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Socioeconomic Changes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fter COVID-19 Pandemic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30 no.1, 2022년, pp.16 - 21  

김희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민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성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진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이 연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건강 위험 행동 15개 영역에서 103개 이상의 질문을 포함하는 한국 청소년(12-18세)의 대표 통계이다.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793개 학교, 총 54,948명의 학생들이 질문에 응답했다. 설문조사는 한국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관련된 코로나19이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른 우울 증상과 자살 사고에 대해 교차분석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코로나19이후 가정 경제의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했다. 가정의 경제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한 청소년은 자살 사고와 우울 증상에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1.38, 95% CI 1.38-1.57)과 더 나빠졌다고 보고하는 청소년(AOR 2.07, 95% CI 1.87-2.29)은 우울 증상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가정 경제의 변화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1.34; 95% CI 1.34-1.60)과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청소년(AOR 2.01; 95% CI 1.76-2.29)은 자살 사고와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결 론 이번 연구에서 사회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청소년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자살 사고 및 우울 증상의 연관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이후 사회 경제적 변화가 좋지 않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 선별 및 개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nges after COVID-19 among Korean adolescent. Methods : Data on the study population were obtained from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The KYRBS is a na...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16)

  1. Clay RA. COVID-19 and suicide. Monitor on Psychology 2020;51. 

  2. Reger MA, Stanley IH, Joiner TE. Suicide mortality and coronavirus disease 2019-a perfect storm. JAMA Psychiatry 2020;77:1093-1094. 

  3. Drapeau CW, McIntosh JL. USA suicide: 2020 official final data. 

  4. Qin P, Agerbo E, Westergard-Nielsen N, Eriksson T, Mortensen PB.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suicide in Denmark. Br J Psychiatry 2000;177:546-550. 

  5. Agerbo E, Nordentoft M, Mortensen PB. Suicide among young people-familial, psychiatric and socioeconomic risk factors. A nested case-control study. Ugeskr Laeger 2002;164:5786-5790. 

  6. Kim H, Choi SH, Lee SE, Lee CW, Maeng S, Kim WH, Bae JN, Lee JS. Variables affecting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the adolescent population. J Nerv Ment Dis 2021;209:59-64. 

  7. Beautrais AL, Joyce PR, Mulder RT. Youth suicide attempts: a social and demographic profile.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1998;32:349-357. 

  8. Kim Y, Choi S, Chun C, Park S, Khang YH, Oh K.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Int J Epidemiol 2016;45:1076-1076e.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anuary 24. Available from URL: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menuIdsHOME001-MNU1130MNU2393-MNU2749&cid77749. Accessed September 30 2018. 

  10. Zhou SJ, Zhang LG, Wang LL.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correlates of psychological health problems in Chinese adolescents during the outbreak of COVID-19.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20;29:749-758. 

  11. Kleinman A. Culture and depression. N Engl J Med 2004;351:951-953. 

  12. Compton WM, Conway KP, Stinson FS, Grant BF.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major depression and comorbid substance use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91-1992 and 2001-2002. Am J Psychiatry 2006;163:2141-2147. 

  13. Kwak CW, Ickovics JR. Adolescent suicide in South Korea: Risk factors and proposed multi-dimensional solution. Asian Journal of Psychiatry 2019;43:150-153. 

  14. Tanaka T, Okamoto S. Increase in suicide following an initial declin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Japan. Nat Hum Behav 2021;5:229-238. 

  15. Sumi A, Doi S, Yamaoka Y, Takahashi K, Fujiwara T. Do suicide ra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hange during school closure in Japan? the acute effect of the first wave of COVID-19 pandemic o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Child Abuse Negl 2020;110(Pt 2):104680. 

  16. Kim SY, Kim H, Park B, Choi HG. Comparison of stress and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Korean youths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AMA Netw Open 2021;4:e2136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