants. Participants voluntarily wrote essays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submitted the first and second draft...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9)

  1. Orgeta, L.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L2 proficiency: A research synthesis of college-level L2 writing. Applied linguistics, 24(4), 492-518. 2003. doi:10.1093/applin/24.4.492 

  2. Wolfe-Quintero, K., Inagaki, S., & Kim, H.-Y. Second language development in writing: Measures of fluency, accuracy & complexity.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3. Kyle, K., Crossley, S., & Verspoor, M. Measuring longitudinal writing development using indice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sophistica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43(4), 781-812. 2020. doi: https://doi.org/10.1017/S0272263120000546 

  4. Hunt, K. W. Grammatical structures written at three grade levels. NCTE Research Report No. 3. 1965. Retrieved from http://eric.ed.gov/?idED113735 

  5. Kyle, K., & Crossley, S. Measuring syntactic complexity in L2 writing using fine-grained clausal and phrasal indices. The Modern Language Journal, 102(2), 333-349. 2018. doi:10.1111/modl.12468 

  6. Cumming, A., Kantor, R., Baba, K., Erdosy, U., Eouanzoui, K., & James, M. Differences in written discourse in independent and integrated prototype tasks for next generation TOEFL. Assessing Writing, 10(1), 5-43. 2005. doi:10.1016/j.asw.2005.02.001 

  7. Lu, X. A corpus-based evaluation of syntactic complexity measures as indices of college-level ESL writers' language development. TESOL Quarterly, 45, 36-62. 2011. doi:10.5054/tq.2011.240859 

  8. Gries, S. T. The most under-used statistical method in corpus linguistics: multi-level (and mixed-effects) models. Corpora, 10(1), 95-125. 2015. doi:10.3366/cor.2015.0068 

  9. Homburg, T. J. Holistic evaluation of ESL composition: Can it be validated objectively? TESOL Quarterly, 18, 87-107. 1984. doi:10.2307/35863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