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도권 건강도시 가입지역의 시기변화에 따른 가입 전후의 차이 및 자신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and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iming of the Healthy City Area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0 no.4, 2022년, pp.689 - 697  

김윤환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건강도시 가입 지역의 시기변화에 따른 가입 전후 차이 및 자신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2015년과 2016년에 가입한 강북구와 서초구, 2019년에 가입한 노원구, 광진구, 마포구 두 지역으로 구분해 진행하였다. 서울서베이 가구원조사를 활용하여 2020년을 기준으로 시기변화에 따른 차이 및 자신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자 차이검정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도시 가입 전과 가입 후 4 ~ 5년이 지난 지역과 1년이 지난 지역의 변수 차이는 다르게 나타났고, 가입 후 4 ~ 5년이 지난 지역과 1년이 지난 지역의 자신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차이가 나타나 시기변화에 따른 요인을 고려하여 정책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and the influencing factors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iming of joined in the healthy city area, centering on the metropolitan a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areas. Using the Seoul Surv...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8)

  1. Hancock. T & Duhl. L. (1988). Promoting Health in an Urban Context.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 J. E. Lee & Y. C. Hong. (2020). Moving toward healthy cities in the pandemic tim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7(4), 31-40. DOI : 10.14367/kjhep.2020.37.4.31 

  3. Whitehead. M & Dahlgren. G. (1991). What Can Be Done about Inequalities in Health? The Lancet 338, 1059-1063 

  4. E. J. Kim. (2016). Theory-driven and Evidence-based Approaches to Connect Urban Regeneration with Healthy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9(3), 1-18. 

  5. H. C. Lim. (2019). A Empirical Study on Social Capital, Perception of Safety and Subjective Well-Being.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28(4), 165-198. DOI : 10.22897/kipajn.2019.28.4.006 

  6. J. Y. Kim & H. J. Jun. (2020).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determinants between Gangnam and Gangbuk areas in the City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3(3), 1-31. DOI : 10.36700/KRUMA.2020.9.33.3.1 

  7. S. Y. Jung. (2020).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Safety Recogni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of the inter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6(2), 25-36. DOI : 10.22669/krsa.2020.36.2.025 

  8. S. Y. Kim & S. J. Go. (2018). Improv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Healthy City Project in Local Government. Journal of Daegu Gyeongbuk Studies 7(2), 77-98. DOI : 10.23029/jdgs.2018.17.2.77 

  9. S. Y. Kim. (2020). An Analysi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olicy: With Emphasis on the Healthy City Project of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and Development 29(3), 139-190. DOI : 10.22739/ipaid.2020.29.3.139 

  10. Y. K. Oh. (2018). The Evaluation for Regional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Life. The Korea Local Adminstration Review 32(3), 095-114. DOI : 10.22783/krila.2018.32.3.95 

  11. H. M. Cho & S. G. Lee. (2016). Impacts of Subjectively Measured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Case Study of Four Municipalitie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6), 59-77. DOI : 10.17208/jkpa.2016.11.51.6.59 

  12. K. H. Lee. (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3237-3243. DOI : 10.5762/KAIS.2012.13.7.3237 

  13. H. Jeong & H. J. Jun. (2019).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Residents' Physical Activity on Social Capital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20(1), 91-110. DOI : 10.38195/judik.2019.02.20.1.91 

  14. H. M. R. Hong. (2005). A Study on the Resource Developing Processes as a Strategy for Changes of Communities : Appling Social Capital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7(3), 29-67. 

  15. Y. S. Yi. (2019). A Multifaceted Perspective Exploratory Study of Affecting Factors on Subjective Well-being -Focused on Level of Housing Income and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24(1), 26-50. DOI : 10.22886/jkos.2019.24.1.26 

  16. M. J. Shin & Y. S. Yi. (2018). Factors Affecting on Subjective Well-being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Regional Policies 29(2), 185-206. DOI : 10.7856/kjcls.2018.29.2.185 

  17. Y. S. Park & J. Y. Song. (2013). The Influence of Trust for Social Formation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2, 134-159. 

  18. G. Y. Kim, E. M. Kim & S. S. Bae. (2009). Social capital and stage of change for physical activity in a community sample of adults.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6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