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4, 2022년, pp.651 - 659  

장혜림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래혁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에서 구축한 2020년 제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 여부가 조손가정 청소년의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89명의 조손가정 청소년 중 39%가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했다. 또한 가정경제 악화를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불안과 스트레스의 점수가 높았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험 비율이 높았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조손가정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악화의 경험은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조손가정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economic deterioration caused by COVID-19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grandparent-headed famil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structed by the Korea Disease Contr...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9)

  1. S. M. Lee. (2020. 5. 4). Over 50,000 grandparent-grandchildren households, welfare services tailored to grandparent-headed families are needed. News of National Assembly ON. 

  2. H. L. Chang. (2021). Educational opportunities deprived by COVID-19 and responsibilities for recovery: Focusing on low-income adolescents. Joint Conference of Social Welfare. 

  3. B. D. Shon & H. J. Moon. (2021). Who suffers the most financial hardships due to COVID-19?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3(3), 9-31. DOI : 10.20970/kasw.2021.73.3.001 

  4. J. H. Ryu et al. (2019). Comprehensive child survey. Sejong: KIHASA. 

  5. M. Seo. (2021). Youth issues caused by COVID-9 and social security net. Spring Conference of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6. M. D. Snape & R. M. Viner. (2020). COVID-19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Science, 370(6514), 286-288. DOI: 10.1126/science.abd6165 

  7. R. M. Viner et al. (2020). School closure and management practices during coronavirus outbreaks including COVID-19: A rapid systematic review. The Lancet Child & Adolescent Health, 4(5), 397-404. DOI: 10.1016/S2352-4642(20)30095-X 

  8. Y. S. Kim. (2014). The study on the level of psychosocial adjustment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to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living with custodial grandparents. Forum For Youth Culture, 37, 7-30. DOI: 10.17854/ffyc.2014.01.37.7 

  9. Y. Xu, M. Jedwab, N. Soto-Ramirez, S. E. Levkoff & Q. Wu. (2021). Material hardship and child neglect risk amidst COVID-19 in grandparent-headed kinship families: The role of financial assistance. Child Abuse & Neglect, 121, 105258. DOI: 10.1016/j.chiabu.2021.105258 

  10. UN. (2020). The impact of COVID-19 on children. New York: UN. 

  11.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2021). One year after COVID-19, records for adolescents' mental health. Busan: KYCI. 

  12. H. S. Kim. (2021). Changes in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fter COVID-19. Conference of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3. M. A. Arden & J. Chilcot. (2020). Health psychology and the coronavirus (COVID-19) global pandemic: A call for research.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5(2), 231-232. DOI: 10.1111/bjhp.12414 

  14. J. D. Kwon. (2021).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Seoul: Hakjisa. 

  15. H. M. Yoon & H. J. Chang. (2012). Life with grandparents as parents: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16(2), 259-288. 

  16. H. S. Kim. (200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emotion and behavior in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7. M. Jendrek. (1994). Grandparents who parent their grandchildren: Circumstances and decisions. The Gerontologist, 34, 206-216. DOI: 10.1093/geront/34.2.206 

  18. S. K.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grandparents on their grand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3, 275-295. 

  19. J. H. Nam & R. H. Lee. (2020). Is the COVID-19's impact equal to all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effects on income and poverty by employment statu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2(4), 215-241. DOI : 10.20970/kasw.2020.72.4.008 

  20. J. P. Ziliak. (2020). Food hardshi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great recession.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42(1), 132-152. DOI: 10.1002/aepp.13099 

  21. M. Y. Shim. (2020).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Korean Journal of Medicine, 95(6), 360-363. DOI : 10.3904/kjm.2020.95.6.360 

  22. M. S. Lee, S. H. Han, J. Y. Kang & J. B. Kim. (2021). The effects of household financial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on suicidal tendencies of adolescents: Application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2(2), 1-14. DOI : 10.35133/kssche.20210531.01 

  2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The statistics of the 16th(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heongju: KDCA. 

  24. V. La Placa, A. McNaught & A. Knight. (2013). Discourse on wellbeing in research and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3(1), 116-125. DOI:10.5502/IJW.V3I1.7 

  25. WHO. (2001). The world health report 2001-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new hope, Geneva, Switzerland: WHO. 

  26. R. H. Lee, C. M. Oh & H. S. Chae. (2019).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38(3), 123-155. DOI : 10.35222/IHSU.2019.38.3.123 

  27. R. H. Lee & H. L. Chang. (2017).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victim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happi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Welfare, 19(3), 109-132. DOI : 10.19034/KAYW.2017.19.3.05 

  28. Y. H. Kim. (202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youth mental health in the Covid-19 disaster.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23(1), 139-157. 

  29. L. Steinberg & A. S. Morris. (2001). Adolescent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83-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