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공사 안전 보건관리가 안전점검평가 사후관리에 미치는 영향관계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n the Post-management of Safety Inspection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1 = no.55, 2022년, pp.228 - 240  

김진태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신용승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문유미 (General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현장의 밀착형 안전관리를 위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서 종합적 안전관리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안전관리수준평가관리는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른 안전관리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는 보건위생 관리 체계와 안전경영시스템 등의 종합적 관계분석이 필요하다. 연구목적: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 보건관리의 종합적 분석 및 관계를 연구하여 보건위생관리의 안전평가수준향상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건설현장 전문가와 안전 관리자 대상으로 2차 델파이분석을 통해 설문항목의 타당성을 확인 후 구조방정식 예비모형을 통해 안전경영, 안전관리, 보건관리, 안전점검실행에 대한 잠재변인이 존재하는 회귀계수확인과 경로분석을 통해 총 효과(직접효과, 간접효과)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및 결론: 구조모형에서는 안전관리, 보건체계, 안전경영에서 안전점검실행으로 가는 회귀계수(89%) 와 적정한 관찰변수의 람다 값이 확인되었다. 경로분석에서 보건계획수립적절성과 사후점검관리의 관계에서 보건위생을 매개하여 총 효과(.809)를 확인하였으며, 가설구조물안전성의 경로계수(.82)가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will be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Major Disaster Punishment Act for close-up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management requires a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management un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예비모형의 구조로 변수 간의 회귀관계를 살펴서, 경로모형을 외생변수 안전경영시스템, 안전관리, 보건관리체계 3단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안전경영시스템 관리가 재해예방을 위해 중요한 시스템으로 CEO의 안전의식, 안전계획수립실행, 안전전담조직을 외생변수로 하여 내생변수 안전점검 사후 관리를 매개하여 사고위험빈도와 강도가 높은 가설구조물 안전성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2단계로는 안전관리로 총괄책임자 현장 활동, 안전관리계획의 중요성, 현장자발적인 예방활동의 외생변수가 안전점검사후관리를 매개하여 가설구조물안전성과의 관계이며, 다음 3단계로 보건관리의 의무가 중요하며, 건설재해에서 휴먼에러가 높게 차지하고 있어 보건위생, 보건계획의 수립 적절성, 정신건강스트레스가 안전점검 후 관리를 매개하여 가설구조물안전성 간의 경로모형분석을 실하였다.
  • 1단계 안전경영시스템 관리가 재해예방을 위해 중요한 시스템으로 CEO의 안전의식, 안전계획수립실행, 안전전담조직을 외생변수로 하여 내생변수 안전점검 사후 관리를 매개하여 사고위험빈도와 강도가 높은 가설구조물 안전성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2단계로는 안전관리로 총괄책임자 현장 활동, 안전관리계획의 중요성, 현장자발적인 예방활동의 외생변수가 안전점검사후관리를 매개하여 가설구조물안전성과의 관계이며, 다음 3단계로 보건관리의 의무가 중요하며, 건설재해에서 휴먼에러가 높게 차지하고 있어 보건위생, 보건계획의 수립 적절성, 정신건강스트레스가 안전점검 후 관리를 매개하여 가설구조물안전성 간의 경로모형분석을 실하였다. 결과는 Fig.
  • 본 연구는 예비구조모형에서 잠재변인 안전경영시스템, 안전관리, 안전보건위생체계 척도가 안전점검실행 잠재변인 간의 회귀관계와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예비구조모형분석에서는 외생변수 잠재변인 안전경영시스템, 안전관리, 안전보건위생체계는 외생변수 안전점검 실행 잠재변인을 89% 설명하였다.
  • 1은 예측모형의 잠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지정하는 부분을 구조모델이라 하며, 관측되지 않은 잠재변수를 활용하여 측정하는 모델이다. 여기서 모델은 4개의 개별 잠재변수는 안전경영, 안전관리, 보건위생관리체계, 안전점검평가 실행으로 구성되었다. Fig.
  • 구조모형과 경로모형의 차이로 구조모형에서는 잠재변수가 있다면, 경로분석에서는 잠재변수가 없으며 ,측정오차 항이 없는 특징이 있다. 예비모형의 구조로 변수 간의 회귀관계를 살펴서, 경로모형을 외생변수 안전경영시스템, 안전관리, 보건관리체계 3단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1단계 안전경영시스템 관리가 재해예방을 위해 중요한 시스템으로 CEO의 안전의식, 안전계획수립실행, 안전전담조직을 외생변수로 하여 내생변수 안전점검 사후 관리를 매개하여 사고위험빈도와 강도가 높은 가설구조물 안전성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대상 데이터

  •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특성으로는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2021년 12월부터 1월까지 건설현장의 현장소장, 안전 관리자,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행정업무의 직무수행자를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구글을 통해 2022년 1월부터 2월까지며 255부가 회수되었다. 표본특성 구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종, 경력, 직무, 업무, 중대재해인지, 중대재해처벌법 인지, 하인리히의 사고발생이론 적용, 보건관리변화,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 paper on the evaluation items of blue-chip companies on safety and hygiene of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in Japan.: http://mhlw.go.jp/file/o5-shingikai 

  2. Articles 5, 16, 37-40, and 123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3. Article 62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s) 

  4. Article 101-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5. Brown, M.W.,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fit."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 21, No. 2, pp. 230-258. 

  6. Choi, S.-J., Ahn, H.-S., Go, S.-S. (2000).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of Construction Companies. Korea Occupational Safety Corporation, Korea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7. Choi, W.-J., Yang, J.-W., Ryu, S.-M., Lee, J.-W., Kim, Y.-J. (2021). Business and Organizational Diagnosis to Establish a Roadmap for International Cooperration in the Field of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Q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Seoul. 

  8. Criteria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9. Jang, B.-J.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and Performance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Companies.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10. Jeong, G.-M. (2016). A Study on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 at Construction Sit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1. Kim, C.-M. (2014). Survey on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12. Kim, D.-S. (2020).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Safety Surrender to the Selection Evalu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pp. 1-50. 

  13. Kim, K.-S. (2021).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s to Prevent Disasters at Construction Sites. Ph.D. Dissertation, Kyunggi University. 

  14. Kim, S.-H. (2021). "A study on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led by the contracto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259-260. 

  15. Koo, B.-W. (2016). The Effect of Description and Presentation of Articles on the Acceptance of Messages in the Public.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Lee, D.-S. (2021). Improvement of the Safety Level Evaluation Model at the Construction Site - Focusing on the Use of Industrial Accident Occurrence Types and Simulation Verification. Ph.D. thesis, Kwangwoon University, pp. 2-150.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1). Focusing on the Critical Disaster Commentary and The Critical Disaster 

  18. Noh, K.-S. (2016). Statistical Analysis of thesis that You Know and Use Well. Hanbit Academy Publishing Company. 

  19. Oh, B.S., Kwon, C.-H. (2012). "The analysis of maturity on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a construction compan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8, No. 3, pp. 310-318. 

  20. Park, N.-S.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tandards for Construction Safety Activiti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1. Park, S.-H. (2019). Directing Safety Management Priority for Construction Works using QF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22. Regulations on the preparation and examination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regulations. 

  23. Shim, G.-B. Choi, E.-J. (2005). Measures to Improve the Disaster Rate Reflection System of PQ.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4.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construction work. 

  25.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preparation review regulations for workplaces. 

  26. Son, C.-B. (2002). "Evaluation of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at the headquarters and sites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The Korean Society of Architecture: Structural Systems, Vol. 18, No. 6, p. 135-142. 

  27. The website of the Korea Safety and Health Agency: https://www.kosha.or.kr 

  28. Woo, J.-P.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 and Understanding. Han Narae Academy Publishing Hous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