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재해 책임 및 의무 확대가 안전관리시스템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xpansion of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for Construction Accidents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8 no.2 = no.56, 2022년, pp.314 - 323  

박영상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박종용 (General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김영용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의 사업주의 책임 및 의무확대와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가 안전관리 시스템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의 내용과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학술적 논의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로부터 수집한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로 통계적인 다중 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연구가설 사업주의 책임 및 의무 확대와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 강화가 안전관리시스템 개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사업주의 책임 및 의무 확대와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 강화는 건설재해예방을 위한 건설 안전관리시스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study the effect of the amend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n the expansion of the employer's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s and the evaluation of the employer on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Method: An academic discussion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conte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가설 설정

  • 연구가설1. 개정된 산안법의 사업주 책임 및 의무 확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1. 개정된 산안법의 사업주 책임 및 의무 확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 문제의 개정된 산안법의 사업주의 책임 및 의무확대와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강화는 안전시스템시스템 개선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가설1. 개정된 산안법의 사업주 책임 및 의무 확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1. 개정된 산안법의 사업주 책임 및 의무 확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2. 개정된 산안법의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2. 개정된 산안법의 발주자의 사업주 평가는 안전관리시스템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H.-S. (2011). "Order-led safety management mechanism embedded in CDM." A Collection of Papers by the Korean Society of Architecture, Vol. 13, No. 4, pp. 297-304. 

  2. Chae, C.-g. (2016). A Study on Major Violations and Issue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Master's Thesis, Seoul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3. Jo, H.-h., Jang, Y.-r. (2018), "Appeal on the amendment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Social Law Research, Vol. 253, No. 36 pp. 25-151. 

  4. Kia, S., Park, N. (2014).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order-centered safety management system to reduce construction disas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Disaster Information Vol. 10, pp. 503-510. 

  5. Kim, D.-H., Ko, B.-I., Lim, H.-K. (1999). "Safety consciousness and efficient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workers and management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Safety Association, Vol. 14, No. 2, pp.163-169. 

  6. Kim, S.-e. (2018). A Study on the Reduction of Death Accidents from Falling Construction Sites.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pp.14-15. 

  7. Kim, T.-h., Jung, S.-b., Shin, T.-h., Kim, J.-t., Ji, Y.-s. (2019). "Casual relationship of cognitive failure, mistakes, error accidents, and responsibility accidents of railroad engineers." Vol. 7, No. 1, pp. 63-76. 

  8. Lee, Y.-b.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on the Operation Efficiency of Railway Trucks. Doctoral Thesis, Woosong University. 

  9. Oh, B.S. (2012). "The analysis of maturity on implement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a construction compan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8, No. 3, pp. 312-318. 

  10. Pak, Y.S.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Responsibility f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aster's Thesis, Kyunggi University, pp.1-100. 

  11. Park, C.-i. (2019). "Pass of a complete amendment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remaining tasks." Labor Review, Vol. 176, pp.42-46. 

  12.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8). 2018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 Status. Focusing on Occupational Accidents under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Act. 

  13. Won, J.H., Lee, H.-d., Kim, K.-y., Lim, S.-j. (2015).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organizers through CDM regulations and case analysis in the UK." The Socie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Article 34, No. 1. 

  14. Yoo, J.-h. (2019). Measures to Improve Construction Safety Efficienc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5. Yoon, Y.-w., Yoon, S.-h. (2019). "The role of safety management of the person placing a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Paper of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Vol. 3, No. 1, pp. 2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