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화 <빨간 구두>의 서사 변용 특성 연구: 빅터 터너의 '사회적 드라마'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ransformation in Fairy Tale : Focusing on Victor W. Turner's 'Social-Drama' Theor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2, 2022년, pp.243 - 249  

최영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민담에 뿌리를 두고 있는 동화는 인류의 무의식과 보편적 정서를 담아낸다. 또한 다양한 서사 변용 작품에서 원형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안데르센의 <빨간 구두>는 빨간 구두와 춤, 그리고 발목의 절단이라는 상징적인 기표를 통해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갖는 수많은 기의를 끌어온다. 빅터 터너의 사회적 드라마 이론은 단지 이 작품을 탐욕과 허영심으로 가득한 소녀의 징벌이라는 틀로만 읽어왔던 그간의 시각을 넓혀주어 당대 사회가 개인에게 요구하는 사회공동체의 조건이 무엇인가를 환기하도록 만든다. 원형 콘텐츠로서 안데르센의 <빨간 구두>는 여성으로서의 성장과 사회공동체로의 편입이라는 이중 진입 장벽 앞에서 어린 소녀가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 수용되고 거부되는 사회적 조건이 무엇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고통의 서사이다. 안데르센의 서사를 변용한 구병모의 소설 <빨간 구두>는 흰색으로 대변되는 천국의 영광과 빨간색으로 집약되는 지상의 색채 대비를 통해, 무질서해 보이지만 생명력이 넘치는 그 세계가 바로 지상의 세계이며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과 의미임을 확인시켜준다. 윤미경의 동화 <빨간 구두 춘맹 씨>는 가비라는 소녀의 여성으로의 성장 서사와 함께 낯선 문화적 배경을 가진 외부인 여성 춘맹의 사회 진입 서사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다문화 가정과 이방인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을 고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iry tales are rooted in folk tales and contain human unconsciousness and universal emotions. It also plays a role as original content in various narrative transformation works. Andersen's brings numerous signification through symbolic signs of red shoes, dance, and ankle amputation. Victor W.Turn...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0)

  1. Joseph Campbell,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Lee Yoonki translation, minumsa, 2018. 

  2. Carl Gustav Jung, Man and His Symbols, Lee Yoonki translation, openbooks, 2009. 

  3. Woo, Heecheung, A study on developing the space-based cultural contents transformed from original fairy tale - The case for the theme park application,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no.31, pp.235-258,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Research Institure, 2016. 

  4. Hans Christian Andersen, Andersen's fairy tale book, Byun Yong-ran translation, novelmine, 2005. 177-190. 

  5. Han, Hye Chung, The Desire for Foot(wear) and the Suppression of It: The Transgressive Girls in Hans Christian Andersen's Fairy Tales,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NKJE), vol.54, no.2, pp.109-131, The New Korean Association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2012. 

  6. Han, Sang-Soo, The Sexual Politics and Political Cruelty in Andersen's "The Little Mermaid," "The Brave Tin Soldier," and "The Red Shoes,"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no.57.1, pp.241-260, The Modern English Society Of Korea, 2013. 

  7. Victor W. Turner, From Ritual to Theatre: The Human Seriousness of Play, pp.115-119, New York: Performing Arts Journal Publications, 1982. 

  8. Victor W. Turner, The Forest of Symbols: Aspects of Ndembu Ritual, Jang YongGyu translation, pp.120-131, Zmanz Press, 2020. 

  9. Kang, Seung Ryul, A Study on Memories of Murder by Color Theory of Wassily Kandinsky, Cineforum, No.24, pp.13-41, Dongguk Univ. Video Media Center, 2016. 

  10. Bruno Bettelheim, The Uses of Enchantment, Kim Oksoon.Joo Ok translation, Sigongjunior,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