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청년층의 고용의 질 결정요인 분석: 인구이동, 노동시장 동향, 일자리 지속기간 및 임금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mployment Quality of Youth in Seoul: Focused on Population Movement, Labor Market Trends, Job Duration and Wage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3 no.1, 2022년, pp.39 - 54  

황광훈 (한국고용정보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13차 직업력 자료와 전체자료 연결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청년층 노동시장 동향 및 특징과 서울시 청년취업자의 일자리 지속기간과 임금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소득 근로자일수록 이탈가능성이 낮고, 전공 일치도가 높은 근로자일수록 이탈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다른 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 남성일수록,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상용직, 가구주,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 임금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미스매치와 관련해서는 기준집단(적정학력, 적정기술)과 비교하여 학력부족 미스매치와 기술부족 미스매치는 각각 4.9%, 5.5%의 임금상승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학력과잉 및 기술과잉 미스매치는 각각 5.3%, 9.2%의 임금손실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공일치 집단은 전공불일치 집단에 비해 3.8%의 임금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1st to 13th rounds of occupational history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YP2007),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labor market in Seoul. We further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job duration and wage determinants of youth emp...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3)

  1. 김영민(2014), 「지역별 일자리 질의 현황 및 추이 분석」, 산업연구원. 

  2. 남재량.이철인.전영준.우석진(2011), 「청년층 노동시장 진입 및 정착 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3. 박현정(2010), 「고용의 질 측정방법 연구」, 통계개발원. 

  4. 신정우.김태현.이미숙(2017), "이산선택모형을 이용한 경남지역 청년의 취업상태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0(5): 1837~1854. 

  5. 신종각.김준영.안준기.최기성.최강식.이지민(2017), 「청년패널조사로 본 한국의 청년노동시장-청년패널조사 10주년 특별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6. 안은경.이희연(2015),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168~189. 

  7. 이대웅.손주희.이소담.권기헌(2015),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분석-위계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4(4): 125~154. 

  8. 이상은(2005), "청년들에 대한 직업훈련의 취업 및 근로소득 효과", 「사회복지정책」, 23: 5~28. 

  9. 이승렬.김세움.김진영.성재민.오선정.홍민기(2017), 「청년층 노동시장정책의 종합적 평가」, 한국노동연구원. 

  10. 전병유.임상훈.전명숙.정영훈.오학수(2011), 「지역고용정책평가 및 지역고용활성화전략연구」, 고용노동부. 

  11. 정성배.이지우(2018),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 취업영향 요인 지역 비교", 「지역사회연구」, 26(4): 189~206. 

  12. 조윤서(2021), "4년제 대학졸업자의 취업준비행동이 취업 및 괜찮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21(1): 133~161. 

  13. 조장식.강창완.최승배(2015), "Cox의 혼합모형을 이용한 대졸취업자의 재직기간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3): 1337~1346. 

  14. 최문석.송일호(2019), "청년층의 교육 및 전공불일치가 임금과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6(2): 85~102. 

  15. 한국고용정보원, "청년패널조사 2007-2020" 원자료 

  16. 황광훈(2018), "청년취업자의 주관적 미스매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분석", 「산업노동연구」, 24(2): 181~214. 

  17. 황광훈(2020), "청년층의 이직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18. 황광훈(2020),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현황 및 특징", 고용조사브리프 2020년 봄호, 한국고용정보원. 

  19. Allison, P. D. (1995), "Survival Analysis Using the SAS System : A Practical Guide", SAS Publishing. 

  20. Cox, D. R. (1972), "Regression Models and Life-Tables (with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34(2): 187~220. 

  21.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Youth Panel 2007-2020" raw data (in Korean). 

  22.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22.1.10 읽음.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 

  23. Statistics Kore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Census", Accessed January 10, 2022.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vwcdMT_ZTITLE&menuIdM_01_01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