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장 전염소 공정제어를 위한 침전지 잔류염소농도 예측 머신러닝 모형
Machine learning model for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in sediment basin to control pre-chlorin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suppl.1, 2022년, pp.1283 - 1293  

김주환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이경혁 (한국수자원공사 상하수도연구소) ,  김수전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김경훈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수장의 수처리 공정에서 계측되고 있는 수량 및 수질데이터의 활용과 수처리 공정제어의 지능화를 위한 것으로 정수장에서 전염소 공정이 수반되는 처리공정에서 침전지 유출수 잔류염소농도 안정화를 위하여 이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수장 침전지 유출수의 잔류염소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중회귀모형과 인공지능 알고리즘다층퍼셉트론 신경망, 랜덤포레스트 및 장단기기억(Long Short Term Memory; LSTM) 모형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형의 입력변수로는 전염소 공정이 도입된 정수장에서의 잔류염소농도, 수온, 탁도, pH, 전기전도도, 유량, 알칼리도 등이 사용되었고 전염소에 따른 침전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침전지 잔류염소농도를 출력변수로 구성하였다. 적용 결과에서는 랜덤포레스트 모형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다음으로 LSTM, 다층퍼셈트론 신경망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모형인 중회귀모형은 적합도 측면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는데, 이는 수량과 수질데이터의 수치적인 규모나 차원의 차이뿐만 아니라 계절별 수질특성에 따라 염소소비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반응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수장 수처리 공정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적용을 위해서는 랜덤포레스트와 같이 의사결정 트리구조의 도입과 적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전염소 공정이 도입된 정수장 수처리 공정에서 염소주입량을 실시간으로 예측 가능하게 함으로써 침전지 유출수에서 잔류염소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residual chlorine in order to maintain stabl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sedimentation basin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in water treatment process employing pre-chlorination. Available water quantity and quality data are collected and ...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5)

  1. Breiman, L. (1996). "Bagging predictors." Machine Learning, Vol.?24, pp. 124-140.?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 45,?No. 1, pp. 5-32.? 

  3. Jeon, H.B., Lee, Y.J., and Lee, J.D. (2001). "Effects of Prechlorination on diatoms coag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Water Environment, Vol. 17, No.3, pp. 347-355.? 

  4. Jung, S.H., Lee D.O., and Lee K.S. (2018). "Prediction of water?level prediction of river water level using deep-lenaring open?libr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18, No.1, pp.1-11.? 

  5. Kang, K.W., Park, C.Y., and Kim, J.H. (1992). "Nonlinear prediction?of streamflow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Vol.25. No.3, pp.105-113.? 

  6. Kim, D., Kim, J., Kwak, J., Necesito, I.V., Kim, J., and Kim, H.S.?(2020). "Development of water level prediction models using?deep neural network in mountain wetlands." Journal of Wetland?Research, Vol. 22, No. 2, pp. 106-112.? 

  7. Kim, J.H. (1993). A study on hydrologic forecasting of stream flow?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Ph.D. Dissertation, Inha?University.? 

  8. Kumar, A.P.S., Sudheer, K.P., Jain, S.K., and Agarwal, P.K. (2005).?"Rainfall runoff model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Comparison of network types." Hydrological Process Vol. 19,?pp. 1277-1291.? 

  9. Lee, K.H., Kim, J.H., Lim, J.L., and Chae S.H. (2007). "Prediction?models of residual chlorine in sediment basin to control prechlorin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 21, No. 5, pp. 601-607.? 

  10. Lisboa, P.G.J. (1992). Neural networks: Current application. Chapman & Hall, London, pp. 5-6.? 

  11. Maneual, J.R., and Jean, B.S. (1999). "Assessing empirical linear?and non-linear modeling of residual chlorine in urban drinking?water systems."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Vol. 14,?No. 1, pp. 93-102.? 

  12. Qing, Z., and Stephen, J.S. (1999). "Real time water treatment process control with artificial neyral network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5, No. 2, pp. 153-160.? 

  13. Tiwari, M.K., and Chatterjee, C. (2010). "Development of an accurate?and reliable hourly flood forecasting model using waveletbootstrap-ANN (WBANN) hybrid approach." Journal of Hydrology, Vol. 394, No. 3, pp. 458-470.? 

  14. Uber, J.G. (2003). Maintaining distribution system residuals through?booster chlorination, IWA Publishing, London, UK, pp. 42-47.? 

  15. Yoon, J.Y., Byoun, S.J., and Choi, Y.S. (2001). "Importance of?prechlorination practices and structures of clearwell in estimating?disinfection capabilities in water treatment plants." Journal of?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17, No. 3, pp.?327-33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